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 Campylobacter 연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생물학 - Campylobacter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Campylobacter의 개요

2. Campylobacter의 종류 및 특성

3. 증상, 발병 메카니즘
(1) C.jejuni에 감염됬을때의 증상
(2) C.jejuni의 발병 메카니즘

4. 분석 방법

5. 최신 연구 동향
(1) 가금류 생산에 있어서의 캠필로박터 해결책
(2) 캠필로박터를 보다 용이하게 카운트 할 수 있는 배지 개발
(3) 주요 식중독균인 캠필로박터에 대한 유전자 서열 판독
(4) 세균 단백질이 식중독균인 캠필로박터를 제거
(5) 닭에서 캠필로박터 증식 억제 작용을 발휘하는 천연 물질

6. DISCUSSION (토의)

7. References
(1) Campylobacter의 개요
(2) Campylobacter의 종류 및 특성
(3) 증상, 발병 메카니즘
(4) 분석 방법
(5) 최신 연구 동향

본문내용

성 감염도 나타난다. 그 중 Campylobacter jejuni는 위장염의 검출빈도가 높으며, 자주 집단 식중독도 발생하며, 장염발병균으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Campylobacter coli는 검출빈도가 높지 않지만, 설사증에서 검출되고 있다. 한편 Campylobacter fetus는 수의학 영역에서 반추수의 유산이나 불임의 원인이 되어 예부터 관심의 대상이었지만, 사람의 패혈증, 수막염 등의 중증예에서도 검출되어 C. jejuni와 똑같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밖에 사람의 감염중에 관계하는 것으로는 Campylobacter laridis, C. conci년, C. pylori 등이 보고되어 있다.
C.jejuni는 Dekeyser(1972), Butzler(1973) 등에 의하여 설사증 환자에서 처음 분리에 성공하였지만, 그 후 Skirrow(1977)에 의하여 항생물질을 가한 배지가 개발되고 검출법이 급속히 확립되었다. 이 균은 특이한 생물학적 성상을 가지며 미호기성 환경하에서 발육하나 대기중이나 혐기적 조건에서는 발육하지 않는다. 발육온도는 30~45℃로 일반식중독세균의 발육온도인 25~30℃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실온에서는 불안정하여 사멸하기 쉽지만, 4℃나 동결상태에서는 안정이 되어 장기간 생존한다. 또 건조나 산성영역에서 매우 불안정하다.
이 균의 역학적 연구는 검사법 확립에 따라 급속히 발달하였지만, 가축, 가금의 보균, 식육에서의 오염이 판명되고, 이 경로의 위생대책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이 균에 의한 감염증이 다발하기 쉬운 요인으로 균을 미량 섭취하여도 감염 발병한다는 사실이 인체 실험에서도 증명이 되었고 수계감염에 의한 발생도 자주 일어나고 있다.
C. fetus
C. jejuni
C. coli
C. sputorum
subsp
fetus
subsp
veneralis
subsp
sputorum
subsp
bubulus
호기성 발육
-
-
-
-
-
-
Oxidas
+
+
+
+
+
+
Catalase
+
+
+
+
-
-
Glucose 분해
-
-
-
-
-
-
발육 25℃
+
+
-
-
+
d
37℃
+
+
+
+
+
+
43℃
-
-
+
+
-
-
Malonate
-
-
+
-
+
-
1% glycine
+
-
+
+
+
+
H2S TSI agar
-
-
-
-
+
+
Cysteine첨가 brucella semisolid
(lead paper)
+
-
+
+
+
+
Nalidixic acid
(30μg)
R
R
S
S
*
*
<표 1-1. Campylobacter 균의 주요 성상(최신미생물학-박석기[신광문화사])>
Campylobacter 속은 산소가 3~15%의 미호기성 환경에서 발육하는 그람 음성의 0.5~5×0.2~0.5μm 크기의 만곡균이다. 양끝 또는 한쪽 끝에 편모를 가지며, 코르크 스크류 형태의 운동을 한다. 아미노산 또는 TCA cycle 중간대사산물에서 에너지를 얻는다. 미호기성이며, 3~6%의 산소와 3~5%의 탄산가스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20% 산소에서도 호기적으로 증식하는 균주도 있다.
또한 혐기적으로 증식하는 균종도 있다. oxidase 양성, nitrate reduction 양성, gelatin 액화 음성, 인돌 생산성 음성, urease 음성, MR 음성, VP 음성이며, DNA GC 함량은 29~38mole%이다. C. jejuni, C. coli, C. fetus, C. laridis의 주요 성상은 표 1-1.과 같다. catalase 생산성에 의하여 2그룹으로 나누어 C. jejuni, C. coli, C. fetus, C. laridis는 양성이며, C. spitorum 등은 음성이다. C. jejuni와 C. coli, C. laridis의 생화학성상은 유사하지만, C. jejuni는 malonate가수분해 양성으로 구별되며, C. laridis는 nalidixic acid(30μg)에 내성이 있다.
(1) C. fetus subsp fetus는 경구감염에 의하여 소나 양의 유산을 일으키지만, 사람에서는 패혈증, 수막염을 일으키며, 혈중에서 분리되는 것이 많다.
(2) C. fetus subsp venerealis는 태반감염에 의하여 소의 유산, 불임의 원인이 되지만,사람에서는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
(3) C. coli도 설사의 원인균이지만 빈도는 낮다.
돼지가 보유하고 있으며, 식품이나 물에서 감염하며, 소아에서 많다. 발생빈도는 5~6월 에 가장 많고, 7~8월에는 약간 감소하다가 9~10월에 다시 많아진다. 전염부위는 공장 과 회장이며, 잠복기는 2~5일이다. 증상은 부패 취가 나는 설사(1일 10회 이상), 복통, 발열, 구토는 비교적 적다. 발병 후 2~5일의 설사변에서 혈액이 흔재하는 것이 있다. 일주간 이내에 회복된다.(최신미생물학-박석기[신광문화사])
(4) C. sputorum subsp sputorum은 사람의 구강내 상재균이며, C. sputorum subsp. bubulus는 소나 양에서 분리되며, 비병원성균이다.
(5) C. sputorum subsp. mucosalis는 돼지에서 병원성이 있다. C. concisus는 치주염 에 걸린 사람의 구강내에서 분리되나 병원성은 불명이다.
(6) Campylobacter jejuni
1977년 Skirrow가 선택배지를 발표한 이래 분변에서 분리가 쉬워졌고, 이 균이 위장염 의 원인균으로서 매우 빈도가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최신미생물학-박석기[신광문화사])생균 섭취에 의한 캄필로박터증(campylobacteriosis)을 유발하며, 그람 음성 곡균 또는 나선형 간균에 속하고, 잠복기는 1~10일(보통 3~5일)이며 증상은 설사, 복통, 발열과 구토 등이 주 증상이다. 경미한 위장염에서부터 혈변 또는 맹장염과 유사한 비정상적 통 증 등의 심각한 증상까지 다양하다. 일부 환자들은 심각한 합병증에 걸릴 수 있다. 지 속기간은 1일에서 수 주일이며 사망률은 드물며, 감염량은 낮아서 겨우 몇 백 개의 균 체이다.(필수 식품 미생물학-민경찬 외 5명 [광문각])
3. 증상, 발병 메카니즘
(1) C.jejuni에 감염
  • 가격1,9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7.09.07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