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원리
2. 실험 방법
3. Data 결과
4. Data 분석
5. 토 의
2. 실험 방법
3. Data 결과
4. Data 분석
5. 토 의
본문내용
0.00
90.00
89.65
5 (mm)
89.30
90.00
89.40
평균 (mm)
89.55
89.80
89.77
총 평균(mm)
3. 구면계의 세 정점사이의 거리 a의 측정
4. Data 분석
1. 볼록렌즈의 곡률반경 측정
:
2. 오목렌즈의 곡률반경 측정
:
:
5. 토 의
이번 실험에서 높이 h와 각 정점의 거리 a를 구하여 곡률 반경을 구하는 것이
었다. 총 5번의 측정 결과 각각 측정값인 높이 h와 세 정점의 거리a가 미세하게
달랐다. 그 이유를 생각해 보니
1) 실험 횟수가 5번 밖에 되지 않았고,
2) 구면계와 버니어켈리퍼스의 눈금을 볼 때, 눈금을 정면에서 봤는지, 아니면
아래나 위쪽에서 봤는지에 따라 값이 달랐을 것이다.
3) 그리고 측정자가 5명이라서 각각의 개인적 기준으로 실험을 하여 값을 측정
하였기 때문에 실험 횟수마다 약간의 오차가 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측정값의 오차 때문에 측정값의 평균을 가지고 곡률반경을
구하긴 했지만 측정 횟수를 늘리고, 구면계와 버니어 켈리퍼스의 측정방법을
조금 더 정확히 숙지하고 실험을 하여 오차를 최소화 했다면 곡률 반경을
보다 정확하게 구할 수 있었을 것이다.
90.00
89.65
5 (mm)
89.30
90.00
89.40
평균 (mm)
89.55
89.80
89.77
총 평균(mm)
3. 구면계의 세 정점사이의 거리 a의 측정
4. Data 분석
1. 볼록렌즈의 곡률반경 측정
:
2. 오목렌즈의 곡률반경 측정
:
:
5. 토 의
이번 실험에서 높이 h와 각 정점의 거리 a를 구하여 곡률 반경을 구하는 것이
었다. 총 5번의 측정 결과 각각 측정값인 높이 h와 세 정점의 거리a가 미세하게
달랐다. 그 이유를 생각해 보니
1) 실험 횟수가 5번 밖에 되지 않았고,
2) 구면계와 버니어켈리퍼스의 눈금을 볼 때, 눈금을 정면에서 봤는지, 아니면
아래나 위쪽에서 봤는지에 따라 값이 달랐을 것이다.
3) 그리고 측정자가 5명이라서 각각의 개인적 기준으로 실험을 하여 값을 측정
하였기 때문에 실험 횟수마다 약간의 오차가 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유로 측정값의 오차 때문에 측정값의 평균을 가지고 곡률반경을
구하긴 했지만 측정 횟수를 늘리고, 구면계와 버니어 켈리퍼스의 측정방법을
조금 더 정확히 숙지하고 실험을 하여 오차를 최소화 했다면 곡률 반경을
보다 정확하게 구할 수 있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