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너스 아프로디테 도상의변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너스 아프로디테 도상의변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아프로디데(비너스)의 의미

본론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고대 혤레니즘 시대
르네상스시대
매너르즘시대
바로크시대
로코코시대
근현대시대
현재사회의비너스

결론
비너스의도상의 흐름과 느낌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코코 시대
19세기 초 카바넬의 작품에 나타난 비너스는 얼굴을 제대로 보이지 않고, 단지 성적 매력만 강조되어 무척 유혹적이고 에로틱하다. 몸의 형태는 바로크와 로코코의 풍만함에서 벗어나 좀더 현대에 이상적으로 생각되는 날렵한 선을 갖추었다. 이 그림은 비너스가 거품 속에서 탄생하는 것을 소재로 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선택은 누워 있는 여성의 누드에 신비감을 더해주기 위함 그 이상은 아니었던 것이다. 매우 아슬아슬한 포즈에, 비너스라는 소재가 아니었으면 자칫하면 포르노그라피의 영역으로 치부될 수도 있을 만큼 여성을 객체화하여 성적 대상으로 그리고 있다. 당시에 실제 여성을 보는 관점 또한 이러한 시선에서 자유롭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 이상화된 누드의 열풍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 마네의 <올랭피아>이다. 신화나 이상화에서 빠져나와 현실에 존재하는 여자를 그린 것이다. 이는 더 이상 비너스가 아니다. 이후 비너스의 시대는 사실상 막을 내린다. 누드는 더 이상 화가와 조각가들의 주요한 테마가 아니며, 전과 같은 관점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페미니즘 등 근현대 여러 사상의 영향을 받은 화가들은 남성 주문자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자신만의 시선을 표현하기 시작했다. 이상화되지 않은 실제의 누드가 냉담한 태도로 그려지거나, 에로틱해졌으며, 아니면 파편화, 추상화되었다.
근현대 시대
초현실주의자 폴 델보가 그린 비너스를 보면 체모가 표현되어 있는 등 여성에 대한 이상화된 이미지가 깨어지고 실제 여성의 누드에 훨씬 가까워졌다. 얼른 보기에는 인간이 자신의 몸을 더욱 정직하게 들여다보고 그것을 받아들이게 된 것처럼 보인다.
달리는 서랍들과 밀로의 비너스를 결합시키는 상징성을 “양삼의 가책에 대한 기독교적인 발명품으로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럴 개연성은 충분하기 때문에 몸속에 모든 서랍을 삽입시킬 필요가 있다. 이 조각은 우리를 정신분석법으로 치료할 수 있게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근 현대에 와서의 비너스의 모습은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서랍이 달린 밀로의 비너스>
1988년. 브론즈. 높이218센티
현재사회의 비너스
매스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아름다움의 기준을 굳이 그림이나 조각으로 표현할 필요가 없어졌다.
현대 사진예술에서 보여지는 비너스로‘살아있는 비너스’라 불리우는 ‘앨리슨 래퍼’는 자신의 신체를 화두로 대리석 같은 이미지로 예술로서 비너스의비를 창조해내어 미술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그녀는 비록 선천성 단지증이란 희귀성 질환이었지만,입으로 붓질을 하고 짧은 다리로 사진기의 셧터를 누르며 강열한 예술혼으로 고대 그리스의 미의 모습과 페미니즘한 강한 여성성까지 표현하고 있다.
‘살아있는 비너스’앨리슨 래퍼
현대 사회에의 이미지로 광고를 빼 놓을 수 없다. ‘비너스’라는 속옷의 광고 속에서 표현한 비너스는 로크와 로코코 시대를 넘어 19세기 초까지 화가들이 이상 속에 그린 ‘여성의미’를 담아내고 있다.
비너스 광고사진
결론
고대 시대부터 비너스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단서는 머리는 곱슬거리는 전형적인 서양 여성의 웨이브로, 뒤로 단정하게 올린 헤어스타일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고대 그리스에서 지위가 높고 품위 있는 여성들이 주로 하는 헤어스타일이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간혹 자연스럽게 표현된 작품에서는 긴 웨이브 머리를 뒤로 늘어뜨리기도 한다. 또한, 고전 시기를 지나면서 비너스는 거의 모든 작품에서 누드, 혹은 반 누드로 표현된다. 이는 비너스에게 부여된 아름다운 여성의 전형이자 사랑과 관능의 상징이라는 의미 때문일 것이다. 또한 비너스는 비둘기나 큐피트, 사과나 장미와 함께 표현되기도 한다. 고대 그리스 초기인 아르카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8.14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50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