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 주제
Ⅱ . 문제의 제기
Ⅲ.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목적
2) 의의
Ⅳ. 문헌고찰
Ⅴ. 변수
1) 독립변수
2) 종속변수
3) 통제변수
Ⅵ. 표본 및 표본추출
1) 표본
2) 표집방법
3) 자료수집방법
Ⅶ. 주요변수
Ⅷ. 분석결과
1) 일반적 특성
2) 자료분석
3) 분석결과
Ⅸ. 제한점 및 연구 방향 제시
1) 연구의 제한점
2) 향후 연구방향 제시
Ⅹ. 부록
1) 참고문헌
Ⅱ . 문제의 제기
Ⅲ.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목적
2) 의의
Ⅳ. 문헌고찰
Ⅴ. 변수
1) 독립변수
2) 종속변수
3) 통제변수
Ⅵ. 표본 및 표본추출
1) 표본
2) 표집방법
3) 자료수집방법
Ⅶ. 주요변수
Ⅷ. 분석결과
1) 일반적 특성
2) 자료분석
3) 분석결과
Ⅸ. 제한점 및 연구 방향 제시
1) 연구의 제한점
2) 향후 연구방향 제시
Ⅹ. 부록
1) 참고문헌
본문내용
재수 여부와 학교 적응도 사이에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아존중감과 학교 적응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이것은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학교 적응도가 높고, 자아존중감이 낮으면 학교 적응도도 낮다는 것을 뜻한다.
3. 성별은 평균으로 봤을 때는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만, SPSS분석 결과 성별과 적응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 초기에 가설을 세웠을 당시엔, 재수의 여부와 성별, 나이 등이 학교생활 적응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러한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그러한 요인들은 적응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유일하게 ‘개인의 성격’이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한 관계로 분석되었는데, 이를 통해 우리가 초기에 생각했던 요인들 보다는 개인의 성격이 더 많이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Ⅸ. 제한점 및 연구 방향 제시
1) 연구의 제한점
우선 표본의 수가 매우 적어서 연구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조사방법상에 있어서도 의도적인 할당 표집인 만큼 객관성이 떨어졌고, 조원이 속한 기독교학과와 사회복지학과에 조사대상자가 편협 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구주제가 재수생들에게 일종의 낙인감을 줄 위험이 있었고 이로 인해 설문에 응할 당시에 주변의 시선을 염려하여 거짓으로 응답을 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설문지를 배포할 당시 주변의 어느 정도의 친분이 있는 재수생을 대상으로 의도적인 표집을 함에 따라 연구의 유효한 표본인 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재수생들의 응답을 원활히 이끌어내지 못해서,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연구주제와 어느 정도의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통제변수들을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개인의 환경 내의 존재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이 연구에서 모두 다루는 데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2) 향후 연구방향 제시
다양한 설문문항들을 개발하거나 탐색하고 보다 안정되고, 정확한 척도를 개발하여 조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표본추출 시 가능하다면 의도적인 표집이 아닌 할당표집만을 사용하여 외적타당도를 높여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겠다. 향후의 연구에서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재수가 자아존중감과 연관이 있는지와 재수여부외의 학교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여 학생들이 앞으로 조화롭고 안정적인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Ⅹ. 부록
1) 참고문헌
『사회복지조사론』, 청목출판사. 김태성·김기덕·이채원·홍백의.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나남출판사. Allen Rubin. Earl Babbie.
『대학생의 동아리 및 여가참여 유무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2003 손유진
『99년 서울대학교 재학생 생활실태조사 결과보고서』 1999 김계현 김상균 남기철
『대입재수생의 면역기능에 대한 연구』 1992. 이기주 정영조 한기석
『자아 존중감 척도』
『학교생활 적응도 척도』
2006년 10월 17일자 한겨레신문 <고대신문> 기사
2. 자아존중감과 학교 적응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이것은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학교 적응도가 높고, 자아존중감이 낮으면 학교 적응도도 낮다는 것을 뜻한다.
3. 성별은 평균으로 봤을 때는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만, SPSS분석 결과 성별과 적응도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 초기에 가설을 세웠을 당시엔, 재수의 여부와 성별, 나이 등이 학교생활 적응에 많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러한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그러한 요인들은 적응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유일하게 ‘개인의 성격’이 학교생활 적응과 유의한 관계로 분석되었는데, 이를 통해 우리가 초기에 생각했던 요인들 보다는 개인의 성격이 더 많이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Ⅸ. 제한점 및 연구 방향 제시
1) 연구의 제한점
우선 표본의 수가 매우 적어서 연구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조사방법상에 있어서도 의도적인 할당 표집인 만큼 객관성이 떨어졌고, 조원이 속한 기독교학과와 사회복지학과에 조사대상자가 편협 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구주제가 재수생들에게 일종의 낙인감을 줄 위험이 있었고 이로 인해 설문에 응할 당시에 주변의 시선을 염려하여 거짓으로 응답을 하는 경우도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설문지를 배포할 당시 주변의 어느 정도의 친분이 있는 재수생을 대상으로 의도적인 표집을 함에 따라 연구의 유효한 표본인 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재수생들의 응답을 원활히 이끌어내지 못해서, 표본의 대표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연구주제와 어느 정도의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통제변수들을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개인의 환경 내의 존재하는 다양한 변수들을 이 연구에서 모두 다루는 데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었다.
2) 향후 연구방향 제시
다양한 설문문항들을 개발하거나 탐색하고 보다 안정되고, 정확한 척도를 개발하여 조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표본추출 시 가능하다면 의도적인 표집이 아닌 할당표집만을 사용하여 외적타당도를 높여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겠다. 향후의 연구에서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재수가 자아존중감과 연관이 있는지와 재수여부외의 학교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여 학생들이 앞으로 조화롭고 안정적인 학교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Ⅹ. 부록
1) 참고문헌
『사회복지조사론』, 청목출판사. 김태성·김기덕·이채원·홍백의.
『사회복지조사방법론』, 나남출판사. Allen Rubin. Earl Babbie.
『대학생의 동아리 및 여가참여 유무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2003 손유진
『99년 서울대학교 재학생 생활실태조사 결과보고서』 1999 김계현 김상균 남기철
『대입재수생의 면역기능에 대한 연구』 1992. 이기주 정영조 한기석
『자아 존중감 척도』
『학교생활 적응도 척도』
2006년 10월 17일자 한겨레신문 <고대신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