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능을 수반하고 있다. 즉,
결혼제도는 개인적인 욕구충족, 특히 성적 욕구 충족을 가족내에서만
가능하도록 통제함으로써 사회적 유대감을 증대시키고 종족계승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성적 통제,종족계승,사회적이 유대감의 증대
등이 결혼의 사회적 동기이다. 그래서 결혼은 일정한 연령에 달한 두
남녀의 합의만으로도 성립될 수 있지마, 결혼식돠 같은 의식을 통하여
사회적 공인을 받는 절차를 밟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혼한 두 남녀는
사회적으로 새로운 역할과 관계를 갖게 되면 새로운 가족관계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결혼은 두 남녀 간의 제한된 계약행위로만 볼 수
없으며, 사회적 제도와 관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때문에 결혼은 사회적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인간은 사회적 규범 내에서 결혼생활을
영위하며, 결혼생활을 통하여 그들의 욕망과 목표를 실현하고 전체
사회의 재생산을 위해 유기적으로 기능한다. 그러므로 결혼은
개인적이며 동시에 사회적이 행위인 것이다.
2)전통적인 혼례 절차
일반적으로 두 사람의 어떤 동기로든 서로 결혼하기오 랍의를 하고, 또
주변의 가족 친지들에게 동의를 구하면 결혼을 하게 된다. 이 때 따르는
절차들이 우리를 기다린다. 그중에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는 절차들도 있고, 또 어떤 것은 좋은 면을 지닌 것도 있다.
여기서는 전통적인 혼례 절차와 현대적인 혼례 절차를 소개하고, 서로의
장 .단점을 비교.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통 혼례는 서로 결혼의사를 타진하는 의혼,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
예물을 보내는 납폐, 혼례식을 올리는 친영 등의 네 가지 의례로
이루어진다.
ⅰ)전통적인 혼례 절차
①의혼
신랑과 신부의 집이 서로 혼사를 의논하는 절차로, 가문과 가풍을
중시하던 한국의 전통 혼례식에서는 양가에서 중매인을 세워 상대방의
가문, 학식, 인품을 조사하고 두 사람의 궁합을 본 다음 허혼 여부를
결정하였다. 신랑집의 청혼편지에 신부집은 허혼의 편지를 보냄으로써
의혼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양가 부모들만이 신랑, 신부의 선을
보고 당사자들은 얼굴을 보지 못한다.
②납채
약속한 혼인을 받아들이는 일.
혼약이 이루어져 사주를 보내고 연길(혼인날짜)을 청하는 절차로서,
신부집으로부터 허론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정식으로 결혼을 신청하는 서장임)을 써거 홍색 보자기에 싸
보낸다. 신부집데서는 신랑의 사주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 보고 혼인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데 이를 연길이라
한다.
요즈음은 이 납채를 납폐(현대식으로 풀이하면 함)와 함께 하고 있다.
③납폐
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 성립의 증거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폐물을 보내는 의식.
④친영
혼인 육례의 하나로,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예식을 올리고 신부를
맞아오는 예를 말한다.
⑤병합례
초례가 끝나고 신랑과 신부가 신방에 함께 들어가는 의식
⑥동상례
혼례가 끝난 뒤 신랑이 신부집에서 친구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것
⑦폐백
혼례식을 나친 신부가 시부모에게 정식으로 첫인사를 올리는 의식
ⅱ)현대적인 혼례절차
①결혼식 날짜 결정
양쪽이 협의하여 당사자 및 양가의 직업, 예식장 사정, 신부의 생리일,
손님들의 참석하기 좋은 날, 혼수 준비 등을 고려하여 날짜를 정한다.
요즘에는 예식장 형편과 참석자를 고려하뎌 주중이나 야간에는 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②예식 장소 선정
신부집 대청마루나 압마당에서 거행됐던 결혼식은 이제는 사라지고
예식당, 교회, 성당, 법당 등에서 행해지고 그 외에 회관, 강당,
야외,호텔 등을 이용해서 거행된다.
③주례 위촉
주례는 당사자가 평소부터 잘 알고 존경하던 분으로 결혼후에도 자주
상의도 할 수 있고 가정생활에 모범니 될 수 있는 분을 모신다.
④청첩장
결혼 사실을 친지와 친구들에게 정식으로 알리는 서식
⑤사주 및 함
결혼 당사자인 신랑이 아니라 신랑측 집안이 심부측 집안에 보내는 것
함 속에는 채단, 알맞은 예물을 넣는다.
⑥결혼식
예식순거에는 개식, 신랑입장, 신부입장, 신랑신부 맞절, 신랑신부
서약, 성혼선언, 주례사, 신랑신부 내빈께 인사, 축가, 신랑신부 행진,
폐식순으로 15분에서 20분안에 이루어진다.기념촬영후에는 폐베을
드리고, 피로연 참석후 신혼여행을 떠남으로 마친다.
⑦신혼여행
결혼식을 마친 신랑과 신부가 서로에 대한 애정을 깊게 하고 앞으로
시작될 새로운 공동생활을 설계하기 위해서 떠나는 여행.
결혼제도는 개인적인 욕구충족, 특히 성적 욕구 충족을 가족내에서만
가능하도록 통제함으로써 사회적 유대감을 증대시키고 종족계승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성적 통제,종족계승,사회적이 유대감의 증대
등이 결혼의 사회적 동기이다. 그래서 결혼은 일정한 연령에 달한 두
남녀의 합의만으로도 성립될 수 있지마, 결혼식돠 같은 의식을 통하여
사회적 공인을 받는 절차를 밟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결혼한 두 남녀는
사회적으로 새로운 역할과 관계를 갖게 되면 새로운 가족관계를
형성한다. 이와같이 결혼은 두 남녀 간의 제한된 계약행위로만 볼 수
없으며, 사회적 제도와 관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때문에 결혼은 사회적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인간은 사회적 규범 내에서 결혼생활을
영위하며, 결혼생활을 통하여 그들의 욕망과 목표를 실현하고 전체
사회의 재생산을 위해 유기적으로 기능한다. 그러므로 결혼은
개인적이며 동시에 사회적이 행위인 것이다.
2)전통적인 혼례 절차
일반적으로 두 사람의 어떤 동기로든 서로 결혼하기오 랍의를 하고, 또
주변의 가족 친지들에게 동의를 구하면 결혼을 하게 된다. 이 때 따르는
절차들이 우리를 기다린다. 그중에는 현대 사회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는 절차들도 있고, 또 어떤 것은 좋은 면을 지닌 것도 있다.
여기서는 전통적인 혼례 절차와 현대적인 혼례 절차를 소개하고, 서로의
장 .단점을 비교.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통 혼례는 서로 결혼의사를 타진하는 의혼,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
예물을 보내는 납폐, 혼례식을 올리는 친영 등의 네 가지 의례로
이루어진다.
ⅰ)전통적인 혼례 절차
①의혼
신랑과 신부의 집이 서로 혼사를 의논하는 절차로, 가문과 가풍을
중시하던 한국의 전통 혼례식에서는 양가에서 중매인을 세워 상대방의
가문, 학식, 인품을 조사하고 두 사람의 궁합을 본 다음 허혼 여부를
결정하였다. 신랑집의 청혼편지에 신부집은 허혼의 편지를 보냄으로써
의혼이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양가 부모들만이 신랑, 신부의 선을
보고 당사자들은 얼굴을 보지 못한다.
②납채
약속한 혼인을 받아들이는 일.
혼약이 이루어져 사주를 보내고 연길(혼인날짜)을 청하는 절차로서,
신부집으로부터 허론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정식으로 결혼을 신청하는 서장임)을 써거 홍색 보자기에 싸
보낸다. 신부집데서는 신랑의 사주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 보고 혼인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데 이를 연길이라
한다.
요즈음은 이 납채를 납폐(현대식으로 풀이하면 함)와 함께 하고 있다.
③납폐
혼인할 때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 성립의 증거로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폐물을 보내는 의식.
④친영
혼인 육례의 하나로, 신랑이 신부집에 가서 예식을 올리고 신부를
맞아오는 예를 말한다.
⑤병합례
초례가 끝나고 신랑과 신부가 신방에 함께 들어가는 의식
⑥동상례
혼례가 끝난 뒤 신랑이 신부집에서 친구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것
⑦폐백
혼례식을 나친 신부가 시부모에게 정식으로 첫인사를 올리는 의식
ⅱ)현대적인 혼례절차
①결혼식 날짜 결정
양쪽이 협의하여 당사자 및 양가의 직업, 예식장 사정, 신부의 생리일,
손님들의 참석하기 좋은 날, 혼수 준비 등을 고려하여 날짜를 정한다.
요즘에는 예식장 형편과 참석자를 고려하뎌 주중이나 야간에는 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②예식 장소 선정
신부집 대청마루나 압마당에서 거행됐던 결혼식은 이제는 사라지고
예식당, 교회, 성당, 법당 등에서 행해지고 그 외에 회관, 강당,
야외,호텔 등을 이용해서 거행된다.
③주례 위촉
주례는 당사자가 평소부터 잘 알고 존경하던 분으로 결혼후에도 자주
상의도 할 수 있고 가정생활에 모범니 될 수 있는 분을 모신다.
④청첩장
결혼 사실을 친지와 친구들에게 정식으로 알리는 서식
⑤사주 및 함
결혼 당사자인 신랑이 아니라 신랑측 집안이 심부측 집안에 보내는 것
함 속에는 채단, 알맞은 예물을 넣는다.
⑥결혼식
예식순거에는 개식, 신랑입장, 신부입장, 신랑신부 맞절, 신랑신부
서약, 성혼선언, 주례사, 신랑신부 내빈께 인사, 축가, 신랑신부 행진,
폐식순으로 15분에서 20분안에 이루어진다.기념촬영후에는 폐베을
드리고, 피로연 참석후 신혼여행을 떠남으로 마친다.
⑦신혼여행
결혼식을 마친 신랑과 신부가 서로에 대한 애정을 깊게 하고 앞으로
시작될 새로운 공동생활을 설계하기 위해서 떠나는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