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성병과 성행위 감염증
2. 성병의 원인 및 전파경로
1) 임질
2) 매독
3) 연상하감
4) 서혜임파육아종
5) 트리모나스증
6) 칸디나증
7) 요도염
3. 성병의 발생 빈도
4. 성병의 증상
5. 성병의 합병증
6. 성병의 예방법
7. 성병 예방의 중요성
- 참 고 문 헌 -
2. 성병의 원인 및 전파경로
1) 임질
2) 매독
3) 연상하감
4) 서혜임파육아종
5) 트리모나스증
6) 칸디나증
7) 요도염
3. 성병의 발생 빈도
4. 성병의 증상
5. 성병의 합병증
6. 성병의 예방법
7. 성병 예방의 중요성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 선천성 매독은 감염된 신생아의 사망이나 심한 손상을 초래한다. 만일 임신 4개월전에 성공적으로 치료를 하면 태아는 감염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임부는 임신 3개월 동안에 매독검사를 받아야 한다.
3) 연상하감
듀크레이(Ducrey)균이라는 간균에 의하여 생기며, 이 균은 비누와 물은 많이 사용하면 생존하지 못한다. 주로 성교에 의해 전파되면, 피부에 상처를 통해 감염된다.
4) 서혜임파육아종
VIrus가 원인이 되면 성교로 인해 전파된다.
5) 트리모나스증
트리코모나스증은 Trichomonas Vaginalis라는 원충에 의해 유발되는 성행위 감염증이다.
감염된 여성은 성상대자인 남성의 뇨도내에나 혹은 포경수술을 받지 않는 경우 표피아래에 트리코모나스 병원체를 옮긴다. 트리코모나스 병원체는 내한성이며 습기나 물속에서 수시간 생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의 질은 목욕타올, 변기, 세수수건, 혹은 감염된 사람이 사용한 물건에 직접 접촉이 되면 감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영장이나 감염된 사람이 사용한 목욕탕에서 병원체가 여성의 질속으로 들어오기도 한다. 그러나 주요 감염경로는 질을 통한 성교에 의해 유발된다.
6) 칸디나증
모닐리아증(moniliasis), 혹은 아구창(thrush)으로도 알려져 있는 칸디나증은 Candida albi-cans에 의하여 야기되는 감염이다. 감염은 성적 접촉으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질 칸디다증의 대부분 원인은 아마도 내인성(endogenous)인 듯하다.
7) 요도염
확인하기 힘들며 가장 흔한 원인은 임균성 요도염이다. 비특이성 요도염은 임균성 요도염에 비하면 드물고 그림양성이나 그림음성세균 미코플라즈마, 트리코모나스에 의해 발병한다.
3. 성병의 발생 빈도
1) 임질
임질은 성병중에서도 성행위 감염증에서도 증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서구사회에서는 미국의 발생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점차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양학도, 1987). 미국의 경우 25세 이하의 젊은층에서 아주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2) 매독
매독은 임질보다 훨씬 낮은 발생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1982년 WHO의 보고에 의하면 1960년대에는 폴란드의 수도 Warsaw에서 1970년에는 스리랑카의 수도 Colombo, 쿠바의 수도 Havana, 베네주엘라의 수도 Caracas 등에서 매독의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일본은 1945년부터 매독에 대해 주효한 penicillin요법을 시행하여 급속한 감소를 나타냈다. 1965년 전후에 매독의 새로운 유행이 있었으나 그후 다시 감소하여 현재는 감염력이 있는 제1기, 제2기 매독증세의 산발적인 발생을 볼 수 있다. 그러나 1983년이후 필랜드의 수도 Helsinki와 일본에서 동성애 남성간의 항문성교가 큰 감염원이 되었고 구미제국과 일본에서 swapping의 성행위로서 제2기 매독피진이 발생한 남성의 예를 보고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54년부터 1957년 사이의 이환율이 1년에 약 6,500명이었으나, 1961년에는 그 3배나 되는 18,700명으로 증가하여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4. 성병의 증상
1) 임질
임질은 임균(Neisseria gonorrheae)을 병원체로 하는 질환으로 남성의 경우 성교 수일후에 배농을 수반한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된 남성의 약 90%가 초기증상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감염된 여성의 80% 이상은 질병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증상을 발견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남성과 여성의 초기증상이 불일치되는 점으로 미루어 임질로 진단받은 남성은 성상대자 여성에게 필히 알려주어야 한다. 또 어떤 남성은 무정후일 경우가 있기
3) 연상하감
듀크레이(Ducrey)균이라는 간균에 의하여 생기며, 이 균은 비누와 물은 많이 사용하면 생존하지 못한다. 주로 성교에 의해 전파되면, 피부에 상처를 통해 감염된다.
4) 서혜임파육아종
VIrus가 원인이 되면 성교로 인해 전파된다.
5) 트리모나스증
트리코모나스증은 Trichomonas Vaginalis라는 원충에 의해 유발되는 성행위 감염증이다.
감염된 여성은 성상대자인 남성의 뇨도내에나 혹은 포경수술을 받지 않는 경우 표피아래에 트리코모나스 병원체를 옮긴다. 트리코모나스 병원체는 내한성이며 습기나 물속에서 수시간 생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여성의 질은 목욕타올, 변기, 세수수건, 혹은 감염된 사람이 사용한 물건에 직접 접촉이 되면 감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영장이나 감염된 사람이 사용한 목욕탕에서 병원체가 여성의 질속으로 들어오기도 한다. 그러나 주요 감염경로는 질을 통한 성교에 의해 유발된다.
6) 칸디나증
모닐리아증(moniliasis), 혹은 아구창(thrush)으로도 알려져 있는 칸디나증은 Candida albi-cans에 의하여 야기되는 감염이다. 감염은 성적 접촉으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질 칸디다증의 대부분 원인은 아마도 내인성(endogenous)인 듯하다.
7) 요도염
확인하기 힘들며 가장 흔한 원인은 임균성 요도염이다. 비특이성 요도염은 임균성 요도염에 비하면 드물고 그림양성이나 그림음성세균 미코플라즈마, 트리코모나스에 의해 발병한다.
3. 성병의 발생 빈도
1) 임질
임질은 성병중에서도 성행위 감염증에서도 증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서구사회에서는 미국의 발생빈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점차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양학도, 1987). 미국의 경우 25세 이하의 젊은층에서 아주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2) 매독
매독은 임질보다 훨씬 낮은 발생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1982년 WHO의 보고에 의하면 1960년대에는 폴란드의 수도 Warsaw에서 1970년에는 스리랑카의 수도 Colombo, 쿠바의 수도 Havana, 베네주엘라의 수도 Caracas 등에서 매독의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일본은 1945년부터 매독에 대해 주효한 penicillin요법을 시행하여 급속한 감소를 나타냈다. 1965년 전후에 매독의 새로운 유행이 있었으나 그후 다시 감소하여 현재는 감염력이 있는 제1기, 제2기 매독증세의 산발적인 발생을 볼 수 있다. 그러나 1983년이후 필랜드의 수도 Helsinki와 일본에서 동성애 남성간의 항문성교가 큰 감염원이 되었고 구미제국과 일본에서 swapping의 성행위로서 제2기 매독피진이 발생한 남성의 예를 보고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54년부터 1957년 사이의 이환율이 1년에 약 6,500명이었으나, 1961년에는 그 3배나 되는 18,700명으로 증가하여 커다란 사회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4. 성병의 증상
1) 임질
임질은 임균(Neisseria gonorrheae)을 병원체로 하는 질환으로 남성의 경우 성교 수일후에 배농을 수반한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된 남성의 약 90%가 초기증상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감염된 여성의 80% 이상은 질병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증상을 발견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남성과 여성의 초기증상이 불일치되는 점으로 미루어 임질로 진단받은 남성은 성상대자 여성에게 필히 알려주어야 한다. 또 어떤 남성은 무정후일 경우가 있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