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무슬림으로 살아가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인 무슬림으로 살아가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한국인 무슬림이 느끼는 갈등적 상황
① 가정에서 느끼는 문화적 갈등
② 직장에서 느끼는 문화적 갈등
③ 아이들이 학교에서 느끼는 문화적 갈등
④ 여성으로서 무슬림으로 살아가는데 느끼는 어려움
⑤ 한국인 무슬림은 오히려 갈등을 덜 겪는다?
⑥ 그들이 말하는 융통성이란?

3. 같은 상황을 다르게 느낀 것

4. 마치며
① ‘종교’를 주제로 다루게 되면서
② 한국 이슬람교의 방어적 태도
③ 사원을 나오며
<부록> - 인터뷰 원고

본문내용

원하지는 않다고 봅니다. 신앙심을 바탕으로 이러한 힘을 키운다면 많이 나아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정치인도 필요하고 경제인도 필요하고 다 필요합니다. 하나씩 준비해 나가고 있어요. 가령, 우리 인구 중 사분의 일만 무슬림이라면 어렵지 않을거예요. 소수이기 때문이죠.
사원에 오시는 분들 중에 밝히지 않은 분들도 많아요. 오히려 이런 분들은 어려움을 겪지 않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현실적인 것과 타협을 많이 한 거죠. 대충 예배를 한다거나 삶 자체를 살펴보면 어떠한지 알 수가 있습니다. 대화 같은 것을 통해서 어떠한 삶을 살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전화 받으신 후세인씨는 서울대 국문학과를 나와서 한국 자매분과 결혼하셔서 국적도 바꾸셨답니다. 한국 이슬람의 발전을 위해서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마침 그 옆에 제가 있어서 통화를 할 수 있었습니다.(사실, 전화는 여자 분이 받으셨다)
여기 있는 분 중 27살 되시는 분은 3,4년 밖에 안 되는데 총무를 맞고 있어요. 저 보다 훨씬 잘해요. 파키스탄, 터키에 놀러갔다가 대해주는 것에 너무 감복을 받아서 무슬림이 되었어요. 원래는 기독교인이었는데.. 차라리 이분이 소개가 되었으면..(조금 더 이슬람을 잘 알리고 싶어서인지) 아니에요...
지금도 저는 직장을 그만두고 여기에 와서 하나님의 길을 같이 갈 수 있도록 인도하는 일들을 하고 싶습니다. 여러분들이 어떠한 종교를 갖고 있는지 그러한 것에 대해서는 잘 몰라요. 아직 순수한 학생들이시지만 저도 그 맘 때 입교를 했으니...
무슬림이 된 계기..
- 겨울방학 때 제 친구가 사원에서 같이 합숙을 하자고 했어요. 한 달간 칩거 생활을 하는 거죠. (아랍어과에서 동기들과 함께)하루에 다섯 번 예배도 보고... 이슬람적인 생활을 한 거죠. 이 속에서 가슴이 뜨거워지고 머리가 맑아지는 듯한 느낌을 받았어요. 어떻게 보면 하나님께서 이렇게 축복을 주신 것이죠. 이 때 확신도 섰습니다. 제 동기들은 그런데 지금 무슬림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노아, 마리아, 아브라함, 예수 등 종교적 배경이 되는 이야기를 주욱.. 하심)
무슬림의 삶을 말로 표현해본다면?
- 현실은 내세를 위해 몸과 마음을 만들어가는 과정. 항상 하나님이 나를 보고 계시다는 것을 알고 이에 벗어나지 않도록, 설사 벗어났다 하더라도 예배를 통해 잘못을 시인하는, 그리고 이 길에 대해 타인에게 알리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직 한국에는 사람도 없고 기초도 닦여있지 않지만 제 남은 짧은 삶을 한국 이슬람의 발전, 혹은 후손들에게 이 삶을 인도해주고 싶은 꿈을 갖고 살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공부도 하고 형제들과의 시간도 가지고 어려움도 극복해나가고 있습니다. 내일 죽더라도 후회가 없고... 어떤 사람을 만나더라도 편안하게 대할 수 있어 만족합니다. 여러분들과 만날 수 있게 해준 하나님들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여러분들도 한 번 태어난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에 대해서 많이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원래 스님이 되려고 생각해보기도 했어요. 많은 과정들을 거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되었죠.
기도는 어떤 말로?
- 아랍어랑 한국말을 같이 쓰죠. 정해진 아랍어 내용은 나를 유혹하는 사탄으로부터 보호를 구하나이다 부터 시작해서 마지막으로 하나님의 길로 인도해 주시옵소서 까지 이어집니다. 나머지는 순서가 있는데 나부터, 그리고 가족, 형제, 국가와 같이 큰 영역까지 나가는 겁니다. 오늘 같은 경우에는 새벽 3시 35분.. 쯤 경에 좋은 말씀을 여러분들에게 해줄 수 있게끔.. 처음에 저는 한 분이 오실 줄 알았는데 많이 오셨더라구요. 즉, 기본 기도도 있지만 상황에 맞게끔 기도를 드리고 있습니다. 이슬람에는 항상 시작과 끝이 있는데 기도할 때 처음, ‘비스밀라’, 끝에 ‘알 함드릴라’ 식사 때도 마찬가지에요.
외국인 무슬림들이 두 세배 정도 많습니다. 한국 무슬림에 비해서.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거든요. 총 인원은 20만 명 정도로 잡고 있고... 여기 사원에는 실제 조사해본 것은 없고.. 수 천명 정도는 오는 것 같아요. 외국인 근로자 유동 인구도 있고... 한국인들도 교인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긴 하지만 제대로 하느냐 하지 않느냐가 중요한 문제라고 봅니다.
꼭 사원에 와서 기도를 해야 하는 때가 있는가?
- 주마.. 라고 해서 금요일에 하는 것인데 일반 예배 보다 더 큰 축복이 있습니다. 금요일 1시에 합동 예배. 마치 기독교의 일요일처럼. 여기에는 가급적 참여하는 것이 좋아요. 집에서 사원까지 오는 그 한 발 한 발이 축복이라고 하고... 웬만하면 사원에서 보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무슬림들이 살기도 이 이태원 근방에 많이 살고 있습니다.
무슬림 아이들이 어떠한 문제를?
- 급식의 경우에 돼지고기를 못 먹으니 왕따를 시키기도 하고 기독교 학교의 경우 선생님들이 꾸지람을 하기도 합니다. 체벌이 아니더라도 정신적인 고통을 주는 거죠. 이 주위의 ‘보광 초등학교’ 같은 학교를 다니기도 하고 .. 이 주변은 많이 이해를 해주는데 조금 떨어진 곳은 많이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또, 외국인과 결혼을 하였을 때 종교를 떠나서 외모가 다르니 나타나는 피해도 있고요.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있는 것도 아니고... 특히 초등학교 학생이 그렇습니다.
제가 종교적인 측면에 많이 어필한 부분들이 있을 텐데 이런 부분은 양해를 좀 구하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소명을 가지고 욕심을 낸 부분이기도 한데... 이슬람은 절대 강요를 하지 않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하고요.. 잘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언제든지 궁금한 게 있다면 연락 주십시오.
*목 차
1. 들어가며
2. 한국인 무슬림이 느끼는 갈등적 상황
① 가정에서 느끼는 문화적 갈등
② 직장에서 느끼는 문화적 갈등
③ 아이들이 학교에서 느끼는 문화적 갈등
④ 여성으로서 무슬림으로 살아가는데 느끼는 어려움
⑤ 한국인 무슬림은 오히려 갈등을 덜 겪는다?
⑥ 그들이 말하는 융통성이란?
3. 같은 상황을 다르게 느낀 것
4. 마치며
① ‘종교’를 주제로 다루게 되면서
② 한국 이슬람교의 방어적 태도
③ 사원을 나오며
<부록> - 인터뷰 원고
  • 가격1,7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8.30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8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