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 17장에 나타난 아브라함의 언약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창세기 17장에 나타난 아브라함의 언약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 언약이 지니는 의미

본문내용

때문에 정화의 필요성을 상징하였다. matthew henry, op. cit., p. 172.
또한 육체의 일부분을 “잘라 버리는” 필수적인 심판을 제사하며, 죄인은 할례에 의하여 죄를 씻는 심판을 통과하는 것이다.
넷째, 할례는 언약의 ‘표징’일 뿐이다. 창 17:1에 \'…나는 전능한 하나님이라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 하라.\' 이 구절만을 본다면 하나님께서 무슨 행위적인 조건을 요구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아브람의 이름을 아브라함으로 개명해 주고, 축복과 땅의 약속을 주시고 아무런 조건도 제시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창 17:9-14절에서 할례가 언약의 다른 요소처럼 보인다.
하지만 할례는 언약의 조건이 아니라 언약의 표징인 것은 사실이지만 영적인 의미도 동시에 갖고 있다. 할례는 본질상 이스라엘과 그의 하나님 사이의 언약적 표시이다. 즉 할례는 언약의 표시로 언약관계의 실재를 증언한다. 하나님을 믿는 백성에게 하나님은 외적인 표시와 보증의 뜻으로 할례를 세우셨다. 할례는 하나님의 언약에 대한 인간의 반응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하나님과 언약관계를 맺은 것을 고백하는 것이다. 결국 할례는 신적인 구원의 계시를 받아들이고 고백하는 행위이며, 계시를 받아들이는 표지일 뿐이다. 이러한 할례를 거부하는 자는 제의 공동체로부터의 배척을 당하게 되어, 일종의 파멸을 가져오는 파문을 당하게 된다. 창세기. G. Von Rad. op. cit., p. 219.
5. 창 17장에 나타난 아브라함 언약 구조
아브라함 이야기는 전체 기사에서 주는 의미가 크다. 두 차례에 걸쳐 나타나는 언약 맺음의 기초는 12장에 나타난 하나님의 약속이다. 아브라함의 성공과 실패의 기록(12-14장)은 언약관계를 항구적으로 보장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렇게 언약체결은 구조상 아브라함 이야기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이야기의 진행을 중심으로 아브라함 기사를 분석할 때에도 언약체결은 구조적 중심에 자리하게 된다. 약속-언약체결-성취. 그 말씀. 성주진. 2003. 2월. p. 30-1.
구약성서 본문의 문학구조(상). 엄원식 저. 금성출판사. p. 169-72.
아브라함의 생은(창 17:1-22) 내적 통일을 보여주고 있다. 그에게 확신과 힘을 준 것은 자기보다 강한 절대자 하나님과의 언약이었다. 인간은 생의 통일을 위해 큰 믿음이 필요하다. 큰 믿음은 하나님과의 큰 교제로 강화되고 보존된다. 하나님과의 언약관계, 그 교통에 들어가는 자는 인격적 통일 잃지 않게 된다. 창세기 17장은 아래와 같이 통일되어 있다.
A
아브라함의 구십구 세 때에 야훼께서 아브람에게 나타나서(1)
B
내가 내 언약을 나와 너 사이에 세워 너로 심히 번성케 하리라 하시니(2)
C
이제 후로는 네 이름을 아브람이라 하지 아니하고 아브라함이라 하리니(5)
D
내가 너로 심히 번성케 하리니 나라들이 네게로 쫓아나리라(6)
E
내가 내 언약을 나와 네 대대 후손의 사이에 세워서 영원한 언약을 삼고 너와 네 후손의 하나님이 되리라(7)
E\'
내가 너와 네 후손에게 너의 우거하는 이 땅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2.05
  • 저작시기200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