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언어에 대한 조사(은어,속담등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언어에 대한 조사(은어,속담등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찬양과 미화
2. 적개심과 비화
3. 원색적인 표현
4. 김일성에 대한 은어와 존칭어
① 은어
② 존칭어와 수식어
5. 일상생활에서의 은어
① 체제와 관련된 은어
② 간부와 관련된 은어
③ 이성 관계와 관련된 은어
④ 군과 관련된 은어
⑤ 일상생활과 인민과 관련된 은어
6. 속담으로 본 북한 사회

결론

본문내용

죽음의 대기소 : 양로원의 별칭.
- 하모니카 아파트 : 한 칸에 한 집씩 들어가도록 만들어 놓은 아파트로 창문이 나있는 뒤에서 보면 흡사 하모니카 구멍 같다고 하여 이 같은 이름이 붙여 졌다.
6. 속담을 통해 북한 사회
우리나라 속담을 봐도 예전의 선조들의 어떻해 살았나를 볼 수 있는 것처럼 속담을 통해서도 북한의 사회를 볼 수 있었다.
-독으로 독을 친다
독을 물리치려면 같은 독 있는 물건을 써서 물리쳐야 한다는 뜻으로 어떤 부정적인 것을 없애는 데는 상대편이 들고 나오는 수단과 방법에 맞먹는 수단과 방법을 써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 (= 열로 열을 친다.)
해석 : 위의 속담은 호전적이고 투쟁적인 삶의 자세를 부추기고 있다. 암암리에 죽기 아니면 살기식의 임전 태세를 연상시킨다.
- 부자네 곡식은 정한게 없다.
낡은 사회에서 부자는 농민들의 곡식을 마음대로 긁어갈 수 있으므로 어느 것이 부자네 곡식이라고 정해진 것이 없다는 뜻으로 착취계급의 재산은 어느 것이나 다 착취와 사기협잡으로 긁어 모은 것임을 비겨이르는 말.
해석 : 얼마나 가진 자에 대한 적의와 악의가 들어차 있는가를 엿 볼 수 있다. 이러한 공격성이 결국 다 같이 잘 살자는 그들의 이상과는 달리 현실적으로는 다 같이 못살기의 방향으로 가게 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 놀부의 환생
죽었던 놀부가 다시 살아나 못된 심술을 피우듯이 남이 잘되는것을 공연히 시기하고 비방하는 사람을 비겨이르던 말.
해석 : 환생이라는 불교 용어의 해석에 문제가 있는 속담이다. 흔히 불가에서는 전생의 업보에 따라 육도를 윤회 전생 하게 되므로 어떤 의미에서는 생명이 영속하며 영혼이 불멸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전생을 마치고 후생으로 태어나는 것을 “환생” 이라 일컫는다. 그러므로 “생”은 새로운 세상에 다시 태어나는 것인데 위의 뜻풀이는 가사상태에서 희생하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종교를 부정하는 견지를 고수하자니까 전통적으로 쓰이는 낱말 풀이조차 왜곡시켜 놓았다.
- 기와집에서 이밥에 고기국을 먹고 비단옷을 입고 산다.
우리 나라 사회주의제도하에서 세상에 부러울 것없이 살고 있는 우리 인민을 풍족한 생활을 지난날 우리 인민의 이상에 비겨이르는 말.
해석 ; 이 표현은 속담의 특성을 갖추지 않았다. 북한 사회의 풍족함을 억지로 과장하여 당대의 속담이라고 슬며시 끼워 넣었으나 그 작위성과 허구성이 대뜸 노출된 예라고 하겠다.
- 물은 깊을수록 소리가 없다.
교양이 깊고 수양이 된 사람일수록 겸손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상교양이 잘된 사람은 불만이나 불평이 없이 당의 노선에 충실함.
- 마음이 맞으면 삶은 도토리 한 알을 가지고도 시장멈춤을 한다.
서로 마음이 맞으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음을 가리키는 말로 식량난과 강제 노역에 대한 주민의 불만을 무마하는 데 사용함.
- 젊어서 고생은 금주고도 못산다.
청소년들의 노력 동원과 강력한 사상 학습을 합리화하는 수단으로 사용함
- 입에 들어가는 밥술도 제가 떠넣어야 한다.
주민 노역에서 주인 의식을 강조하고 선동하는 데 사용함.
- 자루 속의 송곳은 감수 없다.
부정적 요소는 아무리 겉을 가려도 정체가 드러나듯이 미제의 침략 본성은 탄로가 난다는 적개심 고취에 사용함
- 물 우에 기름
함께 있으면서도 서로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을 비난하는 말로 사용함
결론
자료가 많지 않아서 좀 중복되는 의미나 내용도 있었지만 북한 사회의 은어, 속담을 통하여 조금이나마 북한 사회를 이해하게 된 거 같다. 북한 지도층에서 의도적으로 인민들을 북한체제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 체제 옹호 언어나 다른 체제 비하 등을 어휘 속담 등을 통하여 이용하는 것에 대해 더 알게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10.3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