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사회학의 기준으로 본 미술교과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 사회학의 기준으로 본 미술교과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⑴미술 교과서 그리고 ...

Ⅱ본론
⑴교과서에서
①지배계급 문화가 보여요!
②문화제국주의가 보여요!
③도시중심의 문화가 보여요!
⑵시험지에서
①시험지에 나타난 교육평가의 오류

Ⅲ결론
⑴글을 마치면서... ...
⑵참고자료

본문내용

부도 가르쳐 주고 미술도 가르쳐 주는 학원에 나와 언니를 보내셨다. 물론 두 자녀를 보내면서 남들보단 싸게 배울 수 있었다. 난 공부와 미술을 같이 가르치는 학원이었지만 그 곳은 공부위주의 시스템이었다. 하지만 난 공부 보다는 그림그리기에 열중했었다. 그래서 자주 혼났지만 그래도 그때 미술을 접할 수 있어서 난 기뻤다.
그 후 난 고등하교 진학 시 예술고등하교에 갈 것이지 아니면 일반 인문계고등학교에 갈 것인지에 대해서 고민했고 예술 고등학교를 가고 싶다고 어머니께 나의 의견을 표명했다. 하지만 어머니는 반대하셨다. 당연히 그 이유는 자식이 네 명인데 내가 예술 고등학교에 가면 집안이 휘청하기 때문이다. 예술 고등학교의등록금은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의 등록금에 몇 배나 하고 더 중요한 사실은 레슨비가 어마하다는 것이다. 이런 사실을 알아보신 어머니께서는 우선 인문계 고등학교에 가라고 하셨고 난 그렇게 했다. 이때 난 많이 울었다. 어릴 때 미술학원 제대로 못 다녀서 울었던 이유와 동일한 이유였다. 하고 싶은 것을 가지고 싶은 꿈을 누구는 싶게 그곳에 다다를 수 있고 누구는 그럴 수 없는 사실에 난 억울했다. 아마 이런 억울함이 내 가슴 안에 있기에 난 내가 가르쳤던 아이의 어머니가 형편이 안 좋아서 그만 둘 수밖에 없는 상황에 더 마음이 아팠을지 모른다.
이렇게 미술문화를 접할 수 있는 문화 자본자자체가 지배계급의 사람들과 노동자계층의 사람들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그렇기에 미술 실력이라는 것이 결국은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를 구분하게 만든다. 또한 교과서의 전반적인 내용은 지배계급의 문화를 다루고 있다.
② 문화제국주의가 보여요!
문화제국주의란 선진국의 정보와 문화가 개발도상국으로 흘러 사회구조, 가치관, 생활양식 등이 닮아가는 것을 말한다. 이 때 문화제국주의는 한 집단이나 사회의 구성원들의 민족 중심적 태도가 다른 나라에 대한 자국문화의 전파라는 점에서 국제적 문화이식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크리스마스는 문화제국주의의 좋은 예가 되는 현상이다. 원래 서양에서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크리스마스하면 불교 신자들마저 케이크를 사고 나눠먹는 날이 된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코카콜라와 맥도날드를 들 수 있다. 전 지구의 수많은 사람들이 코카콜라를 마시고 맥도날드를 먹는다.
이러한 문화제국주의적인 면이 미술교과서에도 드러난다. 미술 교과서에서 작가가 어느 나라 사람이냐의 기준으로 서양화와 동양화를 나누어서 작품의 수를 세어 보았다. 서양화 작품은 총 167작품이었고 동양화는 125작품이었다. 더 자세히 들어가 보면 동양화에서도 한국화와 그 외 아시아권의 나라의 작품들이 있다. 이것을 다시 나누어 보면 한국화는 108개의 작품이 있었고 17개의 작품은 다른 아이아권 나라의 작품이었다. 더 중요한 사실은 한국화 중에서 39개의 작품은 학생 작품 이라는 것이다. 결국 순수작가의 작품으로 서양의 작품과 한국의 작품의 수만으로 비교해 볼 때 한국화는 뒤쳐진다. 또한 그림의 크기나 비중도 한국화가 뒤쳐졌다.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재료적인 면에서 다시 비교해 보았다. 먼저 이러한 점을 비교해 볼 때 서양의 재료가 다양하게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화에서도 다양한 재료들이 많이 있다. 닥종이를 이용한 작품이나 분채를 이용하여 채색화를 한 작품도 있으며 천에 그림을 곱게 그린 견화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재료가 쓰인 작품은 이 교과서에 존재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서양에서 주로 사용하는 재료인 수채, 아크릴, 유화, 템페라, 실크 스크린, 포스터물감 등은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한국화에서 주로 사용하는 재료인 먹, 석채, 후채는 차지하는 비중이 적었다. 이러한 내용을 표로서양화
동양화
미국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에스파냐
영국
독일
스위스
기타(25개국)
한국
중국
일본
인도
학생 작
작가 작
36
33
23
7
11
13
4
4
36
39
69
8
6
3
167
125
한번 정리해 보았다. 아래의 표를 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재료 명
작품에 사용된 빈도
합계
한국화

34번
40번
석채
1번
후채
5번
서양화
유화
61번
89번
아크릴
5번
템페라
2번
프레스코
5번
실크 스크린
4번
수채
4번
포스터물감
3번
콩테
1번
기타
목탄
4번
81번

20번
청동
13번
나무
12번
합성수지
4번

13번

4번
컴퓨터그래픽
11번
③ 도시중심의 문화가 보여요!
이 천제교육의 고등학교 미술을 지은 저자는 홍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7.23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