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여성] 말괄량이 길들이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과 여성] 말괄량이 길들이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캐더리나와 비앙카의 유사성과 차이점
1) 말괄량이 길들이기 시대상
2) 캐더리나의 거친 저항과 타협적 결혼
3) 비앙카의 연기를 통한 타협과 저항
2. 현대사회에 적용되는 말괄량이 길들이기

Ⅲ. 결론

본문내용

신부감으로써 손색없는 조건을 갖춘 그녀를 결혼시장에서 상품가치가 없는 존재로 전락시킨 그녀의 유일한 단점 즉, 그녀가 말 많은 말괄량이라는 점은 따지고 보면 그녀가 페트루치오와 처음 대면하는 장면의 설전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듯이 그녀가 지닌 남달리 뛰어난 언어적 재치로 평가되어야 옳을 특징적인 장점임에도 불구하고 파두어 사회에서는 전혀 인정을 받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캐더리나와 대조되는 온순한 여동생 비앙카가 결혼시장에서 남성에게 선택받을 수 있는 경쟁력 면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캐더리나의 결혼 후는 온갖 고통을 당하게 된다. 페트루치오는 마치 자신이 신부를 위험으로부터 용감히 구출해내는 기사 로맨스 속의 용사인 양 행세함으로써 온갖 해괴한 행동이 모두 신부 캐더리나를 위한 것처럼 보이고자 한다. 이런 양상은 자신의 집으로 아내를 데려가 음식안주기, 잠 안재우기, 생트집 잡기 등의 방법을 동원해 본격적으로 길들이기를 시도할 때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가령 캐더리나에게 음식을 주지 않을 때도 처음부터 아예 굶기는 식이 아니라 일단 음식을 가져오게 한 후 멀쩡한 음식을 너무 탔네 어쩌네 하면서 하인들에게 호통을 쳐 도로 가져가게 하고 아내에게는 탄 음식을 먹으면 건강에 해롭다는 둥 둘러대어, 마치 사랑하는 아내를 위해서는 굶기는 방법 외에는 도리가 없다는 식으로 행동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페트루치오가 채택한 말괄량이 길들이기 작전의 핵심은 아내를 끔찍이 위하는 척하면서 실상은 신체적, 심리적 고통을 가하는 방법, 즉 \"친절로 마누라를 잡는 방법\"(4막1장) 이란 말로 요약될 수 있다.
당연히 캐더리나는 사랑이라는 이름 아래 자신에게 이렇게 고통을 주는 남편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친정으로 가는 길에, 중천에 뜬 해를 달이라 부르게 하고 길가는 노인을 처녀로 부르게 하면서 말을 듣지 않으면 도로 돌아가겠다고 위협하는 식으로 너무도 어처구니없는 남편의 길들이기가 계속되자, 마침내 캐더리나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정확하게 꿰뚫어보는 판단력을 되찾고 남편의 요구에 순순히 응함으로써 길든 아내의 모습을 처음으로 보여주게 된다.
이때 그녀는 마지못해 소극적으로 남편의 지시에 따르는 자세를 취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활기 넘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자신의 언어적 재치를 십분 발휘해 남편의 변덕을 은근히 꼬집기까지 한다. 이것은 캐더리나가 가부장제가 여성을 구속한다 해도 여성인 캐더리나가 가부장 사회를 떠날 수 없음을 상징한다. 그래서 자신의 욕망을 위해 가부장제의 틀을 역이용한 비앙카처럼 캐더리나 역시 가부장제의 틀을 거부하지 않으면서 자신을 피력하는 방법을 배운 것이다. 이처럼 캐더리나는 능동적으로 사회에 타협하며 저항하는 법을 터득하였으며 그러한 배움을 긴 설교로서 표현한다. \"봉사와 사랑과 복종\" 이라고 가르치는 캐더리나의 유명한 설교는 그 내용적인 면에만 초점을 맞출 때에는 이 발언을 기존의 전통적 교리의 대변으로 보든 새롭게 등장한 인문주의적 결혼관의 표현으로 보든 기본적으로 남녀간의 위계질서를 옹호하는 남성 중심적 정설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그런 의미에서 이 극이 전달하고자 하는 전체적인 메세지도 이 범위 안에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 긴 대사가 담고 있는 내용과 그것을 표현하는 형식과의 모순을 주목한다면 좀 다른 해석도 가능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녀의 설교는 이 극 전체에서 가장 긴 대사이고 이 대사를 말할 때의 그녀는 무대를 압도하는 \'남성적\'힘을 표출하기 때문이다. 앞서 지적한 대로 남성에게 여성의 말없음이 미덕인 한 여성의 언어는 남성의 권위에 대한 도전이 되는 셈인데 캐더리나가 좌중을 압도하는 긴 대사를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02.17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