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호가 가능하게 되면 노인의 불안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가족의 건강관리와 가족의 노고를 인정하는 것도 노인과 가족과의 인간과계를 좋게 유지하며, 노인의 불안을 경감시키기 때문에 중요하다.
생활공간을 넓게 하여 많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즉 함께 외출하며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등을 통한 사회와의 간접적인 접촉을 꾀하고, 노인클럽활동에 참가하도록 하며, 친구와 자주 만나도록 한다. 이러한 체험들은 어느 정도 자극을 줄 수 있다. 성적인 감정도 일종의 생명에 대한 감정을 기반으로 하여 존재하는 것이므로 가능한 무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이 죽음을 예기할 때에는 지금까지의 자기 인생을 되돌아보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인은 자주 과거를 회상하여 고민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인생을 되돌아보는 노인 자신의 작업을 지원하는 것도 노인의 불안을 경감시키는 것이 된다. 노인의 과거의 회상과 고민을 다른 사람에게 돌려주기 위해서보다는 자기 자신을 위해서 하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간호사가 노인의 과거 일에 대해 잘 들어주는 것은 노인의 정신적 지원이 되는 것이다.
⑶ 생활 능력의 지원
노인은 노화 및 만성질환에 의해서 서서히 생활 능력을 상실해 간다. 따라서 노인의 의료 및 간호의 주요 목표는 노인이 노화와 장애를 가졌다 할지라도 일상생활을 잘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인의 생활 능력을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한 지원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질병이나 심리적 스트레스에 의해서 급격하게 생활능력의 저하가 일어난 경우에도 가능한 조기에 생활 능력을 원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즉 조기이상, 조기 재활을 실시하여야 한다. 노인에 대한 신체적 관찰이 잘 행해지고 있으며, 노인 자신이 잘 돌봐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 노인이 안심하고 조기이상을 실시하고 재활에 대응할 수 있는 간호가 되도록 한다.
생활 능력의 회복도 무조건 예전과 같은 생활 능력 상태로 회복된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생활능력의 회복 정도에 맞추어 생활 방법을 연구하고 적용시켜야 한다. 이러한 생활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 주체는 노인 자신이어야 한다. 그러나 노인은 처음으로 경험하는 것이므로 간호사가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간호사와 함께 시도해 보기도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노인의 자립성을 확대하기 위한 생활 방법의 개발과 지도기술의 개발은 노인 간호의 중대한 과제이다. 노인의 자립성을 빼앗지 않으면서 노인의 다각적인 기능 저하에 대처해서 일상생활의 지원을 하기 위해서 인간의 자립을 다각적인 면에서 취해가는 능력이 필요하다. 노인의 기능 상실은 다각적이면서 다양하게 일어난다. 노인의 생활자원에서는 다각적인 기능 상실에만 주목하지 말고 남아 있는 기능을 잘 보살피고 살려 일상생활의 자립성을 확대, 유지하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⑷ 신체적 변화의 평가
노인의 신체적인 변화의 평가는 대단히 어렵다. 노인의 신체적인 평가가 어려운 이유는 첫째, 노화의 진행에 의해서 신체 상태가 항상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며, 둘째, 건강장애에 의해서 생기는 이상상태의 조기 발견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노인에서는 생체의 모든 지각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가운데 노인 자신이 노화에 의한 기능 저하와 만성 질환에 의한 증상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하찮은 증상의 변화는 자각하여도 호소하지 않게 되는 사례가 많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활동성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활동이 부가되어지면 생리기능의 장애가 표면화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리고 정신기능의 저하와 의사전달의 장애를 가지는 노인도 많기 때문이다. 간호사는 성인과는 다르게 노인에서는 본인의 호소에 의해서 간호가 수반되는 경우는 이미 간호가 늦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노인의 이야기를 듣고 물어서 노인의 건강장애를 예측하고 노인의 신체적 변화를 세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의 건강장애는 노인의 생활 방식에 기인된 면도 많기 때문에 건강장애의 조기 발견에 대한 간호사의 책임은 막중하다.
참고 문헌
- 재정 경제부 / 인구고령화의 현황 및 정책 대응 방향 / 2003.11.8
- 통계청 / 고령자 통계 / 2003.10
- 통계청 / 장래인구추계 / 2001.11
- 권이혁 / 인구보건환경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4
- 조유향 / 노인 간호 제 3판 / 현문사 / 2001
- 노인건강관리실제전망 / 수문사 / 2001
생활공간을 넓게 하여 많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 즉 함께 외출하며 신문, 라디오, 텔레비전 등을 통한 사회와의 간접적인 접촉을 꾀하고, 노인클럽활동에 참가하도록 하며, 친구와 자주 만나도록 한다. 이러한 체험들은 어느 정도 자극을 줄 수 있다. 성적인 감정도 일종의 생명에 대한 감정을 기반으로 하여 존재하는 것이므로 가능한 무시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인간이 죽음을 예기할 때에는 지금까지의 자기 인생을 되돌아보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인은 자주 과거를 회상하여 고민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인생을 되돌아보는 노인 자신의 작업을 지원하는 것도 노인의 불안을 경감시키는 것이 된다. 노인의 과거의 회상과 고민을 다른 사람에게 돌려주기 위해서보다는 자기 자신을 위해서 하고 있다고 생각해 볼 수 있다. 간호사가 노인의 과거 일에 대해 잘 들어주는 것은 노인의 정신적 지원이 되는 것이다.
⑶ 생활 능력의 지원
노인은 노화 및 만성질환에 의해서 서서히 생활 능력을 상실해 간다. 따라서 노인의 의료 및 간호의 주요 목표는 노인이 노화와 장애를 가졌다 할지라도 일상생활을 잘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노인의 생활 능력을 최대한으로 높이기 위한 지원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질병이나 심리적 스트레스에 의해서 급격하게 생활능력의 저하가 일어난 경우에도 가능한 조기에 생활 능력을 원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즉 조기이상, 조기 재활을 실시하여야 한다. 노인에 대한 신체적 관찰이 잘 행해지고 있으며, 노인 자신이 잘 돌봐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 노인이 안심하고 조기이상을 실시하고 재활에 대응할 수 있는 간호가 되도록 한다.
생활 능력의 회복도 무조건 예전과 같은 생활 능력 상태로 회복된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생활능력의 회복 정도에 맞추어 생활 방법을 연구하고 적용시켜야 한다. 이러한 생활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는 주체는 노인 자신이어야 한다. 그러나 노인은 처음으로 경험하는 것이므로 간호사가 여러 가지 방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간호사와 함께 시도해 보기도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노인의 자립성을 확대하기 위한 생활 방법의 개발과 지도기술의 개발은 노인 간호의 중대한 과제이다. 노인의 자립성을 빼앗지 않으면서 노인의 다각적인 기능 저하에 대처해서 일상생활의 지원을 하기 위해서 인간의 자립을 다각적인 면에서 취해가는 능력이 필요하다. 노인의 기능 상실은 다각적이면서 다양하게 일어난다. 노인의 생활자원에서는 다각적인 기능 상실에만 주목하지 말고 남아 있는 기능을 잘 보살피고 살려 일상생활의 자립성을 확대, 유지하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
⑷ 신체적 변화의 평가
노인의 신체적인 변화의 평가는 대단히 어렵다. 노인의 신체적인 평가가 어려운 이유는 첫째, 노화의 진행에 의해서 신체 상태가 항상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며, 둘째, 건강장애에 의해서 생기는 이상상태의 조기 발견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노인에서는 생체의 모든 지각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가운데 노인 자신이 노화에 의한 기능 저하와 만성 질환에 의한 증상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하찮은 증상의 변화는 자각하여도 호소하지 않게 되는 사례가 많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활동성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활동이 부가되어지면 생리기능의 장애가 표면화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리고 정신기능의 저하와 의사전달의 장애를 가지는 노인도 많기 때문이다. 간호사는 성인과는 다르게 노인에서는 본인의 호소에 의해서 간호가 수반되는 경우는 이미 간호가 늦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노인의 이야기를 듣고 물어서 노인의 건강장애를 예측하고 노인의 신체적 변화를 세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의 건강장애는 노인의 생활 방식에 기인된 면도 많기 때문에 건강장애의 조기 발견에 대한 간호사의 책임은 막중하다.
참고 문헌
- 재정 경제부 / 인구고령화의 현황 및 정책 대응 방향 / 2003.11.8
- 통계청 / 고령자 통계 / 2003.10
- 통계청 / 장래인구추계 / 2001.11
- 권이혁 / 인구보건환경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4
- 조유향 / 노인 간호 제 3판 / 현문사 / 2001
- 노인건강관리실제전망 / 수문사 /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