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이홍장의 삶과 그의 업적 >
1. 서 론
2. 본 론
1) 이홍장 그는 누구인가?
2) 중화패권주의의 역사적 모델
3) 이홍장의 대한정책
4) 이홍장의 몰락
3. 결 론
- 참 고 문 헌 -
1. 서 론
2. 본 론
1) 이홍장 그는 누구인가?
2) 중화패권주의의 역사적 모델
3) 이홍장의 대한정책
4) 이홍장의 몰락
3. 결 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한 강화 거부 세력이 현실적으로 청·일 간의 정치 관계를 결정하는 힘을 가졌더라면, 바꿔 말하자면 전쟁이 재개되었다면 어떻게 되었을 것인가를 상상하는 것은 역사를 보는데 있어서 정력의 낭비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적어도 일본은 그 전투에서의 화려한 승리에도 불구하고 어쩌면 그 이상의 장기전에는 자력으로 견디어 내는 일이 불가능하였을 것이다.
이 분석은 당시의 동아시아를 둘러 싼 국제 정세의 기본적인 양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적어도 오로지 야만적인 일본을 증오한다는 단순한 생각에서가 아니라 열강과 일본은 역할을 당시의 세력관계에서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탁월한 통찰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 이다.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담고 있는 강화거부 여론이 무르익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독일·프랑스 3국의 간섭에 의하여 요동반도의 분할양도 요구가 뒤집혔을 뿐 강화조약은 체결 되었다. 일본의 초조한 강화중재 요청에도 불구하고 열강은 보다 많은 경제적 이권을 중국으로부터 얻어내는데 필요한 정도로까지 일본이 무력행사를 하도록 지켜보다가, 일본이 그 이상 군사 진출하여 그들의 대중국 침략정책에 방해가 될지도 모를 지경에 이르자 일제히 공통 간섭 정책으로 나왔다. 이러한 움직임이 이홍장을 대표로하는 청국의 실권파의 행동을 깊이 규제하였는데, 주로 열강이 일본의 진출을 막 는 것이라는 외세 의존적 사고방식을 키워주어 그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외교자세를 흩으러 지게 하였다. 이러한 결말은 청국 내의 지도층의 양상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즉 주전파는 이(李)일파와 서태후 일파를 중앙 권력에서 밀어 내고 장지동· 옹동화가 중앙과 지방에서 권력을 잡고 광서제를 궁정의 정면에서 내세우는데 성공한 것이다.
3. 결 론
이홍장은 황제가 아닌 북양 대신으로 신분이 낮았음 에도 불구하고 이는 중국의 근대화에 기여를 하였으며, 태평천국 운동에 공을 세우고 양무운동의 중심인물로 군대와 산업의 근대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의 패배로 실각하였다.
- 참 고 문 헌 -
- 야촌호외 / 중국현대사 / 한길사 / 1980
- 진순신 / 중국의 역사 / 한길사 / 1995
- 이종범,최원규 / 자료 한국근현대사입문 / 혜안 / 1999
- 남경태 / 종횡무진 동양사 / 그린비 / 1999
- 신성곤 /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 서해문집 / 2004
- 조관희 /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중국사 / 2003
이 분석은 당시의 동아시아를 둘러 싼 국제 정세의 기본적인 양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적어도 오로지 야만적인 일본을 증오한다는 단순한 생각에서가 아니라 열강과 일본은 역할을 당시의 세력관계에서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서 탁월한 통찰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 이다.
앞에서 살펴본 내용을 담고 있는 강화거부 여론이 무르익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독일·프랑스 3국의 간섭에 의하여 요동반도의 분할양도 요구가 뒤집혔을 뿐 강화조약은 체결 되었다. 일본의 초조한 강화중재 요청에도 불구하고 열강은 보다 많은 경제적 이권을 중국으로부터 얻어내는데 필요한 정도로까지 일본이 무력행사를 하도록 지켜보다가, 일본이 그 이상 군사 진출하여 그들의 대중국 침략정책에 방해가 될지도 모를 지경에 이르자 일제히 공통 간섭 정책으로 나왔다. 이러한 움직임이 이홍장을 대표로하는 청국의 실권파의 행동을 깊이 규제하였는데, 주로 열강이 일본의 진출을 막 는 것이라는 외세 의존적 사고방식을 키워주어 그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외교자세를 흩으러 지게 하였다. 이러한 결말은 청국 내의 지도층의 양상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즉 주전파는 이(李)일파와 서태후 일파를 중앙 권력에서 밀어 내고 장지동· 옹동화가 중앙과 지방에서 권력을 잡고 광서제를 궁정의 정면에서 내세우는데 성공한 것이다.
3. 결 론
이홍장은 황제가 아닌 북양 대신으로 신분이 낮았음 에도 불구하고 이는 중국의 근대화에 기여를 하였으며, 태평천국 운동에 공을 세우고 양무운동의 중심인물로 군대와 산업의 근대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의 패배로 실각하였다.
- 참 고 문 헌 -
- 야촌호외 / 중국현대사 / 한길사 / 1980
- 진순신 / 중국의 역사 / 한길사 / 1995
- 이종범,최원규 / 자료 한국근현대사입문 / 혜안 / 1999
- 남경태 / 종횡무진 동양사 / 그린비 / 1999
- 신성곤 /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 서해문집 / 2004
- 조관희 /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중국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