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구조-음운론 정리 (단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구조-음운론 정리 (단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Ⅲ. 음운론
1. 발음기관
2. 음성의 분류
2.1. 음성기호
2.2. 자음
2.3. 모음
2.4. 음절
2.5. 운율적 자질

본문내용

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어느 한 쪽에 넣을 때는 자음으로 분류된다. ‘ㅑ, ㅛ, ㅘ, ㅝ’
이중모음: 반모음과 결합된 모음. 반모음과 모음의 결합음이기 때문에 입 모양도 처음과 끝이 달라진다. 처음에는 반모음의 입 모양이다가 나중에는 모음의 입 모양으로 끝나는 것이다.
2.4. 음절
자음이나 모음과 같은 음성 단위보다 한 단계 더 큰 단위.
성절음: 자음이든 모음이든 혼자서 음절을 이룰 수 있는 음.
국어의 경우는 모음만이, 모든 모음이 성절음이며 자음이 성절음이 되는 일이 없다. 음절의 수는 모음의 수와 일치하여 한 모음은 그 앞뒤의 자음과 함께 한 음절을 이루는 것이다. ‘이, 옥, 곰, 값(갑)’은 한 음절이며 ‘아가, 고기, 국가, 국물, 책값’등은 두 음절인 것과 같이 음절 구성 방식이 매우 간단하다. 다만 맞춤법상 ‘책이, 값을, 웃어라’처럼 받침을 올려 쓰는 경우 음절의 경계가 맞춤법과는 달리 ‘채-기, 갑-슬, 우-서-라’처럼 그어진다는 점은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2.5. 운율적 자질
말을 이루는 요소 중에는 자음과 모음 이외에 그 자음과 모음들을 얼마나 길게 내고 크게 내며, 또는 높게 내느냐 등의 요소도 있다. 이들은 그 단독으로 독립하여 쓰이지 않고 주로 모음에 얹혀서 나타나는데 이러한 음의 장단, 고저, 강약을 운율적 자질이라 한다.
고저악센트
노리의 높낮이. 소리의 진동의 빠르기에 비례한다. 주어진 시간의 진동수, 즉 주파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만큼 소리가 높아진다. 한 음절에 놓이는 소리의 높낮이만을 가리킨다.
만약 어떤 소리의 높낮이가 문장 전체에 놓이면 그것은 억양이라 부른다. 문장의 끝의 억양을 특별히 문말음조라고 하고 그 앞의 문장 안에 나타나는 억양을 고저조라 하여 구별하여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강약악센트
음파의 진폭이 크면 그만큼 소리가 강하게 나고 작으면 그만큼 약하게 나는데, 이 소리의 강약이 모음에 놓이면 그것을 강약악센트라 한다. 국어에도 음이 강약이 놓이기는 하나 그 작용이 그리 크지 않아 그것으로써 단어의 뜻이 달라지는 일은 없다. 그리하여 음의 강약에 대한 한국 사람들의 분별력은 그리 크지 않다.
음장
길이를 결정하는 요소인 음의 장단. 자음에도 장단이 있을 수 있으나 운율적 자리로서의 음장을 말할 때는 대개 모음의 길이를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눈’이 [눈]으로 발음되면 얼굴의 눈, [눈:]으로 발음되면 하늘에서 오는 눈을 가리킨다.

키워드

음운론,   단어,   구조,   정리,   발음,   조음,   기관,   언어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9.11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