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서론 : 심리요법의 상황과 로고테라피의 위치
Ⅲ. 로고테라피의 이론과 실제
1. 심리요법의 초임상적 의미
2. 인간 현상으로서의 자기초월
3. 의미란 무엇인가
4. 실존적 공허 : 정신 의학에의 도전
5. 로고테라피의 기법
6. 의학적 정신 지도
Ⅳ. 결론 : 의미의 제 차원
Ⅱ. 서론 : 심리요법의 상황과 로고테라피의 위치
Ⅲ. 로고테라피의 이론과 실제
1. 심리요법의 초임상적 의미
2. 인간 현상으로서의 자기초월
3. 의미란 무엇인가
4. 실존적 공허 : 정신 의학에의 도전
5. 로고테라피의 기법
6. 의학적 정신 지도
Ⅳ. 결론 : 의미의 제 차원
본문내용
기론을 상술한다.
쾌락 원리(pleasure principle)는 균형유지성 원리(homeostasis principle)이다.
(3) 생명의 의미 : 상대론과 주관론의 문제와 관계가 있다.
※ 로고테라피의 응용
(1) 정신인성(精神因性) 노이로제
(2) 심인성(心因性) 노이로제→전통적 의미의 노이로제 의 치료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신체인성(身體因性) 노이로제, 일반적인 신체인성 질환
실존적 공허(existential vacuum)는 현대 정신의학에 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오늘날 많은 환자들이 공허감과 무의미감에 대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데, 그 원인은 다음과 같다. 인간은 동물과 달리 본능이 인간에게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가르쳐주지 않는다. 그리고 옛날과 달리 전통도 인간이 마땅히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그 방향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따라서 인간은 자기가 실제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조차 모르게 되었다. 그 대신 남들이 하는 것을 하려고 하거나(동조주의 ; conformism), 남들이 자기가 하기를 바라는 것을 하게 된다(전체주의 ; totalitarianism).
전통의 붕괴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의 삶은 각각의 의미(意味)를 가지며, 인간의 생명이 다하는 마지막 순간까지 의미가 있다. 즉 어떠한 상태 하에서도 생명은 의미를 가지며, 불가피한 고통과 같은 삶의 비극적이고 부정적인 요소들까지도 인간이 자기의 곤경을 받아들이는 태도 여하에 따라 인간적인 업적으로 바뀌어 질 수 있다.
대부분의 실존주의 사상과는 달리 로고테라피는 결코 비관적이 아니며, 인간 존재의 비극적 삼중고(三重苦), 즉 고통죽음죄에 과감히 맞선다는 점에서 현실적이다. 로고테라피는 환자에게 절망을 승리로 변형시키는 방법을 보여주기 때문에 낙관적이다.
전통이 쇠퇴해가는 현대에 있어서 정신의학의 중요한 과제는 인간에게 의미를 발견하는 능력을 가르쳐주는 것이다.
Ⅱ. 서론 : 심리요법의 상황과 로고테라피의 위치
현대 심리요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실존적 정신의학의 출현이다. 그리고 로고테라피(logotherapy)는 이 실존적 정신의학의 범주에 속한다. 실제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 필요한 것이 의학적 정신지도(medical ministry)인데, 이것은 변경할 수 없는 자기 운명에 대한 환자의 태도를 치료하는 것으로 이 또한 로고테라피에 속한다.
로고테라피는 실존적 정신의학에 포함될 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서 기법(技法)이라고 일컬을만한 것을 개발하는데 성공한 유일한 학파이다. 하지만 이 말이 기법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려는 것은 아니다.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법이 아니라, 의사와 환자와의 인간관계 또는 인격적실존적 만남이다.
심리요법에 대한 순수 기법적인 또는 역동성의 견지에서의 접근 방법은 치료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 이것은 인간을 조종하고 사물화(事物化)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사물이 아니다. 실존주의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은 무(無 ; nothingness)가 아니라 비사물성(非事物性 ; no-thingness)이다.
샌
쾌락 원리(pleasure principle)는 균형유지성 원리(homeostasis principle)이다.
(3) 생명의 의미 : 상대론과 주관론의 문제와 관계가 있다.
※ 로고테라피의 응용
(1) 정신인성(精神因性) 노이로제
(2) 심인성(心因性) 노이로제→전통적 의미의 노이로제 의 치료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신체인성(身體因性) 노이로제, 일반적인 신체인성 질환
실존적 공허(existential vacuum)는 현대 정신의학에 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오늘날 많은 환자들이 공허감과 무의미감에 대한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데, 그 원인은 다음과 같다. 인간은 동물과 달리 본능이 인간에게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가르쳐주지 않는다. 그리고 옛날과 달리 전통도 인간이 마땅히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그 방향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따라서 인간은 자기가 실제로 무엇을 하고 싶은지 조차 모르게 되었다. 그 대신 남들이 하는 것을 하려고 하거나(동조주의 ; conformism), 남들이 자기가 하기를 바라는 것을 하게 된다(전체주의 ; totalitarianism).
전통의 붕괴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의 삶은 각각의 의미(意味)를 가지며, 인간의 생명이 다하는 마지막 순간까지 의미가 있다. 즉 어떠한 상태 하에서도 생명은 의미를 가지며, 불가피한 고통과 같은 삶의 비극적이고 부정적인 요소들까지도 인간이 자기의 곤경을 받아들이는 태도 여하에 따라 인간적인 업적으로 바뀌어 질 수 있다.
대부분의 실존주의 사상과는 달리 로고테라피는 결코 비관적이 아니며, 인간 존재의 비극적 삼중고(三重苦), 즉 고통죽음죄에 과감히 맞선다는 점에서 현실적이다. 로고테라피는 환자에게 절망을 승리로 변형시키는 방법을 보여주기 때문에 낙관적이다.
전통이 쇠퇴해가는 현대에 있어서 정신의학의 중요한 과제는 인간에게 의미를 발견하는 능력을 가르쳐주는 것이다.
Ⅱ. 서론 : 심리요법의 상황과 로고테라피의 위치
현대 심리요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실존적 정신의학의 출현이다. 그리고 로고테라피(logotherapy)는 이 실존적 정신의학의 범주에 속한다. 실제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 필요한 것이 의학적 정신지도(medical ministry)인데, 이것은 변경할 수 없는 자기 운명에 대한 환자의 태도를 치료하는 것으로 이 또한 로고테라피에 속한다.
로고테라피는 실존적 정신의학에 포함될 뿐만 아니라, 이 분야에서 기법(技法)이라고 일컬을만한 것을 개발하는데 성공한 유일한 학파이다. 하지만 이 말이 기법의 중요성을 과대평가하려는 것은 아니다.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법이 아니라, 의사와 환자와의 인간관계 또는 인격적실존적 만남이다.
심리요법에 대한 순수 기법적인 또는 역동성의 견지에서의 접근 방법은 치료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 이것은 인간을 조종하고 사물화(事物化)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은 사물이 아니다. 실존주의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은 무(無 ; nothingness)가 아니라 비사물성(非事物性 ; no-thingness)이다.
샌
추천자료
가족치료 이론정리
[로저스의 인간중심 치료]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의 의미와 기법, 절차 및 공헌점, 한계점, ...
게 슈 탈 트 치 료
인간중심치료 상담
의미치료기법 PPT
[신앙][신앙 의식][신앙 신비][신앙과 신앙치료][신앙과 신인식][신앙과 가신신앙][신앙과 미...
정신치료 (Psychotherapy)
음악치료 접근법과 모델
[감압병][잠수병][원인][고공노출감압병][감압병 분류][치료방법][고공노출][잠수부][잠수]감...
(CBT)인지행동치료의 기본 원리 레포트(인지행동치료,CBT,인지행동모델,인지과정)
사회복지학 - 치료기법중 경험적 가족치료(experiential family therapy)에 관해서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간중심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현실치료의 개요 및 윌리엄 글래서의 생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