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각장애의 정의
1) 일반적 정의
2) 의학적 정의
3) 법적 정의
4) 교육적 정의
5) 다른 나라(미국)에서의 정의

2. 시각장애인의 출현율

3. 시각장애의 원인
1) 출생 전 원인
2) 출생 시 원인과 출생 후 원인

4. 시각장애(아동)의 특성 및 교육
1) 인지적 능력
2) 공간개념 발달의 지체
3) 사회적 및 정서적 발달
4) 학습의 문제

5.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회적 배려
1) 일상생활 지원 사례
2) 공학적 지원의 예
3) 삼성안내견학교

6. 시각장애인을 위한 우리의 준비

본문내용

며, 학생의 요구에 기초한 체육수업을 전개하고, 움직임과 체력활동이 큰 활동을 시키는 것이 좋다.
④ 신체상
시각장애학생들은 시각적 단서의 부족으로 인해 종종 신체의 각 부분을 식별하고 각 부분과 관련된 신체의 사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의 기능 수준을 평가하여 신체의 각 부분과 직임을 사용하는 활동 및 적합한 신체상의 정보를 짝 지워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⑤ 자발적 놀이
일반학생들은 놀이를 통해 각 단계에 필요한 사회성 발달을 배우게 된다. 그러나 시각장애학생들은 의미 있는 놀이를 자각하지 못하여 창조적 움직임과 사회성 발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이들에게 낙하산 놀이, 움직임 탐구, 율동과 같은 사회성 놀이를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확대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⑥ 정서적 표현
시각장애학생들은 시각적 피드백인 몸짓, 비구두적 단서, 상대방의 얼굴 표정을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얼굴 표정이 거의 없으며 타인에게 자신의 감정을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어깨를 움츠리고, 웃고, 찡그리는 움직임 활동을 통하여 표정과 감정의 지각력을 증가시켜 주는 감정 표현 능력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⑦ 자신감
시각장애학생들은 신체활동의 참여 기회가 제약되면 자신감이 결여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이들에게 자신감을 심어 주고 적극적인 태도를 갖도록 격려하며 청각, 촉각 등의 사용을 통해 체력활동, 게임, 스포츠, 여가활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⑧ 습관적 행동(bindisms)
대부분의 시각장애학생들은 시력의 결여를 보완하기 위해 몸을 앞뒤로 흔들고, 손가락으로 눈을 비비며, 얼굴 앞에서 손가락을 흔들고 빙빙 돌리는 등, 적절치 못한 움직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교사는 부적절한 움직임을 보완하기 위해 체력, 무용, 수상 운동과 같은 대근활동을 통해 손과 발 등 신체가 적절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⑨ 자세
시각장애학생들은 시각적 피드백의 결여 때문에 종종 경직되거나 앞으로 굽어져 몸을 흔든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이완 훈련, 요가, 체조 등을 통해 정확한 자세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고, 자신의 신체 위치를 알게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 시각장애 추측단서
① 행동적 단서
눈을 과도하게 문지른다.
한쪽 눈을 감거나 뜨고 있고, 머리를 경사지게 하거나 앞으로 뺀다.
읽기에 어려움이 있거나, 아주 가까이에서 본다.
눈을 자주 깜빡거리거나, 가까이에서 볼 때도 주의를 집중하지 못한다.
낯선 환경에서 걸어 다니는 것이 자연스럽지 못하다.
사람들이나 사물과 자주 부딪힌다.
책을 읽거나 쓸 때에는 제 줄을 따라가지 못한다.
손과 눈의 협응이 요구되는 과제 수행이 빈약하다.
걸음걸이가 매우 조심스럽고 잘 넘어진다.
형태가 비슷한 문자를 혼동하며, 목적물에 헛손질을 한다.
물체를 볼 때 얼굴을 찌푸린다.
② 신체적 단서
눈에 잦은 염증이 있다.
눈물이 줄줄 흐르거나, 눈이 항상 충혈되어 있거나 혹은 눈꺼풀이 부어있다.
눈동자의 움직임이 부드럽지 못하다.
눈꼽이 자주 끼고 고름이 난다.
한쪽 눈의 눈동자가 다른 쪽의 것보다 확실히 커져 있다.
눈이 아프고, 따끔따끔 하다.
머리가 자주 아프고 메스껍고 어지럽다.
(특히 눈을 요하는 작업을 하고 난 뒤)
물체가 희미하거나 두 개로 보인다.
5. 시각장애인을 위한 사회적 배려
1) 일상생활 지원 사례
① 어린이민속박물관의 점자안내문
② 점자그림책 만들기(공공문화개발센터)
③ 일상생활 도구들
- 자동차문, 음료캔, 엘리베이터, 보도블럭 등
2) 공학적 지원의 예
① 웹 서비스
② 자동보행시스템
③ 휴대전화(음성도우미폰)
3) 삼성안내견학교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견, 청각장애인을 위한 보조견, 기타 각종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회복에 많은 도움을 주는 치료견들에 관한 안내 사이트가 있다.
6. 시각장애인을 위한 우리의 준비
시각장애인을 만났을 때 이렇게 행동하십시오.
① 시각장애인을 만났을 때는 먼저 말을 건네주십시오. 그러면 당신이 계신 위치를 알 수
있습니다. ② 여럿이 있을 경우 한 사람에게 말을 할 때에는 지적을 하거나, 손을 잡으면서 확실한
말로 해야 합니다. ③ 시각장애인을 안내하실 때에는 시각장애인이 당신의 팔꿈치를 잡도록 하거나 손을 잡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뒤에서 민다든지 팔을 잡아끈다든지 또는 흰 지팡이의 끝을 잡고
끄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④ 시각장애인을 실내나 집회장에 안내할 때는그 방의 넓이와 연단의 위치 등 그 방의
모양을 간단히 설명하여 주십시오. ⑤ 자리를 권할 때는 의자의 경우 시각장애인의 손을 의자의 뒤에 얹혀 놓기만 하면
충분합니다. ⑥ 시각장애인과 식사할 때에는 접시, 컵, 수저 등의 위치와 요리 내용을 가만히 설명하여
주십시오. 그 외의 것은 물어서 가르쳐주십시오. ⑦ 다과를 권할 때에는 '여기에 이것을 놓습니다'라고 말씀하시고, 그 접시에 손을 닿게
하여 주십시오. ⑧ 시각장애인에게 방향이나 장소를 질문 받았을 때는 그 시각장애인의 위치로부터 좌, 우,
전, 후로 몇 미터 몇 발자국에 찾는 것이 있다고 말씀하여 주십시오. 그저 여기, 저기라
고 말한다면 알 수가 없습니다. ⑨ 시각장애인이 버스나 택시에 타거나 내릴 때에는 문을 만지게 해주시면 충분합니다.
그리고 차내에 빈자리가 없을 때에는 손잡이를 잡게 도와주시면 됩니다. ⑩ 시각장애인이 교차로나 길에서 곤란을 받고 있을 때에는 가만히 말을 걸어 도와주십시
오. ⑪ 영화나 연극, TV, 스포츠 등을 감상하는 것은 시각장애인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요점만 잘 설명해 주시면 이해가 가능합니다.
≪ 참고 문헌 ≫
*국립특수교육원 장애이해 사이트 - edu.kise.go.kr
*점자사랑 - http://user.chollian.net/~torch3/frame.htm
*부산 시각장애인 부모회 - http://www.eyelove.rosy.net/
*한국시각장애인복지재단 생활용구실 - http://my.dreamwiz.com/oksjm/
*네이버 블로그 검색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0.02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1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