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축제와 문화]스페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럽의 축제와 문화]스페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페인의 국기 및 국가 개요

2. 스페인의 지형 및 기후

3. 스페인의 경제

4. 스페인의 종교

5. 스페인의 사람들

6. 스페인의 문화

7. 스페인의 사회 문제

참고자료

본문내용

vision)으로 구성되어 있음.
7. 스페인의 사회
- 스페인 사회의 특징 -
-스페인은 기본적으로 다민족사회(Multinational Society)로써 지역주의가 강함. 1975년 Franco 총독의 권위주의 체제 종식이후, 민주화 전환기를 거쳐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바탕한 오늘날의 스페인 사회가 건설됨
-1960-70년대에 태어난 신세대(오늘날의 30-40대 연령층)는 기존세대와 달리 구 프랑크 독재체제에 비판적임.
-극소수 극우세력과 60대이상 노년층에서 프랑크체제 향수 경향
-스페인 국민을 대상으로 El Pais 지가 실시한 2003.9.7 여론조사결과에 의하면 현대 스페인 사회가 우려하는 심각한 문제들로서 실업문제( 61%), 테러리즘 문제(45.1%), 사회범죄 또는 치안불안( 20.7%)등을 지적함. 기타 경제상황(12.8%), 국제평화문제(7.6%), 사회복지(7.2%), 교육(6.5%), 스페인 정치상황(4.2%) , 부패(2.1%)등을 지적
-스페인 경제가 지난 70년대 중반이래 계속 발전하여 현재 EU 회원국 경제수준의 80% 수준까지 진입함에 따라 자국 경제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 2000년 여론조사에서 60% 이상의 국민이 자국을 선진국(very developed)으로 간주.
-스페인은 여타 중·북부유럽과 달리 '가족'을 핵심 사회단위로 간주하고 있음.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가족이 노인을 부양하여야 한다는 응답자가 90%임.
-북아프리카와 지리적으로 인접한 관계로 불법이민자들의 주요 통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동부유럽 및 중·남미 출신 불법이민자 급증으로 고용문제 및 범죄증가 등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음.
- 현재 스페인 사회의 주요 문제 -
[스페인 바스크 분리주의자 영구휴전 선포]
-배경 : 독립 공국이었던 바스크 지방은 19세기 후반 스페인 왕위 쟁탈전에서 패자 편에 섰다가 독립을 잃었고, 1937년 스페인의 제2공화국을 무너뜨린 프랑코 군대에게 짓밟혔다. 프랑코의 사주로 독일 공군의 융단폭격을 받아 피카소의 그림 <게르니카>의 소재가 된 같은 이름의 도시도 바스크 지방에 있다. 카탈로니아 지방과 함께 바스크 지방은 프랑코 독재가 막내리기 전에는 고유언어의 사용조차 금지될 정도로 탄압을 받았다.
-내용 : ETA는 22일 성명을 통해 “24일부터 휴전에 들어가기로 결정했다”며 “이 결정은 영구적인 것”이라고 밝혔다. ETA는 1960년대 말부터 스페인 북부와 프랑스 남서부 지방에 위치한 바스크 언어 사용 지역의 분리 독립을 주장하며 요인 암살과 테러를 감행했고, 그동안 800여명이 희생됐다. ETA는 1998년 휴전선언을 한 적이 있지만 영구 휴전 선언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ETA의 이번 선언이 바스크 지역의 평화를 가져오는 초석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ETA는 지도급 인물들이 잇따라 검거되면서 세력이 급격히 약화됐다. 또 바스크 지역 내외를 막론하고 ETA의 테러 행위에 대한 항의 시위가 연일 벌이지고 있는 것도 ETA의 휴전 선언을 이끌어냈다는 분석이다.
[카탈루냐, 독립국가 되나?]
-배경 : 스페인 제 2의 도시 바르셀로나가 속해있는 카탈루냐 지방은 근대국가 수립 이전부터 마드리드 중심의 중앙권력과 마찰을 빚어왔다. 최근까지도 바스크 지방과 함께 스페인으로부터의 분리운동이 활발하게 벌어져온 대표적인 곳이다. 문화적 전통도 다른데다 종족과 언어도 다르다. 19세기부터 자치공화국 수립과 카탈루냐어의 공용화를 요구했지만 중앙정부의 탄압을 받았다. 1936년 프랑코 총통에 의해 자치권을 박탈당했다가 1977년에야 회복됐다.
-내용 : 스페인 하원은 30일 카탈루냐를 ‘국가적 존재’로 규정한 법안을 격론끝에 189대 154로 통과시켰다. 상원과 카탈루냐 지방의회의 심의, 주민투표 등의 절차가 남았지만 큰 변수가 없는한 올 하반기 최종 비준을 거쳐 발효될 것으로 보인다. 법안에 따르면 카탈루냐 자치정부는 각종 세수입 가운데 지금보다 많은 부분을 가져가게 된다. 또 공용어로 카탈루냐어를 사용하고 독자적인 사법권 행사도 보장받아 ‘주권국가’에 준하는 지위를 얻게 된다.
[스페인 공무원 시에스타 폐지]
- 배경 : 스페인에서는 점심 식사 후 낮잠을 즐기는 시에스타 문화가 관습으로 굳어져 왔다. 그러나 그동안 스페인의 경제계는 시에스타가 하루를 망치는 비효율적인 관습이라며 공식적 폐지를 주장해 왔다. 업무 효율에 차질을 줌으로써 국가 경제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실제로 스페인의 연간 근무시간은 세계 10위를 기록할 정도로 많지만 생산성은 더 적은 시간 근무하는 국가들보다도 훨씬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내용 : 28일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스페인의 사회당 정부는 법령을 통해 공무원들의 점심시간을 1시간으로 줄여 시에스타를 공식적으로 폐지했다. 현재 오후 2시부터 4시까지의 점심시간을 다른 유럽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낮 12시부터 오후 1시까지로 조정하면서 퇴근 시간을 오후 6시로 앞당긴 것이다. 하지만 변화가 쉽게 적용될지는 미지수다. 일부 시민들은 “긴 점심시간은 인간관계를 다지는 주요 수단”이라며 “45분의 점심시간에 의미있는 일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부정적 의견을 밝혔다.
참고자료
-<스페인 문화의 이해> 고려대학교출판부
-
-<유럽의 축제> 올리히 쿤 하인
-http://203.233.202.132/dir/country/Europe/ES/CTRSUB120/
-http://www.mofat.go.kr/ek/ek_a003/ek_eses/ek_02.jsp
-http://www.shoestring.co.kr/destinations/europe/spain.htm#지리%20및%20기후
-http://my.dreamwiz.com/vale/ambiente.htm
-http://www.spain114.com
-http://segero.hufs.ac.kr/scripts/article_view.asp?JNAME=IANR&ISSUEID=58&SECID=037
한국외대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주한스페인대사관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8.03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3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