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상 문학
<목 차>
Ⅰ. 이상의 연보
Ⅱ. 거리의 모더니즘
Ⅲ. 백화점과 파노라마적 시선
Ⅳ. 산책자와 이동하는 시선
Ⅴ.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자의식과 그 성격
Ⅵ. 결론
<참고문헌>
<목 차>
Ⅰ. 이상의 연보
Ⅱ. 거리의 모더니즘
Ⅲ. 백화점과 파노라마적 시선
Ⅳ. 산책자와 이동하는 시선
Ⅴ.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미적 자의식과 그 성격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마적 시선
1930년대는 백화점의 시대였다. 1906년 미쓰코시가 경성에 지점을 설립하면서 시작된 한국 백화점의 역사는 1926년에 히라다 백화점이, 1929년에 조오지아 백화점이 등장하면서 점차 가속도를 냈다. 특히 1930년대에 접어들어 미쓰코시, 미나카이, 화신등이 연속적으로 등장하면서 경성에는 본격적인 백화점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박태원의 구보가, 채만식의 『태평천하』에 등장하는 춘심이가, 「날개」의 주인공이 헤어나지 못했던 곳이 바로 백화점이었다. 당시 백화점은 디스플레이의 판타스마고리아를 체험할 수 있는 최상의 공간이자 온갖 스펙터클이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는 ‘꿈’의 공간이었다. 사람들은 이 소비의 인공낙원에 백화점이라는 명칭을 붙이기를 꺼려 ‘화신’또는 ‘미쓰코시’라고 불렀다. ‘경성’이 식민지의 한 부분으로 경험되지 않았듯이 ‘백화점’ 또한 이식자본주의의 상징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사실상 백화점은 ‘근대화 과정에 있던 형성기 도시의 거대한 문화요새였기 때문이다. 밤거리의 전등불을 배경으로 우뚝 솟은 백화점은 휘황찬란한 조명과 삼품으로 인해 도시 자체와 치환될 만큼 문명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백화점은 모든 관계를 상품 - 물신의 관계로 재편한다. 그곳은 계급적 생산관계를 인식할 수 없는, 투명유리의 저편에 진열된 상품이 모든 대중들을 소비자로 호출/유혹하는 판타스마고리아의 공간이다. 이상 문학에서 ’백화점‘은 판타스마고리아의 상품체험과 파노라마적 시각체험이 겹쳐지는 공간으로 표현된다.
Ⅳ. 산책자와 이동하는 시선
감각의 과부하는 도시적 삶의 특징이다. 특히 ‘대로(大路)체험과 도시계획, 낮과 밤의 경계를 허물어 놓은 강렬한 조명, 대로를 활보하는 익명의 군중, 새로운 문명과 그 흔적으로서의 간판 등은 ‘시각’의 과부하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1930년대 경성은 모던한 존재들의 ‘산책’ 공간이었다. 이상 문학에서 ‘산책’체험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그 하나는 ‘쇼윈도’나 ‘백화점’과 관계되고, 다른 하나는 ‘경성’이나 ‘거리’와 관계된다. 전자는 파노라마적 시각의 등장과 관계되는데 특히 ‘쇼윈도’체험은 이상 시의 중요한 소재인 ‘거울’과 연결되면서 기하학적 대칭성의 인식으로 나타난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서 ‘산책’은 도시를 미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나아가 거리를 배회하는 ‘군중’의 발견이라는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다.
이상 문학에서 ‘백화점-미로’는 ‘상품’과 ‘
1930년대는 백화점의 시대였다. 1906년 미쓰코시가 경성에 지점을 설립하면서 시작된 한국 백화점의 역사는 1926년에 히라다 백화점이, 1929년에 조오지아 백화점이 등장하면서 점차 가속도를 냈다. 특히 1930년대에 접어들어 미쓰코시, 미나카이, 화신등이 연속적으로 등장하면서 경성에는 본격적인 백화점의 시대가 시작되었다. 박태원의 구보가, 채만식의 『태평천하』에 등장하는 춘심이가, 「날개」의 주인공이 헤어나지 못했던 곳이 바로 백화점이었다. 당시 백화점은 디스플레이의 판타스마고리아를 체험할 수 있는 최상의 공간이자 온갖 스펙터클이 대중의 시선을 사로잡는 ‘꿈’의 공간이었다. 사람들은 이 소비의 인공낙원에 백화점이라는 명칭을 붙이기를 꺼려 ‘화신’또는 ‘미쓰코시’라고 불렀다. ‘경성’이 식민지의 한 부분으로 경험되지 않았듯이 ‘백화점’ 또한 이식자본주의의 상징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사실상 백화점은 ‘근대화 과정에 있던 형성기 도시의 거대한 문화요새였기 때문이다. 밤거리의 전등불을 배경으로 우뚝 솟은 백화점은 휘황찬란한 조명과 삼품으로 인해 도시 자체와 치환될 만큼 문명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백화점은 모든 관계를 상품 - 물신의 관계로 재편한다. 그곳은 계급적 생산관계를 인식할 수 없는, 투명유리의 저편에 진열된 상품이 모든 대중들을 소비자로 호출/유혹하는 판타스마고리아의 공간이다. 이상 문학에서 ’백화점‘은 판타스마고리아의 상품체험과 파노라마적 시각체험이 겹쳐지는 공간으로 표현된다.
Ⅳ. 산책자와 이동하는 시선
감각의 과부하는 도시적 삶의 특징이다. 특히 ‘대로(大路)체험과 도시계획, 낮과 밤의 경계를 허물어 놓은 강렬한 조명, 대로를 활보하는 익명의 군중, 새로운 문명과 그 흔적으로서의 간판 등은 ‘시각’의 과부하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1930년대 경성은 모던한 존재들의 ‘산책’ 공간이었다. 이상 문학에서 ‘산책’체험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그 하나는 ‘쇼윈도’나 ‘백화점’과 관계되고, 다른 하나는 ‘경성’이나 ‘거리’와 관계된다. 전자는 파노라마적 시각의 등장과 관계되는데 특히 ‘쇼윈도’체험은 이상 시의 중요한 소재인 ‘거울’과 연결되면서 기하학적 대칭성의 인식으로 나타난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서 ‘산책’은 도시를 미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하며, 나아가 거리를 배회하는 ‘군중’의 발견이라는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다.
이상 문학에서 ‘백화점-미로’는 ‘상품’과 ‘
추천자료
작가 이상의 분석
[이상적인 국가관] 국가관國家觀의 분류, 라스웰 민주주의 정책학, 국가관과 국가혁신의 관계...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아동 문제에 대한 이해 - 아동 문제의 개념과 특성...
[아동청소년이상심리 兒童靑少年異常心理] 아동의 정신분열증 (Cos: Childhood-Onset Schizop...
[이상심리학] 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 - 건강염려증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개념과 증상 ...
[이상심리학] 알코올 관련 장애 - 알코올 남용과 의존, 알코올중독의 진단기준, 알코올 중독,...
[이상심리학]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 전환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개념과 증상 ...
[이상심리학]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 사회공포증의 사례와 인상적 특징(사례, 진단기준...
[이상심리학] 물질관련 장애의 원인(알코올 중독의 원인, 정신역동적 요인, 그 밖의 원인)과 ...
[이상심리학] 망상장애의 임상적 특징과 진단기준 및 하위유형(색정형, 과대형, 질투형, 피해...
[이상심리학]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범불안장애의 임상적 특징(사례, ...
[이상심리학] 섭식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 및 하위유형(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이상심리학] 공황장애(Panic Disorder) - 공황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개념, 진단기준, ...
[이상심리학] 아동기 · 청소년기 장애의 임상적 특징과 하위유형별 이해 - 학습장애, 자폐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