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의 개념과 원인 예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폭력의 개념과 원인 예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폭력이란?
Ⅰ. 성폭력의 개념
1. 법의 성폭력 개념

Ⅱ.숫자로 보는 성폭력

Ⅲ. 성폭력의 발생원인

Ⅳ. 성폭력의 후유증

Ⅴ. 성폭력의 실태 및 유형

Ⅵ. 성폭력의 대처방안

Ⅶ. 성폭력생존자 권리헌장
1. 성폭력 피해자 권리헌장 취지와 목적
2. 진료과정에서의 권리

본문내용

말하기 힘들어하기도 하고 어떻게 말해야 할지 망설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아이를 다그치거나 제대로 설명해 보라고 강요하지 말고, 그가 하는 이야기를 주의깊게 들어주어야 할 것입니다. 만약 아이가 가족을 대할 때 부자연스러운 태도를 보인다거나 특정한 친척을 불편해하는 느낌이 든다면 왜 그러는 것인지 물어보고, 세심하게 들어주도록 합니다.
8. 직장내 성폭력
직장내 성폭력/성희롱의 경우 가해자가 피해자보다 높은 사회적 위치와 많은 권력을 가지고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가해자보다 위치가 낮고 권력이 적다고 해서 성폭력/성희롱의 피해를 당해야 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자신이 이러한 어려움에 대하여 도움을 받을 권리가 있음을 기억하고, 신뢰할만한 주변인이나 성폭력 전문 상담소와 상담하여 심리적인 지지와 적절한 지원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이렇게 대처합시다.
직장 내에 성폭력 관련 처벌규정이나 긴급할 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기관이 있는지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성희롱을 당했을 때는 정확하고 단호하게 거부 의사를 밝히고, 6하 원칙에 따라 상세하고 정확하게 기록으로 남겨 이후에 증거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많은 경우 한 명의 가해자가 다수의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동료들과 이러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며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이 있을지 의논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국가인권위원회에 직장내 성폭력/성희롱과 성차별 및 2차 피해에 관한 진정 사안을 접수할 수도 있습니다. 1331(서울·경기 외의 지역은 02-1331)로 주중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사이에 전화를 하면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9. 사이버 성폭력
사이버 성폭력이란 웹에서 이루어지는 성폭력을 말합니다. 보통 동의 없는 스팸성 음란 메일을 보내 사이버 환경을 성차별적으로 만드는 환경형 성희롱, 컴섹 혹은 번섹을 요구하는 사이버 스토킹, 개인 신상 정보를 동의 없이 게시하는 명예훼손 등이 자주 발생하는 사이버 성폭력입니다. 정보통신윤리위원회가 운영하고 경찰청이 지원하는 사이버 명예훼손ㆍ성폭력분쟁조정센터에 접수된 상담은 최근 3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01년 278건, 2002년 1천248건, 2003년 1천916건, 2004년 2천285건, 사이버 성폭력, 명예훼손 신고센터 자료 중 인용) 특히 이중에서도 명예훼손 상담의뢰건수는 2001년 33건, 2002년 115건, 2003년 894건, 2004년 979건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대처합시다.
사이버 성폭력이 발생했을 때는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본 내용들을 그대로 저장해 두어야 합니다. 화면을 그대로 캡쳐해 이미지 파일(jpg나 gif, bmp 등)로 저장해 놓는 것이 필요합니다. 캡쳐한 화면 이미지는 아무런 편집을 하지 않은 상태여야 좋습니다. 채팅의 경우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대화 내용을 갈무리할 수 있도록 기능을 지원하고 있을 것이므로, 그것을 이용해도 좋습니다. 메일이나 쪽지가 온 경우에는 수신거부를 하거나 가해자에게 항의 및 경고 메시지를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사이트 운영자에게 가해자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현재 쪽지 기능을 서비스하는 사이트의 경우 대부분의 곳에서 신고하기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며, 많은 포털 사이트에서 음란 게시물이나 꼬릿말(댓글, 한줄리플 등)을 신고할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몇몇 사이트의 경우 사이트 관리자가 직접 신고가 들어온 회원의 게시물을 삭제하기도 하며, 신고가 들어온 회원에게는 글쓰기 자격이나 회원 자격을 박탈하기도 하므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심한 경우에는 사이버범죄수사대(cybercrime.go.kr)에 신고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자신이 속해 있으며 회원들간의 소통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인터넷 커뮤니티상에서 사이버 성폭력이 일어났을 때에는 가해 회원을 신고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단지 게시물을 삭제하는 것만으로 상황을 덮기 힘들 수도 있습니다. 회원들간의 토론 등을 통해 커뮤니티 내부 문화와 분위기를 성찰해 보고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안을 마련해 보는 것도 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10. 대학내 성폭력
대학 내 성폭력이란 대학이라는 공간 내에서 학생과 학생 간, 교수와 학생 간 발생하는 성폭력을 비롯하여 환경형 성희롱 등 성폭력 적 대학문화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쓰입니다. 대학 내 성폭력은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와 가해자의 학내 지위, 권한에 따라 교수 성폭력, 운동권 내 성폭력, 데이트 성폭력, 교직원간의 직장 내 성희롱 등 다양한 유형의 성폭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대학 내 성폭력이라고 따로 유형화를 시키는 이유는 대학 내 여성운동가들의 노력으로 인해 대부분의 대학에서 반성폭력학칙 등이 제정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학 내 성폭력사건이 일어나면 가해자가 교수 혹은 학생회의 지도적 위치 등을 가지고 있는 공인신분일 때 가해자를 실명공개하고 지치규약으로 징계에 대한 지원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해결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대처합시다.
대학 내에서 사건을 처리할 경우에는 우선 학칙유무를 확인하고, 내용을 검토하고, 학내 상담소와 여성운동단위 등 피해자를 지원할 수 있는 기구의 유무를 확인하고 지원요청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해자 주변 집단이 가해자를 옹호하는 집단행동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대비책을 세우고, 사건과 가해자의 실명 등을 공개할 경우에는 피해자가 2차 피해를 입지 않을 수 있도록 공개에 대한 서면 동의 등을 받아두거나 대학 내 여론이 피해자 권리를 지지하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대학 내에서 해결하기 어려울 경우에는 교육부, 인권위 등 다른 외부 기관에 진정할 수 있습니다
11. 스토킹
스토킹은 지금까지는 낭만적 구애행위의 일종으로 취급되어 왔으나, 스토킹으로 인한 납치 살인 등의 사건이 일어나면서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변화되어 오고 있는 범죄입니다. 스토킹은 보통 상대방이 원치 않는데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만남을 요구하거나 따라다니며 행적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8.30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8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