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대인 매력의 원리들
1) 형평이론
2) 역할기대이론
3) 상호의존이론
3. 매력/ 호감의 결정 요인
1) 유사성
2) 상보성
3) 실수효과
4) 근접성
5) 신체적 매력
4. 6가지 사랑유형
5. 결론
2. 대인 매력의 원리들
1) 형평이론
2) 역할기대이론
3) 상호의존이론
3. 매력/ 호감의 결정 요인
1) 유사성
2) 상보성
3) 실수효과
4) 근접성
5) 신체적 매력
4. 6가지 사랑유형
5. 결론
본문내용
꼽을 때 고려할 점’이라는 질문에는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사람’(27.8%)을 첫 번째로 꼽았고, 뒤를 이어 ‘자신과 성격이 비슷한 사람’(25.5%), ‘원만한 대인관계의 사람’(17.5%), ‘남을 배려해주는 성격의 사람’(13.0%), ‘친근한 성격의 사람’(9.7%) 등으로 나타났다.
피어리의 강석(39)대표는 “남녀 모두 자신의 성격을 보완해줄 수 있는 사람을 선호한다”면서 “데이트 할 때 소심男은 보다 적극적이고 자신 있게 행동하고, 화끈女는 화끈함 외에 여성스러움도 강조해야 상대 이성의 호감을 끌 수 있다”고 조언했다.
사례 분석 :맥스무비 의 이색 설문조사는 대인 매력의 원리 중 상보성의 원리를 그대로 설명하고 있다. 소심男의 경우 조용하거나 자상한 여성, 리더십 있는 여성 애교있는 여성을 밀치고 터프하고 화끈한 여성을 1위로 꼽았고 반대로 화끈 녀의 경우 리더십있거나 화끈하고 털털한 남성 보다는 조용하고 내성적인 남성을 꼽았다. 이는 ‘이상적인 성격을 꼽을 때 고려할 점’이라는 질문에는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사람’(27.8%)을 첫 번째로 꼽은데서 알 수 있듯이 욕구의 상보성 이론을 뒷받침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례 2] 호감도 설문연구
< 남자는 선천적으로 순종형 여성 좋아해 >
(서울=연합뉴스) 이봉준 기자 =
남자는 선천적으로 동료나 상사 같은 스타일 보다는 부하 처럼 순종적 여성과 결혼하거나 데이트를 즐기고 싶어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같은 결과는 스테파니 브라운 미국 미시간대 심리학과 교수팀이 최근 캘리포니아대(UCLA) 남학생 120명과 여학생 208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얻어졌다고 nbc6.net이 14일 보도했다.
브라운 교수팀은 학생들에게 \"상대 남녀가 동료와 상사, 비서 등 3가지일 경우를 상정해 누구와 결혼하거나 데이트를 즐기겠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조사 결과 남학생 대다수는 부하 처럼 자기 보다 신분이 낮은 파트너와 혼인하거나 데이트를 하겠다고 응답했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 동료나 상사, 부하 등에 관계 없이 결혼 및 교제 상대를 지목했다.
브라운 교수는 \"조사 결과 남성은 자기 보다 못한 여성을 결혼 상대로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이번 결과는 강한 여성이 결혼 시장에서 불리하다는 경험적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연구는 여성이 약점을 노출할 때 매력을 높인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면서 \"이는 또 남자들이 왜 젊고 가난한 여성을 좋아하는 지를 더 잘 설명한다\"고 덧붙였다.
브라운 교수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미 심리학회지 `진화와 인간 행동\'에 발표할 예정이다.
사례 분석 : 이 신문 기사는 남자는 선천적으로 동료나 상사 같은 스타일 보다는 부하 처럼 순종적 여성과 결혼하거나 데이트를 즐기고 싶어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대인매력 원리 중 일반적으로 유사성이 상보성보다 효과가 크지만 일부 성역할에서는 그 반대로 적용된다는 것을 뒷받핌하는 기사이다. 이 기사에서 선천적으로 남성이 순종적 여성에게 매력을 느낀다고 한 것에서 선천적으로 그렇다는 것에는 근거가 부족하지만 가부장적 제도에서 고정된 성역할이 학습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런 사고가 일어났다고 추측할 수 있겠다. 출처 : http://news.media.daum.net/foreign/america/200412/15/yonhap/v7935724.html
3) 실수효과 (pratfall effect)
: 실수효과란 사람들이 유능한 사람들을 좋아하기는 하나 너무 완벽한 사람보다는 조금의 허점을 보이는 사람을 더욱 좋아하고 매력적으로 평가하는 현상이다. 우리는 능력있는 사람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는 대부분의 면에 있어서 유능하면서 가끔씩 실수를 저지를 때에 일어나는 효과로, 무능한 사람이 실수를 했을 경우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호감이 감소하게 된다.
심리학자 Aronson은 실수효과에 대한 실험을 했는데, 그는 사람들에게 어떤 퀴즈게임 방송 프로그램의 실황이라고 소개하면서 녹음테이프를 들려주었다. 출연자 중 한 사람은 모든 문제를 거의 완벽하게 풀었으며 다른 사람은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했다.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게임 전 과정과 게임이 끝난 후에 출연자들과 진행자가 주고받는 대담 내용을 청취했는데 두 가지 조건의 내용을 듣게 된다.
하나는 출연자들이 대담 과정에서 자신의 옷에 커피를 엎지르는 실수를 저지르면서, 자기가 평소 이런 저런 실수를 저지른다는 등 개인적인 실수담을 털어 놓았다. 그러나 다fms 조건의 출연자들은 대담 중에 어떤 실수도 저지르지 않았으며 자신의 개인적 결점이나 허점을 털어놓지도 않았다.
녹음 내용을 듣고난 사람들의 호감도 평가 결과, 문제를 잘 풀면서도 대화 도중 빈틈을 보이고 개인적인 실수담을 털어놓은 출연자가 최고의 평가를 받았다
[사례1] 한예슬과 고현정의 이미지 변신
사례분석 : 한예슬의 경우 기존에 김희선을 닮은 예쁜 외모와 지성을 갖춘 완벽한 여성 연기자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드라마 ‘환상의 커플’에서 상스러운 말을 하거나 더러운 장면을 보여주어 엽기적이고 실수투성이인 캐릭터를 연기함으로써 완벽한 이미지에 허점을 드러내어 시청자들의 호감을 얻었다.
사례분석 : 고현정의 경우에도 90년대 모래시계라는 드라마를 통해 청순하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고수했었으나, 최근 드라마를 통해 푼수 같은 엽기 노처녀 역할을 맡으면서 이전의 완벽한이미지에 허점을 드러내게 되었고, 이는 시청자들의 호감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실수는 상대방에게 유능한 사람들을 좀 더 인간적이고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하여 호감을 상승시킨다. 또한 누구나 다 자신의 결점을 감추려 하기 때문에, 결점을 드러내면 그 사람이 진실되다고 느끼게 되어 더욱 매력을 느끼게 된다.
[사례2 ] 케네디 대통령의 일화
1961년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은 쿠바 침공에 실패했는데, 이 사건 직후 미국의 언론은 그의 인기도를 조사하는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놀랍게도 그의 개인적 인기는 하락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승했다. 이는 실수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는 개인적으로
피어리의 강석(39)대표는 “남녀 모두 자신의 성격을 보완해줄 수 있는 사람을 선호한다”면서 “데이트 할 때 소심男은 보다 적극적이고 자신 있게 행동하고, 화끈女는 화끈함 외에 여성스러움도 강조해야 상대 이성의 호감을 끌 수 있다”고 조언했다.
사례 분석 :맥스무비 의 이색 설문조사는 대인 매력의 원리 중 상보성의 원리를 그대로 설명하고 있다. 소심男의 경우 조용하거나 자상한 여성, 리더십 있는 여성 애교있는 여성을 밀치고 터프하고 화끈한 여성을 1위로 꼽았고 반대로 화끈 녀의 경우 리더십있거나 화끈하고 털털한 남성 보다는 조용하고 내성적인 남성을 꼽았다. 이는 ‘이상적인 성격을 꼽을 때 고려할 점’이라는 질문에는 ‘자신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사람’(27.8%)을 첫 번째로 꼽은데서 알 수 있듯이 욕구의 상보성 이론을 뒷받침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례 2] 호감도 설문연구
< 남자는 선천적으로 순종형 여성 좋아해 >
(서울=연합뉴스) 이봉준 기자 =
남자는 선천적으로 동료나 상사 같은 스타일 보다는 부하 처럼 순종적 여성과 결혼하거나 데이트를 즐기고 싶어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같은 결과는 스테파니 브라운 미국 미시간대 심리학과 교수팀이 최근 캘리포니아대(UCLA) 남학생 120명과 여학생 208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얻어졌다고 nbc6.net이 14일 보도했다.
브라운 교수팀은 학생들에게 \"상대 남녀가 동료와 상사, 비서 등 3가지일 경우를 상정해 누구와 결혼하거나 데이트를 즐기겠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조사 결과 남학생 대다수는 부하 처럼 자기 보다 신분이 낮은 파트너와 혼인하거나 데이트를 하겠다고 응답했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 동료나 상사, 부하 등에 관계 없이 결혼 및 교제 상대를 지목했다.
브라운 교수는 \"조사 결과 남성은 자기 보다 못한 여성을 결혼 상대로 선호하는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이번 결과는 강한 여성이 결혼 시장에서 불리하다는 경험적 가설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번 연구는 여성이 약점을 노출할 때 매력을 높인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면서 \"이는 또 남자들이 왜 젊고 가난한 여성을 좋아하는 지를 더 잘 설명한다\"고 덧붙였다.
브라운 교수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미 심리학회지 `진화와 인간 행동\'에 발표할 예정이다.
사례 분석 : 이 신문 기사는 남자는 선천적으로 동료나 상사 같은 스타일 보다는 부하 처럼 순종적 여성과 결혼하거나 데이트를 즐기고 싶어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대인매력 원리 중 일반적으로 유사성이 상보성보다 효과가 크지만 일부 성역할에서는 그 반대로 적용된다는 것을 뒷받핌하는 기사이다. 이 기사에서 선천적으로 남성이 순종적 여성에게 매력을 느낀다고 한 것에서 선천적으로 그렇다는 것에는 근거가 부족하지만 가부장적 제도에서 고정된 성역할이 학습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런 사고가 일어났다고 추측할 수 있겠다. 출처 : http://news.media.daum.net/foreign/america/200412/15/yonhap/v7935724.html
3) 실수효과 (pratfall effect)
: 실수효과란 사람들이 유능한 사람들을 좋아하기는 하나 너무 완벽한 사람보다는 조금의 허점을 보이는 사람을 더욱 좋아하고 매력적으로 평가하는 현상이다. 우리는 능력있는 사람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는 대부분의 면에 있어서 유능하면서 가끔씩 실수를 저지를 때에 일어나는 효과로, 무능한 사람이 실수를 했을 경우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호감이 감소하게 된다.
심리학자 Aronson은 실수효과에 대한 실험을 했는데, 그는 사람들에게 어떤 퀴즈게임 방송 프로그램의 실황이라고 소개하면서 녹음테이프를 들려주었다. 출연자 중 한 사람은 모든 문제를 거의 완벽하게 풀었으며 다른 사람은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했다.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은 게임 전 과정과 게임이 끝난 후에 출연자들과 진행자가 주고받는 대담 내용을 청취했는데 두 가지 조건의 내용을 듣게 된다.
하나는 출연자들이 대담 과정에서 자신의 옷에 커피를 엎지르는 실수를 저지르면서, 자기가 평소 이런 저런 실수를 저지른다는 등 개인적인 실수담을 털어 놓았다. 그러나 다fms 조건의 출연자들은 대담 중에 어떤 실수도 저지르지 않았으며 자신의 개인적 결점이나 허점을 털어놓지도 않았다.
녹음 내용을 듣고난 사람들의 호감도 평가 결과, 문제를 잘 풀면서도 대화 도중 빈틈을 보이고 개인적인 실수담을 털어놓은 출연자가 최고의 평가를 받았다
[사례1] 한예슬과 고현정의 이미지 변신
사례분석 : 한예슬의 경우 기존에 김희선을 닮은 예쁜 외모와 지성을 갖춘 완벽한 여성 연기자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드라마 ‘환상의 커플’에서 상스러운 말을 하거나 더러운 장면을 보여주어 엽기적이고 실수투성이인 캐릭터를 연기함으로써 완벽한 이미지에 허점을 드러내어 시청자들의 호감을 얻었다.
사례분석 : 고현정의 경우에도 90년대 모래시계라는 드라마를 통해 청순하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고수했었으나, 최근 드라마를 통해 푼수 같은 엽기 노처녀 역할을 맡으면서 이전의 완벽한이미지에 허점을 드러내게 되었고, 이는 시청자들의 호감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실수는 상대방에게 유능한 사람들을 좀 더 인간적이고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하여 호감을 상승시킨다. 또한 누구나 다 자신의 결점을 감추려 하기 때문에, 결점을 드러내면 그 사람이 진실되다고 느끼게 되어 더욱 매력을 느끼게 된다.
[사례2 ] 케네디 대통령의 일화
1961년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은 쿠바 침공에 실패했는데, 이 사건 직후 미국의 언론은 그의 인기도를 조사하는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놀랍게도 그의 개인적 인기는 하락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승했다. 이는 실수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는 개인적으로
추천자료
[역할][역할의 개념][역할의 의의][역할의 구성][Role-play][롤플레이][역할놀이][역할의 평...
청소년기 정신건강(성격과 대인관계, 전공과 진로, 이성교제와 친밀감, 음주와 생활습관, 군...
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개념, 특성, 필요성, 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적용조건...
다중지능이론(MI이론)의 개념과 종류, 다중지능이론(MI이론) 교수학습의 필요성, 다중지능이...
교수학습이론(수업이론) 통찰학습이론과 설명식학습이론, 교수학습이론(수업이론) 생애개발학...
도덕성발달이론(콜버그이론) 특징과 원리, 도덕성발달이론(콜버그이론) 발달단계와 내용, 도...
다중지능이론(MI이론) 의미와 요소, 다중지능이론(MI이론) 교육적 가치, 다중지능이론(MI이론...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의 특성,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의 목표,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의 발...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 특징,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론 발달, 에릭슨 심리사회적발달이...
또래관계 및 대인관계증진프로그램(집단프로그램, 프로그램계획, 5회기세부실행내용, 프로그...
간호학특론A형-파슨즈환자역할] 파슨즈의 환자역할 1) 대상자2인 인구사회적, 생활습관특성 2...
[부모역할] 부모역할의 시작(부모역할의 학습, 부모역할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