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연구(Case study)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3)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Ⅱ.문헌고찰
1) 병리 및 생리
2) 원인
3) 증상
4) 진단
5)치료 및 간호
Ⅲ. 본론
1. 간호사정
1) 간호력 및 신체검진
2) 입원 후 경과
2. 치료 및 진단적 검사
간호과정-불안
1) 연구(Case study)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기간
3)사례로 채택하게 된 동기
Ⅱ.문헌고찰
1) 병리 및 생리
2) 원인
3) 증상
4) 진단
5)치료 및 간호
Ⅲ. 본론
1. 간호사정
1) 간호력 및 신체검진
2) 입원 후 경과
2. 치료 및 진단적 검사
간호과정-불안
본문내용
및 폐동맥 음영의 두드러짐 등이 나타나고, 심장음영은 상대적으로 좁고 길게 변화한다.
②폐기능검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진단을 위하여는 폐기능검사를 통한 기도폐쇄의 증명이 필요하다. 폐기능검사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게 실시하여야 하며, 특히 흡연자와 유해물질에 노출된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서 유용하다. 폐기능검사를 통하여 기도폐쇄의 호가인, 중증도의 평가, 치료 계획의 수립 및 경과 관찰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폐활량측정법만으로도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일반적 평가가 가능하므로 일차진료기관에서부터 상용 검사로서 폐활량측정법을 시행할 것을 권장한다.
폐활량측정법의 지표로는 노력성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간 노력성호기량 (FEV1) 및 1초간 노력성호기량의 노력성폐활량에 대한 비(FEV1/FVC)가 사용된다. 최대호기 유속(peak expiratory flow, PEF)의 측정은 가정에서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기도폐쇄의 정도를 과소평가하는 단점이 잇다. FEV1 이 추정 정상치의 80% 미만이고 FEV1/FVC가 70% 미만이면 기도폐쇄를 확인할 수 있고, 기도폐쇄가 있으면서 주기적으로 측정한 PEF의 변화가 거의 없으면 만성폐쇄성폐질환을 강력히 시사한다.
③객담검사
안정된 상태에 있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객담의 양상은 점액성이지만, 감염이 동반될 경우 화농성 객담으로 변할 수 있다. 흔한 감염원인균은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와Moraxella catarrhalis다. 그러나 외래치료시 항생제 치료개시 전에 반드시 객담배양검사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COPD는 완전하게 치료한다는 것보다는 증상을 호전시켜 일상생활의 활동범위를 넓혀주고 최소한도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며 질환의 진행을 막아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COPD의 치료는 환자의 생존력을 높여주거나 또는 폐기능을 호전시킨다는 치료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COPD의 치료효과는 기도폐쇄의 정도와 환자의 신체여건에 따라서 영향을 받으며 치료의 성패는 여러가지 치료법을 동원하여 얼마나 착실하게 치료목표에 도달하느냐에 달려있다.
5)치료 및 간호
①금연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 원칙중의 하나가 금연이다. 금연에 성공하는 경우 폐기능 하락율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일부 환자에서는 초기에 FEV1의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건강한 사람뿐 아니라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도 지속적으로 금연을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워서 6개월-7년 동안의 경과 관찰 기간 중 지속적인 금연 성공률은 약 27%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저조하다.
이렇게 금연하기 어려운 이유는 니코틴의 중독성, 직장과 사회적 상황 등의 자극에 대한 흡연과 연관된 반응, 그리고 우울증, 낮은 교육 수준과 낮은 경제적 여건등의 정신사회학적 문제 등 때문이다. 그러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는 금연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므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금연을 유도해야한다.
②수분공급과 전해질 교정
COPD가 있는 노인환자는 흔히 심부전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치료목적으로 사용하는 이뇨제와 뇌의 기질적 변화에 따른 갈증현상(thirst mechanism)의 장애 등에 의해서 체내의 수분이 부족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호흡기도는 건조하고 분비물은 농축되기 쉽다.
따라서 노인환자에서는 COPD와 심부전증의 균형있는 치료가 바람직하며 말초의 부종이 없는 한 이뇨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물은 하루에 3,000 ml 정도 마시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이뇨제의 사용으로 저칼륨혈증과 감산증성(hypochloremic) 대사성 알카리증이 초래될 수 있고 또한 심부정맥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전해질은 균형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③기관지 청결
수분을 충분하게 공급하고 가습기를 사용하여 흡기의 습도를 높여주면 기관분비물의 점도가 낮아져서 배출이 쉬어진다. 또한 기관지확장제를 흡입기(inhaler)를 통하여 흡입시키며 기침을 자주 하도록 권장하고 체위를 주기적으로 바꾸어 폐포환기와 배액 (drainage)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Ⅲ. 본론
1. 간호사정
1) 간호력 및 신체검진
⇒ 환자명 : 강 ○ 호
성별/나이 : M/61
진단명 : COPD
⇒40세경 pul.Tbc로 치료받고 완치됨. 10년전부터 dyspnea로 local에서 수차례입원치료받음. 05년 2월 COPD로 본원치료하고 3월 COPD로 2차입원치료함. 입원시 불안감 호소함.
4월 퇴원후 집에서 Home O2 Therapy 하였으나 dyspnea로 4월 11일 ER통해 입원함.
4월27일 Respiration failure로 intubation;Ventilator keep후 4월 28일 MICU옴. 이후
Tracheostomy 시행. 7월7일 t/f함. 병동에서 porlex size 줄이면서 occusion하고 mask로 O2 inhalation 하던중 10월19일 mask 벗겨지면서 Lardiac arrest CPR하며 MICU옴.
2) 입원 후 경과
(1) 질병과 관련된 환자 상태 변화
① 주호소 : -약간의 의식이 있으며 계속 알아들을수 없는 말을 중얼거리며 intubation 을 뺄려고 해 억제대를 하고있음.
-간호행위에 있어 비협조적
(Suction을 할때 고개를 흔들며 가만히 있지 못함. 발로차는 행위 )
-시트를 계속 긁으며 불안한 모습을 보임.
-그르렁 거리며 호흡이 힘들어 보이고 Suction을 자주함.
② 신체상태 변화 : 보통 v/s이 36°C . 호흡 14회. Heart rate 80회.
BP는 130/80mmHg. saturation 100% 유지함.
의식은 alert하며 피부색은 pale 하고
Tracheostomy 하고 있고 intubation keep 유지한상태.
이외에는 특별한 변화 보이지 않음.
(2) 치료 및 진단적 검사
① 약물요법
♠Muteran
○효능효과
급.만성기간지염, 기관지확장증, 천깃겅 기관지
②폐기능검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진단을 위하여는 폐기능검사를 통한 기도폐쇄의 증명이 필요하다. 폐기능검사는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의심되는 모든 환자에게 실시하여야 하며, 특히 흡연자와 유해물질에 노출된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서는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서 유용하다. 폐기능검사를 통하여 기도폐쇄의 호가인, 중증도의 평가, 치료 계획의 수립 및 경과 관찰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폐활량측정법만으로도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일반적 평가가 가능하므로 일차진료기관에서부터 상용 검사로서 폐활량측정법을 시행할 것을 권장한다.
폐활량측정법의 지표로는 노력성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 1초간 노력성호기량 (FEV1) 및 1초간 노력성호기량의 노력성폐활량에 대한 비(FEV1/FVC)가 사용된다. 최대호기 유속(peak expiratory flow, PEF)의 측정은 가정에서도 시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기도폐쇄의 정도를 과소평가하는 단점이 잇다. FEV1 이 추정 정상치의 80% 미만이고 FEV1/FVC가 70% 미만이면 기도폐쇄를 확인할 수 있고, 기도폐쇄가 있으면서 주기적으로 측정한 PEF의 변화가 거의 없으면 만성폐쇄성폐질환을 강력히 시사한다.
③객담검사
안정된 상태에 있는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객담의 양상은 점액성이지만, 감염이 동반될 경우 화농성 객담으로 변할 수 있다. 흔한 감염원인균은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와Moraxella catarrhalis다. 그러나 외래치료시 항생제 치료개시 전에 반드시 객담배양검사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COPD는 완전하게 치료한다는 것보다는 증상을 호전시켜 일상생활의 활동범위를 넓혀주고 최소한도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며 질환의 진행을 막아주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COPD의 치료는 환자의 생존력을 높여주거나 또는 폐기능을 호전시킨다는 치료개념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COPD의 치료효과는 기도폐쇄의 정도와 환자의 신체여건에 따라서 영향을 받으며 치료의 성패는 여러가지 치료법을 동원하여 얼마나 착실하게 치료목표에 도달하느냐에 달려있다.
5)치료 및 간호
①금연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 원칙중의 하나가 금연이다. 금연에 성공하는 경우 폐기능 하락율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일부 환자에서는 초기에 FEV1의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건강한 사람뿐 아니라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도 지속적으로 금연을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워서 6개월-7년 동안의 경과 관찰 기간 중 지속적인 금연 성공률은 약 27%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저조하다.
이렇게 금연하기 어려운 이유는 니코틴의 중독성, 직장과 사회적 상황 등의 자극에 대한 흡연과 연관된 반응, 그리고 우울증, 낮은 교육 수준과 낮은 경제적 여건등의 정신사회학적 문제 등 때문이다. 그러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는 금연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므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금연을 유도해야한다.
②수분공급과 전해질 교정
COPD가 있는 노인환자는 흔히 심부전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치료목적으로 사용하는 이뇨제와 뇌의 기질적 변화에 따른 갈증현상(thirst mechanism)의 장애 등에 의해서 체내의 수분이 부족한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호흡기도는 건조하고 분비물은 농축되기 쉽다.
따라서 노인환자에서는 COPD와 심부전증의 균형있는 치료가 바람직하며 말초의 부종이 없는 한 이뇨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물은 하루에 3,000 ml 정도 마시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이뇨제의 사용으로 저칼륨혈증과 감산증성(hypochloremic) 대사성 알카리증이 초래될 수 있고 또한 심부정맥이 나타날 수도 있으므로 전해질은 균형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③기관지 청결
수분을 충분하게 공급하고 가습기를 사용하여 흡기의 습도를 높여주면 기관분비물의 점도가 낮아져서 배출이 쉬어진다. 또한 기관지확장제를 흡입기(inhaler)를 통하여 흡입시키며 기침을 자주 하도록 권장하고 체위를 주기적으로 바꾸어 폐포환기와 배액 (drainage)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Ⅲ. 본론
1. 간호사정
1) 간호력 및 신체검진
⇒ 환자명 : 강 ○ 호
성별/나이 : M/61
진단명 : COPD
⇒40세경 pul.Tbc로 치료받고 완치됨. 10년전부터 dyspnea로 local에서 수차례입원치료받음. 05년 2월 COPD로 본원치료하고 3월 COPD로 2차입원치료함. 입원시 불안감 호소함.
4월 퇴원후 집에서 Home O2 Therapy 하였으나 dyspnea로 4월 11일 ER통해 입원함.
4월27일 Respiration failure로 intubation;Ventilator keep후 4월 28일 MICU옴. 이후
Tracheostomy 시행. 7월7일 t/f함. 병동에서 porlex size 줄이면서 occusion하고 mask로 O2 inhalation 하던중 10월19일 mask 벗겨지면서 Lardiac arrest CPR하며 MICU옴.
2) 입원 후 경과
(1) 질병과 관련된 환자 상태 변화
① 주호소 : -약간의 의식이 있으며 계속 알아들을수 없는 말을 중얼거리며 intubation 을 뺄려고 해 억제대를 하고있음.
-간호행위에 있어 비협조적
(Suction을 할때 고개를 흔들며 가만히 있지 못함. 발로차는 행위 )
-시트를 계속 긁으며 불안한 모습을 보임.
-그르렁 거리며 호흡이 힘들어 보이고 Suction을 자주함.
② 신체상태 변화 : 보통 v/s이 36°C . 호흡 14회. Heart rate 80회.
BP는 130/80mmHg. saturation 100% 유지함.
의식은 alert하며 피부색은 pale 하고
Tracheostomy 하고 있고 intubation keep 유지한상태.
이외에는 특별한 변화 보이지 않음.
(2) 치료 및 진단적 검사
① 약물요법
♠Muteran
○효능효과
급.만성기간지염, 기관지확장증, 천깃겅 기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