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Mises의 思想과 方法論 分析
Ⅲ. Mises의 사상과 방법론 적용- 經濟學 分析
Ⅳ. 결론
【참고 문헌】
Ⅱ. Mises의 思想과 方法論 分析
Ⅲ. Mises의 사상과 방법론 적용- 經濟學 分析
Ⅳ.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조절 하기 위해서 혹은 유권자의 표를 의식한 정치적 의도로 시장에 간섭하게 된다. 이러한 정부의 시장간섭은 일반적으로 신용확대에 의해서 극단적인 호황과 불황의 cycle과 장기적인 불황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정부에 의한 시장 간섭은 지양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미제스가 주창(主唱)하는 자유시장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강력한 증거 이다.
Ⅳ. 결론
이 Paper는 칼 멩거Carl Menger로부터 시작된 오스트리아학파를 이차 대전 이후 다시 부흥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루드비히 폰 미제스의 이몬 버틀러 저김이석 역 (2000), p.581
사상과 경제학에 대한 연구서 이다. 오늘날 경제학 교육 과정에 오스트리아 학파 특히 미제스의 이론이 배제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의 사상을 접할 기회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미제스 경제학의 가치를 저하 시키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이 사실을 제3세대 오스트리언인 미제스의 제자 Murry N. Rothbard의 스승에 대한 평가에서 알 수 있다.
정치와 사상의 세계에서 우리는 가끔 단 두 개의 대안만 제안받으며, 그리고는 그 주어진 범위내에서 선택을 하도록 권유받는다. 1930년대에 좌익인사들은 우리에게 공산주의와 파시즘간에 선택을 해야만 한다고 말했으며, 그 둘만이 유일한 대안이라고 했다. 이제 우리는 현대 미국 경제학계에서자유시장통화주의자들free marketMonetarists과 케인즈주의자들Keynesians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기대되고 있으며, 연방정부가 화폐공급을 확대해야만 하는 정확한 양, 또는 연방정부 적자의 정확한 수준에 대단한 중요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 하게끔 되어 있다. 화폐-재정적으로뒤섞인정부정책에 대한 시시한 언쟁보다 훨씬 우위에 있는 세 번째 대안은 실질적으로 잊혀지고 있다. 거의 모든 사람이 화폐공급, 또는 경제체제의 모든, 혹은 일부에 대한 정부의 영향이나 통제, 또 그외 무엇이든 그것을 근절하는 세번째 대안은 실질적으로 잊혀지고 있다. 거의 모든 사람이 화폐공급, 또는 경제체제의 모든, 혹은 일부에 대한 정부의 영향이나 통제, 또 그외 무엇이든 그것을 근절하는 세번째 대안을 염두에 두지 않기 때문이다. 그 무시되었던 길은 순수 자유시장 노선이었는데 이는 단 한 명, 외로이 싸울 태세를 갖추었던 출중하고 눈부시게 창조적인 경제학자, 바로 루드비히 폰 미제스가 전생애를 바쳐 싸우고 퍼뜨린 노선이었다. 이 세계가 국가통제주의의 악영향에서 벗어나려면 둘다 그들이 현재 처한 수렁에서 빠져나와 루드비히 폰 미제스가 우리를 위해 마련한 높은 경지로 올라와야 한다고 해도 전혀 과장된 표현이 아니다.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안재욱이은영 역 1998, p.251-252)
자유주의 사상이 오류이며, 우리들 삶의 질을 더욱 저하 시킬 가능성은 존재 한다. 그러나 자유주의는 종교의 교리처럼 완전성이나 지상낙원을 약속하지 않고 단지 여러분들이 잘 살기 위해서는 남 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는 지극히 상식적인 요구를 한다. 이 과정에 정부의 통제와 간섭은 개인이 이룩한 성과를 가로 채거나 부의 창출을 방해 할 뿐이기 때문에 반대한다. 물론 개개인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정부의 역할은 인정한다. 이 점에서 자유주의와 무정부주의는 다르다. 자유주의는 인간존중의 사상이다. 인간들을 믿고, 존중하기 때문에 개인의 이타심에 의한 복지가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타인에게 위해(危害)를 가하지 않는 이상 인간에게 가해지는 인위적인 모든 폭력과 속박(束縛)에 반대한다. 또한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물질적 복지를 달성하기 위해서 유일하게 실현 가능한 제도가 자유경제체제 즉 자본주의 이므로 자본주의를 옹호한다. 미제스는 이런 자유주의 이념을 정립하고, 이 길은 단지 이상(理想)이 아니라, 실현 가능함을 그의 천재성을 발휘하여 끊임 없이 증명하였다. 그의 궁극적인 연구 대상은 인간행동 그 자체 즉 인간행위학(praxeology) 인간행위학이란 용어는 1890년에 에스피나스(Espinas)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그의 논
문Les Origines de la technologie,Revue Philosophique, XVth year, XXX, 114~115와
똑같은 제목으로 1897년 파리에서 출판된 그의 책 참조(비교)
L.v. 미이제스 著朴炳鎬 監譯, (1987), p.4 재인용
이었지만, 특히 경제학에 집중했다. 그것은 물질적 풍요가 인간 집단이 번영하는데 필수적 요소이므로 당연한 것이다. 미제스의 경제학은 죽은 사회을 대상으로 하는 수리모형적 분석에 편중된 주류 경제학과는 달리 살아 움직 이는 현실 세계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것이 진정 경제학자의 임무라고 생각 한다.
【참고 문헌】
1. 공병호,『기업가』, 자유기업센터, 1998, p.307
2. 金峻永 著,『高級巨視經濟論』, 法文社, 1996
3. L.v. 마이제스 著朴炳鎬 監譯, 『인간행위의 경제학』, 경문사, 1987
4.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이지순 역, 『자유주의』, 한국경제연구원, 1995
5.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김진혁 역, 『자본주의 정신과 반자본주의 심리』, 한국경제연구
원, 1995
6.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윤용준 역, 『경제적 자유와 간섭주의』, 1997, 자유기업센터
7.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안재욱이은영 역,『자유를 위한 계획』, 자유기업센터, 1998
8. 밀튼 프리드만/안재욱이은영 공역, 『자유시장과 작은 정부』, 나남, 1993
9. 沈德補(1999), Mises의 經濟學 方法論에 관한 一考 - 人間行爲學 方法論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Eamonn butter저김이석 역, 「루드비히 폰 미제스」, 자유기업원, 2000
11. 아담사프 지음, 김영숙 옮김 『인식론 입문』, 연구사, 1990
12. 오광우, 『경제학 방법론』, 경문사, 1987
13. 알렉산더 H. 샨드지음이상호 옮김,『自由市場의 道德性』, 文藝出版社, 1996
14. 조순외,『하이에크 연구』, 민음사, 1995
15. F. A. 하이에크 저신중섭 역,『치명적 자만』, 한국경제연구원, 1996
Ⅳ. 결론
이 Paper는 칼 멩거Carl Menger로부터 시작된 오스트리아학파를 이차 대전 이후 다시 부흥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루드비히 폰 미제스의 이몬 버틀러 저김이석 역 (2000), p.581
사상과 경제학에 대한 연구서 이다. 오늘날 경제학 교육 과정에 오스트리아 학파 특히 미제스의 이론이 배제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그의 사상을 접할 기회가 거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미제스 경제학의 가치를 저하 시키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이 사실을 제3세대 오스트리언인 미제스의 제자 Murry N. Rothbard의 스승에 대한 평가에서 알 수 있다.
정치와 사상의 세계에서 우리는 가끔 단 두 개의 대안만 제안받으며, 그리고는 그 주어진 범위내에서 선택을 하도록 권유받는다. 1930년대에 좌익인사들은 우리에게 공산주의와 파시즘간에 선택을 해야만 한다고 말했으며, 그 둘만이 유일한 대안이라고 했다. 이제 우리는 현대 미국 경제학계에서자유시장통화주의자들free marketMonetarists과 케인즈주의자들Keynesians 사이에서 선택하도록 기대되고 있으며, 연방정부가 화폐공급을 확대해야만 하는 정확한 양, 또는 연방정부 적자의 정확한 수준에 대단한 중요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 하게끔 되어 있다. 화폐-재정적으로뒤섞인정부정책에 대한 시시한 언쟁보다 훨씬 우위에 있는 세 번째 대안은 실질적으로 잊혀지고 있다. 거의 모든 사람이 화폐공급, 또는 경제체제의 모든, 혹은 일부에 대한 정부의 영향이나 통제, 또 그외 무엇이든 그것을 근절하는 세번째 대안은 실질적으로 잊혀지고 있다. 거의 모든 사람이 화폐공급, 또는 경제체제의 모든, 혹은 일부에 대한 정부의 영향이나 통제, 또 그외 무엇이든 그것을 근절하는 세번째 대안을 염두에 두지 않기 때문이다. 그 무시되었던 길은 순수 자유시장 노선이었는데 이는 단 한 명, 외로이 싸울 태세를 갖추었던 출중하고 눈부시게 창조적인 경제학자, 바로 루드비히 폰 미제스가 전생애를 바쳐 싸우고 퍼뜨린 노선이었다. 이 세계가 국가통제주의의 악영향에서 벗어나려면 둘다 그들이 현재 처한 수렁에서 빠져나와 루드비히 폰 미제스가 우리를 위해 마련한 높은 경지로 올라와야 한다고 해도 전혀 과장된 표현이 아니다.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안재욱이은영 역 1998, p.251-252)
자유주의 사상이 오류이며, 우리들 삶의 질을 더욱 저하 시킬 가능성은 존재 한다. 그러나 자유주의는 종교의 교리처럼 완전성이나 지상낙원을 약속하지 않고 단지 여러분들이 잘 살기 위해서는 남 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는 지극히 상식적인 요구를 한다. 이 과정에 정부의 통제와 간섭은 개인이 이룩한 성과를 가로 채거나 부의 창출을 방해 할 뿐이기 때문에 반대한다. 물론 개개인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정부의 역할은 인정한다. 이 점에서 자유주의와 무정부주의는 다르다. 자유주의는 인간존중의 사상이다. 인간들을 믿고, 존중하기 때문에 개인의 이타심에 의한 복지가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타인에게 위해(危害)를 가하지 않는 이상 인간에게 가해지는 인위적인 모든 폭력과 속박(束縛)에 반대한다. 또한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물질적 복지를 달성하기 위해서 유일하게 실현 가능한 제도가 자유경제체제 즉 자본주의 이므로 자본주의를 옹호한다. 미제스는 이런 자유주의 이념을 정립하고, 이 길은 단지 이상(理想)이 아니라, 실현 가능함을 그의 천재성을 발휘하여 끊임 없이 증명하였다. 그의 궁극적인 연구 대상은 인간행동 그 자체 즉 인간행위학(praxeology) 인간행위학이란 용어는 1890년에 에스피나스(Espinas)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그의 논
문Les Origines de la technologie,Revue Philosophique, XVth year, XXX, 114~115와
똑같은 제목으로 1897년 파리에서 출판된 그의 책 참조(비교)
L.v. 미이제스 著朴炳鎬 監譯, (1987), p.4 재인용
이었지만, 특히 경제학에 집중했다. 그것은 물질적 풍요가 인간 집단이 번영하는데 필수적 요소이므로 당연한 것이다. 미제스의 경제학은 죽은 사회을 대상으로 하는 수리모형적 분석에 편중된 주류 경제학과는 달리 살아 움직 이는 현실 세계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하는 방향을 제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것이 진정 경제학자의 임무라고 생각 한다.
【참고 문헌】
1. 공병호,『기업가』, 자유기업센터, 1998, p.307
2. 金峻永 著,『高級巨視經濟論』, 法文社, 1996
3. L.v. 마이제스 著朴炳鎬 監譯, 『인간행위의 경제학』, 경문사, 1987
4.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이지순 역, 『자유주의』, 한국경제연구원, 1995
5.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김진혁 역, 『자본주의 정신과 반자본주의 심리』, 한국경제연구
원, 1995
6.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윤용준 역, 『경제적 자유와 간섭주의』, 1997, 자유기업센터
7. 루드비히 폰 미제스 저/안재욱이은영 역,『자유를 위한 계획』, 자유기업센터, 1998
8. 밀튼 프리드만/안재욱이은영 공역, 『자유시장과 작은 정부』, 나남, 1993
9. 沈德補(1999), Mises의 經濟學 方法論에 관한 一考 - 人間行爲學 方法論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Eamonn butter저김이석 역, 「루드비히 폰 미제스」, 자유기업원, 2000
11. 아담사프 지음, 김영숙 옮김 『인식론 입문』, 연구사, 1990
12. 오광우, 『경제학 방법론』, 경문사, 1987
13. 알렉산더 H. 샨드지음이상호 옮김,『自由市場의 道德性』, 文藝出版社, 1996
14. 조순외,『하이에크 연구』, 민음사, 1995
15. F. A. 하이에크 저신중섭 역,『치명적 자만』, 한국경제연구원, 199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