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간 지원 불평등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문간 지원 불평등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Ⅰ.우리나라 교육부가 추진하는 대학교육정책의 기조 및 방향
-국제 사정과 비교해 한국 대학의 어떤가?
-대학구조 개혁, 날개를 달다
-연구력 강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
-향후과제
Ⅱ.타국립대의 교육정책 및 현황
-BK21사업 선정 학과 현황
-NURI 사업 선정 학문 현황
Ⅲ.경북대학교 학문별 지원 실태
Ⅳ.학문분야별 연구비 지원 현황
-중앙정부지원 대학연구비
-지방정부지원 대학연구비
-민간지원 대학연구비
-외국기관지원 대학연구비
Ⅴ.문제점

*결론

*참고문헌/사이트

본문내용

사회분야는 1개, 전문서비스분야 2개, 핵심 분야 5개 등 과학기술분야에서 강세를 띄었다.
또한 지역대로서는 유일하게 전국단위 사업에 참여하게 됐는데 전국단위에 선정된 사업은 ▲기계 ▲수학 ▲생물 분야로 자연 및 이공계열이다.
BK 21을 통한 지원은 사업 목표의 달성 여부에 따라 앞으로의 예산 지원이 다소 변동될 수 있다. 선정된 사업단팀들은 앞으로 고급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각 분야 연구 및 교육 체제를 강화하고, 취업에 용이할 수 있도록 산학 협력 또한 활성화할 방침이다. 임용도 교수는 “이번 사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학생 장학금 지원, 교수 충원, 학회지 발간 등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BK 21 사업은 사업단 선정과 함께 각 대학의 제도 개혁을 요구하기까지 했다. 여기에는 제도 개혁에는 학사과정 입학전형제도 개선, 교수·학생 비율 개선, 대학원 문호개방 비율 확대, 대학원 학사관리 개선, 연구비 중앙관리제의 확립 등을 포함한다.
BK 21사업을 통해 지원금을 받는 학과 현황은 다음과 같다.
분야
세분류
사업단명
대학명
학과명
과학기술분야
기초
차세대 화학 소재
경북대학교
화학
과학기술분야
응용
지능기계 뉴트런티어 연구인력양성사업단
경북대학교
기계공학
과학기술분야
응용
미래지향 글로벌 방재 전문인력양성
경북대학교
건설공학
과학기술분야
기초
에너지 및 나노물리 특성화
경북대학교
물리 및 에너지학
과학기술분야
응용
정보기술인력양성사업단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과학기술분야
기초
수리계산
경북대학교
수학
과학기술분야
기초
생명과학 BK 21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인문사회분야
인문사회
지역혁신을 위한 창의형 디지털 경영인재 양성 사업단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핵심분야
과학기술
NBIT 융합 섬유산업 전문가그룹 양성
경북대학교
기능물질공학과
핵심분야
인문사회
문학치료
경북대학교
문학치료학과
핵심분야
과학기술
노화 및 손상 간세포의 재생촉진 기술개발
경북대학교
병리학
핵심분야
과학기술
에너지자원 및 환경지질 인력양성
경북대학교
지질학
핵심분야
과학기술
식이성 phytochemical의 향노화 건강기능 연구인력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
핵심분야
치의학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BK 21 사업단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핵심분야
의학
경북대학교 의료전문서비스 인력양성사업단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처럼 본교를 비롯한 국립대는 특성화 및 차별화 전략을 통해 누리사업이나 BK 21과 같은 대형국책프로젝트에 선정됨으로써 부족한 국비지원을 충당한다. 국립대 총 예산의 2/3는 국비지원이 차지하게 마련이지만 참여정부는 교육재정 GNP 대비 6% 확보를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이것이 이뤄지지 못해 국립대의 재정은 열악하기 그지없다. 따라서 국비지원 확대와 등록금 인상, 발전기금 확충 등을 통해 제도적으로 허용되는 선에서 재정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중 본교가 사활을 걸고 있는 특성화, 차별화 전략을 통해 확보하는 국비지원은 국고지원과 특별지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국고지원 확대는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교육부의 각종 평가에 의해 지원되는 특별지원금 확보에 나선 것이다. 2003년 본교는 국립대발전계획안에 대한 평가에서 1위로 35억원, 최근 BK21 평가에서 1위로 5억원을 지원받았다. 이는 기성회비를 10% 인상한 효과와 맞먹는다.
특히 본교의 IT,BT를 특성화는 각종 평가에서 유리하다는 평이다. 교수의 연구력도 뒷받침되고 있어 특별지원을 받을 여건이 매우 잘돼있다는 것이다.
교원 연구비 현황
(단위:천원)
연 도1)
구 분
2001
2002
2003
20042)
2005
과제수
금 액
과제수
금 액
과제수
금 액
과제수
금 액
과제수
금 액
합 계
3,058
43,098,291
3,525
58,695,541
3,673
68,931,361
3,882
88,859,524
4,180
97,529,882
학 술 연 구 비
1,980
40,937,926
2,176
57,147,887
2,197
67,609,448
1,972
87,243,903
2,046
95,866,411
교 육 인 적 자 원 부
6
4,651,000
4
5,618,900
6
7,083,346
23
14,649,296
20
18,751,391
교 육 정 책
1
13,000
1
18,000
-
-
4
87,000
2
40,000
B K 2 1
3
4,578,000
3
5,600,900
3
6,983,346
10
6,414,056
10
7,013,614
(NURI) 사업
-
-
-
-
-
-
5
8,043,240
6
11,622,777
기 타
2
60,000
-
-
3
100,000
4
105,000
2
75,000
한 국 학 술 진 흥 재 단
96
3,333,605
106
6,083,302
98
6,138,967
112
6,162,826
138
7,361,982
자 유 공 모
-
-
-
-
-
-
-
-
-
-
지 방 대 육 성
14
213,398
16
332,470
24
597,622
33
706,972
-
-
신 진 교 수
5
58,297
15
284,160
10
190,906
13
207,574
21
397,862
대 학 부 설 연 구 소
6
367,124
8
709,004
8
684,800
8
758,250
10
1,228,401
신진연구인력장려금
-
-
-
-
-
-
-
-
-
-
국제 협력 공동 연구
-
-
-
-
-
-
-
-
-
-
외국석학공동연구
-
-
-
-
-
-
-
-
-
-
학제간연구과제
-
-
-
-
-
-
-
-
-
-
고 구 려 사 연 구 지원
-
-
-
-
-
-
1
24,725
-
-
동서양학술명저번역
-
-
-
-
-
-
-
-
2
70,150
예 술 이 론 교 육
-
-
-
-
-
-
-
-
-
-
유초중고 교육정책
-
-
-
-
-
-
-
-
-
-
인 문 학 육 성
1
32,813
-
-
-
-
-
-
-
-
대학교육디지털콘텐츠
1
36,674
1
47,460
-
-
-
-
-
-
선 도 과 학 자
-
-
-
-
-
-
-
-
1
63,670
A B R L
-
-
-
-
-
-
-
-
2
200,000
우수여성과학자연구지원
-
-
-
-
-
-
-
-
7
172,361
  • 가격2,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7.10.0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1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