레크레이션 정의, 설계안, 실행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레크레이션 정의, 설계안, 실행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레크레이션이란

Ⅱ. 프로그램 개요

Ⅲ. 활동내용 및 방법

Ⅳ. 운영방안

Ⅴ. 평가방법 및 결과

Ⅵ. 프로그램 실행안
+. 부록(평가지 및 평가분석)

본문내용

분은 마음껏 자기표현을 해주시면 됩니다. 음악에 맞춰 춤을 추셔도 좋고요, 노래 , 자기 PR , 엉덩이로 이름 쓰기, 별명 말하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기를 표현해주시면 됩니다. 자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진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지도자가 원안에 들어가서, 분위기를 이끈다 - 김은혜)
3. 게임 마무리
- 멘트 :네, 지금까지 공포의 똘이 포크댄스 재미있으셨나요? 다같이 동작을 따라 하고 춤을 추면서 즐거운 시간이 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여러분 들이 춤을 추거나 자기 PR을 해주셨는데요, 이를 통해서 타인 앞에서 부끄러움을 벗어나 자기를 표현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에 도움이 되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다음 게임 소개를 한다.
멘트 : 이제 저희가 준비한 레크레이션 게임도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너무 아쉽죠? 오늘 하루 갑자기 신체를 이용하는 게임을 많이 해서 여러분들이 많이 지치신거 같아요. 그래서 마지막 순서는 요가를 준비했습니다. 우리 다함께 스트레칭과 요가를 통해 마음을 가다듬고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램
마무리 -> 명상의 시간 & 몸풀기
소요시간
10분 ~ 15분
목 표
들뜬 마음을 조용한 음악과 명상으로 마음을 차분하게 만든다. (心)
가벼운 스트레칭을 통해 신체를 안정시킨다. (身)
수행인력
진행자1, 보조진행자2, 음향담당1
준 비 물
명상음악
진행방법
#. 마무리를 위한 명상의 시간을 갖는다.
<진행방법>
1. 포크댄스가 끝난후, 참가자들을 자리에 앉힌다.
(이 사이 진행자와 보조진행자가 원 안으로 들어가 앉는다.)
2. 명상에 대한 설명을 한다. (명상음악을 튼다.)
3. 명상을 위한 반가부좌 자세를 취한다.
4. 복식호흡에 대한 설명을 한다.
5. 명상을 시작한다.
(지도자가 적절한 멘트를 첨가한다.
멘트: 천천히 호흡을 하면서 지금부터 하는 말을 마음속으로 따라해 봅시다.
나는 하늘을 날고 있습니다. 나는 마음이 탁 트인 것 같습니다.
스트레스를 하늘에 날려버립니다. 이제 내 마음은 한결 가벼워 졌습니다.)
#. 신체를 이완시키기 위해 가벼운 스트레칭을 실시한다.
<진행방법>
1. 명상이 끝난 후, 가벼운 스트레칭을 실시한다.
스트레칭의 순서는
다리털기 - 팔운동 - 어깨 돌리기 - 목돌리기 - 얼굴맛사지 순서로 진행한다.
2. 마무리 멘트를 준비한다.
- 레크레이션의 의미를 상기시켜준다.
3. 평가지를 배부한다.
Ⅲ. 마무리
지도방법론 수강 대상으로 총 남자 8명, 여자 17명이 평가지에 응답해 주었다.
‘그렇다’라는 대답이 다수인 것으로 보아 레크레이션 활동을 통하여 공동체 의식을 얻을 수 있다는 대답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을 얻을 수 있었다. 협동하여 해결해나가는 게임 방식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기를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여자 대상 / 평가지 설문 결과
이 역시 ‘그렇다’라는 대답이 많이 나왔는데, 게임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말도 하게 되고, 스킨쉽을 하게 되면서 레크레이션이 끝난 후 어느새 친밀감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레크레이션의 인간관계 확대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이 역시 다수의 긍정적인 의견이 나왔다. 친구들과 같이 게임을 하면서, 서먹했던 부분이나 어색했던 부분을 잊고 협동을 하며 즐길 수 있었다. 그러다 보니 친구들과의 관계가 한층 가까워질 수 있었다고 본다.
이것은 사람마다 다른 특징이 나타날 수 있는 대답인데, ‘그렇다’라는 대답과 ‘그렇지 않다’는 대답이 동일한 숫자가 나왔다. 게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주도적으로 참가하면서, 자신감을 얻게 되는 것이고, 게임에 소극적으로 참여한 사람은 여전히 적극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뒤에서 구경하는 정도의 참여성만 보이게 되기 때문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라고 대답한 게임에 소극적으로 참여한 사람들도 있는 반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긍정적인 대답을 한 사람이 더 많았다. 이것은 게임(ex. 포크댄스의 동작을 점차 따라하게 되면서)을 하면서 사람들 앞에서 자신을 표현 하다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대인관계에서 자신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부분은 ‘보통이다’라는 대답이 다수로 나왔는데, 레크레이션을 한 시간이 적었던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조금 더 많은 시간 레크레이션 활동을 했다면 그만큼 자신의 의사표현이나 감정을 진실되게 표현할 시간이 많아졌을 텐데, 시간제한의 아쉬움이 드러난다. 협동하여 자신의 팀이 이기기 위해서 더 좋은 의견이 생각난다면 말을 하게 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물론 재밌는 게임을 하다보면 당연히 공부에 대한 생각을 잊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의 대답이 많이 나왔다. 레크레이션의 오락적 기능의 효과가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긍정적인 대답인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이 역시 레크레이션의 유희적 기능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게임을 하는 과정에서 웃고 즐기면서 얼마간 잊을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학교 생활을 할 때에는 경험할 수 없었던 것을 경험하고, 학교생활을 벗어나 수련회에 참여했을 때 많이 해보았던 게임과 다른 색다른 게임을 하려고 노력을 하여 참여자로 하여금 새로운 체험을 할 수 있었다는 대답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게임 외에도 포크댄스, 명상 등, 레크레이션의 종류를 단순한 게임으로 한정하지 않고 새로운 프로그램의 시도를 한 것이 색다르게 다가간 것 같다.
많이 움직이는 만큼 목마름을 많이 느낄 것 같아 모자라지 않도록 충분한 식수를 준비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만족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크레이션을 하는 도중 안전사고가 나지 않도록 대비를 하여, 이 부분에서 만족한 대답을 다수 얻을 수 있었다. 만일의 사고에 대비한 비상약품과 응급조치를 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해 두었다.
◎ 프로그램 평가
‘토론토의’에 관하여
1=아니오, 2=다소 그렇다, 3=매우 그렇다
Part 1 : 내용과 과정
1. 프로그램 목표가 분명하고 현실적이었나? (2)
-> 토의 토론 조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의견조절 능력 신장이다. 세부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7.10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01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