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 뿌리의 구조
② 흡수면으로서의 뿌리
③ 뿌리의 생장
④ 뿌리의 종류
⑤ 뿌리의 변화
⑥ 뿌리의 기능
⑦ 뿌리의 이용
② 흡수면으로서의 뿌리
③ 뿌리의 생장
④ 뿌리의 종류
⑤ 뿌리의 변화
⑥ 뿌리의 기능
⑦ 뿌리의 이용
본문내용
는 풍선말처럼 분지(分枝)되어 있는 것도 있고, 때로는 갈조식물의 헛뿌리처럼 굵으며, 위조직(僞組織)을 만들어 종자식물의 뿌리처럼 보이기도 한다. 균류에서는 고착(固着)작용을 하는 균사를 헛뿌리라고 한다. 우산이끼에서는 이끼의 본체인 배우체의 복면(腹面)에 생기며 단세포로 표면의 세포로부터 발생한다. 솔이끼에서는 수상(樹狀) 이끼 본체의 기부에서 근상(根狀)으로 생기는데 사상(絲狀)의 다세포이다. 양치식물에서는 전엽체의 기부(基部) 복면에 밀생하고 단세포 또는 2~3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지의류에서는 밑면의 피부로부터 균사성의 헛뿌리를 내며, 특히 헛뿌리균사라 한다. 헛뿌리는 고착작용을 하지만 간혹 흡수작용도 한다.
⑤ 기근
공기뿌리라고도 한다. 뿌리는 땅 속에서 식물체를 떠받치거나 물의 흡수, 양분의 저장 등의 일을 하는 기관인데, 공기 중에 노출되는 뿌리도 있다. 기능은 종류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며 주요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부착근(附着根):담쟁이덩굴 팔손이나무 줄사철나무 등 덩굴성 목본에 많은데, 많은 뿌리가 나와서 수간(樹幹)이나 바위에 단단히 달라붙어 벋어나간다.
(2) 흡수근(吸水根):나무 위에 착생하는 난초과식물에 많다. 바깥쪽에 근피(根被)라고 하는 특별한 조직이 있는데, 이것을 이루는 수 층~수십 층의 세포는 서로 작은 구멍으로 이어져 있어 빗물 등을 급속히 빨아들여 저장한다.
(3) 지주근(支柱根):식물체를 떠받쳐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맹그로브나 옥수수 등에서 볼 수 있다. 지주근은 땅에 이를 때까지는 가볍고 연하나, 일단 끝이 땅 속에 들어가면 급속하게 세포막의 비후(肥厚)와 목질화(木質化)가 일어난다.
(4) 보호근(保護根):밀생한 뿌리가 줄기를 두껍게 감싸서 보호하는 것으로, 목본 양치류에서 잘 발달하였으며 보수(保水) 기능도 있다.
(5) 호흡근(呼吸根):소택지(沼澤地)의 맹그로브 식물에서 볼 수 있는데, 호흡을 위하여 뿌리를 공기 중에 내는 것으로서 그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다.
(6) 근침(根針):야자나무과의 일부에서 볼 수 있는데, 땅 위로 가시 모양의 뿌리가 나와서 동물의 근접을 방해하는 것이 있다.
ex)맹그로브, 옥수수, 소엽풍란, 대엽풍란, 팔레노프시스 등
⑥ 알뿌리
구근(球根)이라고도 한다. 잎 줄기 뿌리 등이 양분을 저장하기 위하여 특별히 비대되어, 마치 뿌리부의 조직처럼 보이는 형태로 발달된 뿌리의 한 기관이다. 알뿌리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비늘줄기[鱗莖]:잎의 기부가 변형 비대하여 층상(層狀)의 비늘조각을 이루어 짧은 땅속줄기에 붙어 있는 것(백합 튤립 수선화 아마릴리스 등). (2)알줄기[球莖]:땅속줄기가 구상으로 비대한 것(글라디올러스 프리지아 등). (3)덩이줄기[塊莖]:땅속줄기가 비대하여 괴상이 된 것(시클라멘 구근베고니아 그록시니아 아네모네 등).
(4) 뿌리줄기[根莖]:땅속을 수평으로 뻗어 있는 땅속줄기가 비대한 것(홍초 진저 아이리스 등).
(5) 덩이뿌리[塊根]:뿌리의 일부가 비대되었다고 생각되는 것(달리아 작약 등). 이 밖에 리본그래스와 같이 염주경(念珠莖)이나 은방울꽃, 복수초의 뿌리처럼 핍(pips)이라고 불리는 것도 있다. 알뿌리에는 모구(母球) 위에 새로운 구가 생기기도 하여 해마다 갱신하는 글라디올러스나 튤립과 같은 알뿌리와, 1개의 알뿌리가 해마다 생육하여 비대해지는 히야신스 아마릴리스와 같은 것도 있다.
(5)뿌리의 변화
①저장근: 양분을 다량으로 저장해서 이상 비대해진 뿌리.-고구마
②호흡근: 지상에 뿌리의 일부를 내고 통기를 관장하는 뿌리.-맹그로브나무
③받침뿌리: 땅 위 줄기에서 나와 넓게 뻗는다 -옥수수
④붙임뿌리: 다른 물체에 붙어 자란다.-담쟁이덩굴
⑤기생뿌리: 다른 식물에 뿌리를 내리고 자란다.-겨우살이
⑥물속뿌리: 물 속에 뿌리를 두고 양분을 흡수한다.-개구리밥
⑦흡수뿌리: 땅 속에 있지 않고 공기 중에 드러나 있다.-풍란
(6) 뿌리의 기능
-뿌리는 식물체를 고착시키고, 토양으로부터 물과 용해된 무기물의 흡수 및 잎의 광합성으로 형성된 당류를 저장하는 영양기관으로서 줄기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뿌리에서 흡수된 물과 무기물은 물관부를 통해 식물체의 각 부분으로 운반되고, 저장된 대부분의 당류는 체관부를 통해 이를 필요로 하는 부위로 이동되지만 일부는 뿌리의 호흡에 이용된다.
-뿌리는 고착, 흡수, 통도, 저장 외에 호흡, 지지 등의 부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부정근(adventitious root), 지주근(prop root) 등으로 변태되어 있다. 부정근은 삽목 및 잎이나 지하경 에서 생긴 뿌리로 유근 이외의 부위에서 형성되며, 지주근은 주로 줄기의 마디에서 형성되고 쌍자엽류 보다 옥수수와 같은 단자엽류에서 볼 수 있고, 식물체의 지지기능을 한다.
-기근(aerial root)은 홍수림(mangrove)와 삼나무류와 같이 산소가 결핍된 늪지에서 뿌리의 일부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호흡을 할 수 있게 한다..
-착생식물은 다른 식물에 붙어 자라는 식물로, 착생성 난추류에는 광합성을 하는 뿌리와 습기를 흡수하는 뿌리로 변태된 것이 있다. 양파와 같이 인경을 갖는 식물들은 수축근(contractile root)을 갖고, 인경을 당겨 땅 속 깊은 곳에 고착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뿌리로 변태된다.
① 지지 작용
식물의 몸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해 주는 일을 한다.
식물의 몸이 크면 뿌리도 크고, 식물의 몸이 작으면 뿌리도 작다.
나무를 심거나 옮겨 심은 후에는 아직 땅 속에 뿌리를 고정시키지 못했으므로 받침대를 세워 주어야 한다.
② 흡수 작용
땅 속의 물과 양분을 흡수한다.
뿌리 끝의 뿌리털을 통해 물과 물에 녹아 있는 양분을 흡수한다.
③ 저장 작용
잎에서 만든 양분을 뿌리에 저장해 두는 일도 한다.
고구마, 무, 당근, 인삼 등은 양분이 저장된 뿌리들이다.
(7)뿌리의 이용
- 뿌리를 이용하는 약재
일반적으로 뿌리약재는 줄기와 잎이 말라가는 가을에서부터 이듬해 봄 싹이 트기 전까지 채취합니다. 봄에 시작하여 여름에 무성히 펼쳐졌던 식물의 기운들이 가을로 접어들면서 뿌리로 내려와 뿌리에 약성이
⑤ 기근
공기뿌리라고도 한다. 뿌리는 땅 속에서 식물체를 떠받치거나 물의 흡수, 양분의 저장 등의 일을 하는 기관인데, 공기 중에 노출되는 뿌리도 있다. 기능은 종류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며 주요한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1) 부착근(附着根):담쟁이덩굴 팔손이나무 줄사철나무 등 덩굴성 목본에 많은데, 많은 뿌리가 나와서 수간(樹幹)이나 바위에 단단히 달라붙어 벋어나간다.
(2) 흡수근(吸水根):나무 위에 착생하는 난초과식물에 많다. 바깥쪽에 근피(根被)라고 하는 특별한 조직이 있는데, 이것을 이루는 수 층~수십 층의 세포는 서로 작은 구멍으로 이어져 있어 빗물 등을 급속히 빨아들여 저장한다.
(3) 지주근(支柱根):식물체를 떠받쳐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맹그로브나 옥수수 등에서 볼 수 있다. 지주근은 땅에 이를 때까지는 가볍고 연하나, 일단 끝이 땅 속에 들어가면 급속하게 세포막의 비후(肥厚)와 목질화(木質化)가 일어난다.
(4) 보호근(保護根):밀생한 뿌리가 줄기를 두껍게 감싸서 보호하는 것으로, 목본 양치류에서 잘 발달하였으며 보수(保水) 기능도 있다.
(5) 호흡근(呼吸根):소택지(沼澤地)의 맹그로브 식물에서 볼 수 있는데, 호흡을 위하여 뿌리를 공기 중에 내는 것으로서 그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다.
(6) 근침(根針):야자나무과의 일부에서 볼 수 있는데, 땅 위로 가시 모양의 뿌리가 나와서 동물의 근접을 방해하는 것이 있다.
ex)맹그로브, 옥수수, 소엽풍란, 대엽풍란, 팔레노프시스 등
⑥ 알뿌리
구근(球根)이라고도 한다. 잎 줄기 뿌리 등이 양분을 저장하기 위하여 특별히 비대되어, 마치 뿌리부의 조직처럼 보이는 형태로 발달된 뿌리의 한 기관이다. 알뿌리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비늘줄기[鱗莖]:잎의 기부가 변형 비대하여 층상(層狀)의 비늘조각을 이루어 짧은 땅속줄기에 붙어 있는 것(백합 튤립 수선화 아마릴리스 등). (2)알줄기[球莖]:땅속줄기가 구상으로 비대한 것(글라디올러스 프리지아 등). (3)덩이줄기[塊莖]:땅속줄기가 비대하여 괴상이 된 것(시클라멘 구근베고니아 그록시니아 아네모네 등).
(4) 뿌리줄기[根莖]:땅속을 수평으로 뻗어 있는 땅속줄기가 비대한 것(홍초 진저 아이리스 등).
(5) 덩이뿌리[塊根]:뿌리의 일부가 비대되었다고 생각되는 것(달리아 작약 등). 이 밖에 리본그래스와 같이 염주경(念珠莖)이나 은방울꽃, 복수초의 뿌리처럼 핍(pips)이라고 불리는 것도 있다. 알뿌리에는 모구(母球) 위에 새로운 구가 생기기도 하여 해마다 갱신하는 글라디올러스나 튤립과 같은 알뿌리와, 1개의 알뿌리가 해마다 생육하여 비대해지는 히야신스 아마릴리스와 같은 것도 있다.
(5)뿌리의 변화
①저장근: 양분을 다량으로 저장해서 이상 비대해진 뿌리.-고구마
②호흡근: 지상에 뿌리의 일부를 내고 통기를 관장하는 뿌리.-맹그로브나무
③받침뿌리: 땅 위 줄기에서 나와 넓게 뻗는다 -옥수수
④붙임뿌리: 다른 물체에 붙어 자란다.-담쟁이덩굴
⑤기생뿌리: 다른 식물에 뿌리를 내리고 자란다.-겨우살이
⑥물속뿌리: 물 속에 뿌리를 두고 양분을 흡수한다.-개구리밥
⑦흡수뿌리: 땅 속에 있지 않고 공기 중에 드러나 있다.-풍란
(6) 뿌리의 기능
-뿌리는 식물체를 고착시키고, 토양으로부터 물과 용해된 무기물의 흡수 및 잎의 광합성으로 형성된 당류를 저장하는 영양기관으로서 줄기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뿌리에서 흡수된 물과 무기물은 물관부를 통해 식물체의 각 부분으로 운반되고, 저장된 대부분의 당류는 체관부를 통해 이를 필요로 하는 부위로 이동되지만 일부는 뿌리의 호흡에 이용된다.
-뿌리는 고착, 흡수, 통도, 저장 외에 호흡, 지지 등의 부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부정근(adventitious root), 지주근(prop root) 등으로 변태되어 있다. 부정근은 삽목 및 잎이나 지하경 에서 생긴 뿌리로 유근 이외의 부위에서 형성되며, 지주근은 주로 줄기의 마디에서 형성되고 쌍자엽류 보다 옥수수와 같은 단자엽류에서 볼 수 있고, 식물체의 지지기능을 한다.
-기근(aerial root)은 홍수림(mangrove)와 삼나무류와 같이 산소가 결핍된 늪지에서 뿌리의 일부가 공기중에 노출되어 호흡을 할 수 있게 한다..
-착생식물은 다른 식물에 붙어 자라는 식물로, 착생성 난추류에는 광합성을 하는 뿌리와 습기를 흡수하는 뿌리로 변태된 것이 있다. 양파와 같이 인경을 갖는 식물들은 수축근(contractile root)을 갖고, 인경을 당겨 땅 속 깊은 곳에 고착시키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뿌리로 변태된다.
① 지지 작용
식물의 몸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해 주는 일을 한다.
식물의 몸이 크면 뿌리도 크고, 식물의 몸이 작으면 뿌리도 작다.
나무를 심거나 옮겨 심은 후에는 아직 땅 속에 뿌리를 고정시키지 못했으므로 받침대를 세워 주어야 한다.
② 흡수 작용
땅 속의 물과 양분을 흡수한다.
뿌리 끝의 뿌리털을 통해 물과 물에 녹아 있는 양분을 흡수한다.
③ 저장 작용
잎에서 만든 양분을 뿌리에 저장해 두는 일도 한다.
고구마, 무, 당근, 인삼 등은 양분이 저장된 뿌리들이다.
(7)뿌리의 이용
- 뿌리를 이용하는 약재
일반적으로 뿌리약재는 줄기와 잎이 말라가는 가을에서부터 이듬해 봄 싹이 트기 전까지 채취합니다. 봄에 시작하여 여름에 무성히 펼쳐졌던 식물의 기운들이 가을로 접어들면서 뿌리로 내려와 뿌리에 약성이
추천자료
붕당정치의 전개와 정국의 변화
식물 생장호르몬의 종류와 특성
식물생장호르몬의 종류와 특성
삼성전자의 기업조직 변화과정 분석
노무현 참여정부의 신경찰정책 변화실태 및 개혁과제
한국 사회의 가족 구조 변화의 대응방안
[식물][생장호르몬][광합성][호흡][증산][물질수송][흡수][식물발달][식물재배]식물의 생장호...
[결혼과가족] 현대사회의 가족기능의 변화와 해결책
[결혼과가족] 현대사회의 가족의 변화와 해결책
한국의 가족구조와 가치관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따른 가족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
식물생장(식물성장)과 환경요인, 길항과 경합, 식물생장(식물성장)과 생장저해, 식물생장(식...
식물성장(식물생장)의 종류, 식물성장(식물생장)의 화학적 요인식물성장(식물생장)의 유성생...
식물생장(식물성장)의 유형, 순서, 식물생장(식물성장)의 중요요소, 식물생장(식물성장)의 환...
식물생장(식물성장)의 종류, 식물생장(식물성장)의 환경, 식물생장(식물성장)의 생물학적 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