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방송 언어
<목 차>
Ⅰ. 서 론
1. 방송언어란?
2. 방송언어의 조건
Ⅱ. 본 론
1. 방송언어의 문제점
1) 발음
2) 외래어의 오·남용
3) 비속어·은어
4) 경어법
5) 수의표현
2. 자막의 정서법
3. 방송에서의 언어, 오남용 예
Ⅲ. 결론
<참고문헌>
<목 차>
Ⅰ. 서 론
1. 방송언어란?
2. 방송언어의 조건
Ⅱ. 본 론
1. 방송언어의 문제점
1) 발음
2) 외래어의 오·남용
3) 비속어·은어
4) 경어법
5) 수의표현
2. 자막의 정서법
3. 방송에서의 언어, 오남용 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며 주 신청대상이 어린이 청소년 계층임을 고려해 방송언어 대해 더욱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Ⅲ. 결론
방송언어의 개선을 위한 대안
1. 학교교육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 국어교육은 대학입시에 맞춘 문헌 위주의 교육으로, 생활 국어나 규범 문법에 대한 훈련이 부족해 국어계열 학과를 마치고 교단에 서더라도 국어낭독법이나 화법의 실재를 터득하지 못해 사투리발음으로 강의를 하거나 발음규범에 어긋난 지도로 생활국어의 전파로 국어문화의 확산에 역행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학에서 국어도 맞춤범이나 표준어 규정 등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어문규정이나 화법, 언어예절 등의 살아있는 국어교육으로 우리말 지도자 양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2.방송사별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방송사내에 방송언어를 연구하고 교육하는 전담부서를 만들고 시청자와 일선에서 만나는 아나운서나 성우, 기자 뿐만 아니라 방송언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연출자, 스텝프 등 방송요원을 채용할 때 엄격한 표준어 구사력 시험을 거치도록 제도를 마련하고 채용 후에도 지속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해야 할 것이다.
3.방송인의 자질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구축하여 방송인의 언어 문화자질을 향상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인의 언어자질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이론분야와 실습분야로 나눌 수 있다. 이론분야에서는 언어 규범 즉, 한글 맞춤범, 표준어규정, 표준 발음법.외래어 표기법을 교육 하고,실습분야에서는 방송언어의 전문화 교육과정으로서 발성법,낭독법, 방송문화론과 음성언어를 통한 의사소통방법인 화법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방송언어 관계자들에 대한 실재언어 사용지도를 강화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아나운서와 기자의 교육은 어느 정도 실시하고 있지만 PD와 제작자의 교육을 실시하는 방송국은 없다. 따라서 방송사별로 심의실이나 아나운서 부서와 협력을 통해 자율적으로 연례화해서 교육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방송언어의 질을 고취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작가들을 방송언어에 대한 일정한 교과과정을 갖춘 교육기관을 이수한 사람으로 선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또한 방송에 출연하는 집단을 크게 셋으로 나눠보면 아나운서와MC 참여자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방송 출연자 중에 아나운서 집단만이 언어 교육을 받고 있고, 비교적 우수한 방송언어를 구사하고 있다. 따라서 방송사는 진행을 맡는 연예인들에게 아나운서 교육에 준하는 기초적인 교육만이라도 실시하여 방송언어의 질을 높이는 데 노력하여 방송언어의 개선을 위해 기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곽은미 - 자막의 정서법, 학문사, 2006
정태임 - 방송언어의 오남용 예, 다음카페 김창진의 방송언어 고치기
홍송희 - 방송언어의 개선을 위한 대안, 매스미디어와 신어 전병용 지음, 2007
-인터넷 사이트
sbs 홈페이지
mbc게임 채널
영상 자료 (국어문화 운동본부 http://www.barunmal.com/)
Ⅲ. 결론
방송언어의 개선을 위한 대안
1. 학교교육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 국어교육은 대학입시에 맞춘 문헌 위주의 교육으로, 생활 국어나 규범 문법에 대한 훈련이 부족해 국어계열 학과를 마치고 교단에 서더라도 국어낭독법이나 화법의 실재를 터득하지 못해 사투리발음으로 강의를 하거나 발음규범에 어긋난 지도로 생활국어의 전파로 국어문화의 확산에 역행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학에서 국어도 맞춤범이나 표준어 규정 등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어문규정이나 화법, 언어예절 등의 살아있는 국어교육으로 우리말 지도자 양성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2.방송사별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방송사내에 방송언어를 연구하고 교육하는 전담부서를 만들고 시청자와 일선에서 만나는 아나운서나 성우, 기자 뿐만 아니라 방송언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연출자, 스텝프 등 방송요원을 채용할 때 엄격한 표준어 구사력 시험을 거치도록 제도를 마련하고 채용 후에도 지속적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도록 해야 할 것이다.
3.방송인의 자질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구축하여 방송인의 언어 문화자질을 향상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방송인의 언어자질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이론분야와 실습분야로 나눌 수 있다. 이론분야에서는 언어 규범 즉, 한글 맞춤범, 표준어규정, 표준 발음법.외래어 표기법을 교육 하고,실습분야에서는 방송언어의 전문화 교육과정으로서 발성법,낭독법, 방송문화론과 음성언어를 통한 의사소통방법인 화법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4.방송언어 관계자들에 대한 실재언어 사용지도를 강화해야 될 것으로 보인다.
아나운서와 기자의 교육은 어느 정도 실시하고 있지만 PD와 제작자의 교육을 실시하는 방송국은 없다. 따라서 방송사별로 심의실이나 아나운서 부서와 협력을 통해 자율적으로 연례화해서 교육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방송언어의 질을 고취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작가들을 방송언어에 대한 일정한 교과과정을 갖춘 교육기관을 이수한 사람으로 선발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또한 방송에 출연하는 집단을 크게 셋으로 나눠보면 아나운서와MC 참여자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방송 출연자 중에 아나운서 집단만이 언어 교육을 받고 있고, 비교적 우수한 방송언어를 구사하고 있다. 따라서 방송사는 진행을 맡는 연예인들에게 아나운서 교육에 준하는 기초적인 교육만이라도 실시하여 방송언어의 질을 높이는 데 노력하여 방송언어의 개선을 위해 기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곽은미 - 자막의 정서법, 학문사, 2006
정태임 - 방송언어의 오남용 예, 다음카페 김창진의 방송언어 고치기
홍송희 - 방송언어의 개선을 위한 대안, 매스미디어와 신어 전병용 지음, 2007
-인터넷 사이트
sbs 홈페이지
mbc게임 채널
영상 자료 (국어문화 운동본부 http://www.barunmal.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