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모음체계(요약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국어 모음체계(요약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는 데 매우 중요한 증거가 된다.
1.3.2. 이로파에서 일본문자를 정음문자로 전사한 것도 위의 파스파자의 경우와 대체로 동일하다. 일본어의 o와 u가 각각 ‘ㅗ’와 ‘ㅜ’로 전사되었으며, ye가 ‘ㅖ’로 전사된 사실은 파스파자의 e의 전사와 일치하는 것이다.
1.3.3. 여기서 동국정운에 대하여 언급할 필요를 느낀다. 동국정운은 어디까지나 국어 표기로서의 한자음 표기를 위해 마련된 것이었기 때문에 중국의 한자음을 충실히 나타나고자 한 표기와는 절대로 혼동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논저들을 보면 이러한 혼동이 일반적이었다. 가령 동국정운은 ‘ㅗ’와 ‘ㅜ’에 있어서는 우리 나라의 전통적 한자음과 대체적인 일치를 보여주고 있는데, 종래의 연구들은 이를 중국음과 관련시켜 설명하려 했던 것이다.
우리 나라의 전통적 한자음과 동국정운의 ‘ㅗ’(가령 銅은 훈몽자회에 ‘동’, 동국정운에 ‘똥’)
와 한음의 ‘ㅜ’(銅은 사성통해에 ‘뚱’, 몽고자운에 tu)와의 대응은 주목을 끈다. 중국어 음운사의 연구에 의하면, ‘銅’의 모음은 [u]였는데 이것이 고대에 들어온 것은 15세기에 ‘ㅗ’로 나타나고 당대의 것은 ‘ㅜ’로 받아들여진 사실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인가. 이것은 고대 이후 15세기 이전의 어느 시기에 국어에 [u]>[o]의 변화가 있었다고 가정하고 15세기의 ‘ㅗ’ ‘ㅜ’는 각각 [o], [u]를 나타냈다고 추정함으로써만 설명이 된다. 즉 고대에 [u]로 들어와 전통화된 한자음은 그뒤 [o]로 변해 15세기에 ‘ㅗ’로 표기되었고 15세기에 [u]는 그대로 받아들여져 ‘ㅜ’로 표기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1.3.4. 국어를 외국 문자로 표사한 대표적인 자료로서 조선관역어가 있다. 먼저 ‘ㅗ’와 ‘ㅜ’에 관심을 집중하기로 한다. 편의상 조사를 개음절에 국한하기로 한다. 아래는 몽고자운과 사성통해에서 각각 파스파자와 정음자로 한자들의 발음을 적은 것이다.
(a) (오) 我 o 어, 臥 o 어 (고) 果 guo 궈 (노) 努 nu 누 (도) 朶 duo 더 (로) 落 law (모) 莫 maw (뭐) 磨 muo 뭐 (소) 所 su 수 (조) 左 jo 저 (토) 吐 t\'u 투 (코) 課 k\'uo 쿼.
(b) (우) 五 u 우 (구) 故 gu 구 (누) 努 nu 누 (두) 覩 du 두, 杜 tu 뚜 (루) 路 lu 루 (무) 母 muw 무 (부) 卜 bu 부 (수) 速 su 수, 數 su 수.
이들 한자의 검토에서 조선관역어는 국어의 ‘ㅗ’ ‘ㅜ’를 분명히 구별 표사하였다는 점을 볼 수 있다. 먼저 국어의 ‘ㅗ’를 위하여 사용된 한자들은 대부분 가운(-o, -uo)과 소운(-aw)에 속하는 것들임에 대하여 국어의 ‘ㅜ’를 위하여 사용된 한자들은 거의 어운(-u, -u)에 속하는 것들이라는 사실이 주목을 끈다.
첫째, (a)에서는 정음 문자의 ‘ㅗ’와 중국어의 o, uo 및 aw의 대당이 절대적임이 드러난다. 이 사실은 ‘ㅗ’의 음가가 [o]였음을 말해 준다. aw에 대해서는 ‘落’ ‘莫’ 두 자가 다 현대 중국음으로는 lo, mo로 o를 가지고 있는 사실을 염두해 두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둘째, (b)는 국어의 ‘ㅜ’와 중국음의 u의 대당을 드러내 준다. 여기서는 예외가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즉 이러한 대당 관계는 15세기 국어의 ‘ㅜ’의 음가가 [u]였음을 말해 주는 증거가 된다.
조선관역어에서 국어의 ‘ㅓ’를 표사하기 위하여 사용된 중요한 한자들을 들면 다음과 같다. 어 額, 거 格, 더 得, 서 色, 허 黑. 이들은 몽고자운에서는 모두 가운에 속하는 것인데 그 음은 매우 정의하기 어려운 것이었던 듯하다. 사성통해의 ‘額’ 에 “俗音 蒙韻얘 今俗音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9.28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5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