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세속의 현대미술, 우키요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세속의 현대미술, 우키요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에도시대와 우키요에
1.1. 에도시대에 대하여
1.2. 우키요에란

2. 본론
2.1. 에도시대를 통해 본 우키요에 등장의 배경
2.2. 우키요에의 변천
2.2.1. 서민생활과 우키요에
2.2.1.1. 향락적인 풍속회화 우키요에의 등장
2.2.1.2. 출판문화와 우키요에의 표현 양식
2.2.1.3. 우키요에의 유형 - 인물화, 풍속화, 춘화, 풍경화
2.2.1.4. 우키요에 향유 계층
2.2.2. 우키요에의 특징적 기법과 시대별 화풍
2.2.2.1. 특징적 기법 - 미타테(패러디), 상징화, 기호화, 과장화
2.2.2.2. 시대별 화풍
2.3. 우키요에의 영향
2.3.1. 서양 인상주의와 근대성
2.3.2. 색채
2.3.3. 자포니즘

3. 결론 - 정리 및 현대에 있어서 우키요에

본문내용

의 호걸영웅을 그린 무샤에武士繪 등으로 세분화 되어갔는데, 조닌들에게는 마치 인기인의 브로마이드와 같은 용도로 소장되었고, 또 유흥업소에서는 홍보를 위한 광고 선전물로서 이용되었다. 이러한 인물화는 시대마다 특유의 화풍이 있어서 실재의 모습을 그린다기 보다는 이상적인 모습을 그린 것이었다. 그러다 차츰 인물의 면모를 사실적으로 파악하여 나타내게 되었다. 또 한 시대를 풍미하는 화가가 나오면 그의 화풍을 하나의 형形으로 하여 모방한 그림들이 이어지고 이것은 새로운 화풍의 인물화가 등장하기 전까지 그려지는 것이 특징인데, 대량생산되는 기성품이라는 특징 때문에 대중적인 호평을 얻은 구도나 문양을 답습하게 되었던 것 같다.
 풍속화에서는 유흥가와 무사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으로 인해 유녀들의 거처인 요시와라나 가부키 극장거리인 시바이초의 풍속을 그린 유락풍속화遊樂風俗畵가 많았고 조닌이나 무사의 일상생활의 풍속을 그린 작품도 있었다. 특히 당시의 유곽은 단지 매춘의 장소로서만이 아니라 교양 있는 유녀들의 거처로서 첨단의 유행을 선도하였고, 또한 에도 막부의 지배력 강화를 위한 도시계획으로 도시의 외곽에 위치하고 있어서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조닌의 호기심을 자극하였기 때문에 대중의 관심에 민감한 우키요에 화가들의 그림이 이것을 해소해 주었을 것이다.
지금도 일부에서는 우키요에라고 하면 춘화도라는 인식이 있을 만큼 모로노부 이후 대부분의 우키요에 화가들이 춘화도인 마쿠라에枕繪를 그렸다. 노골적이고 과장된 성묘사로 유명한 마쿠라에는 무사의 액땜용 부적 무사들이 무기를 두는 곳에 놓아두면 무기를 꺼내던 무사가 그것을 보고 웃게 되어 불필요한 싸움을 피하게 된다고 하여 와라이에(わらいえ:재미있는 그림)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이나 시집가는 여성의 성교육용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풍기를 단속한다는 막부의 제재로 교호 개혁이후에는 음지에서만 거래되어 대범한 기운을 잃기도 하였으나 기타가와 우마타로喜多川歌磨의 『우타마쿠라歌枕』 등의 명작이 꾸준히 제작되었다. 
풍경화가 발달한 것에는 서민들 사이에 유행하던 여행 붐이 있었다. 산킨코타이제도로 인한 도로망의 확충과 역참 정비로 각지를 상당히 편리하고 안전하게 여행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장기간의 평화와 안정,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서민문화의 발흥이라는 시대적 분위기 하에서 에도 중기(겐로쿠元祿, 분카文化, 분세이文政 연간)에는 여행의 대중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이세마이리伊勢參宮 등 신사참배와 명소순례는 공식적인 여행의 명분이 되어 주었기 때문에 가츠시카 호쿠사이葛飾北齋의 후가쿠 후지산
36경富嶽三十六景,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廣重의 도카이도53역참東海道五十三次 등 지방의 명소와 역참의 풍경을 그린 작품들이 많이 등장하였다.
4) 우키요에 향유 계층
우키요에의 탄생, 전개, 쇠망의 역사를 살펴보면 에도의 조닌들의 흥망과 운명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서민들의 마음을 민감하게 파악하여 목판화로 대량 제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한 가격이 저렴했기 때문인데 1805년 무렵 우키요에 판화의 가격은 작은 판의 배우그림은 1장에 8문, 대판의 니시키에는 20문이었다. 당시 가케소바 한 그릇이 16문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서민들에게 결코 비싼 가격은 아니었다.
그러나 새기고 인쇄하는데 손이 많이 가는 고급 니시키에는 메이와明和 연간 메이와 연간 : 1764~1771
의 스즈키 하루노부의 중판(약 21*21cm) 한 장에 160문, 1860년 판매된 우타가와 토요쿠니歌川豊國의 대판 배우그림 시리즈는 한 장에 100문 전후로 비싼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사치를 금지하기 위해 막부는 색상 한정과 가격 규제를 가하기도 하였으나 잘 지켜지지는 않았다.
또한 판본과 니시키에 구매층보다 더욱 상층의 고객들로서 육필화를 사는 계층이 있었다. 육필화에서도 일반적인 불특정다수의 고객을 위해서 미리 그려놓는 기성화와 부유한 계층의 주문을 받아 제작하는 주문화로 나눌 수 있다. 우키요에 애호가라 하더라도 계층별 지역별로 다양한 분화가 일어나 우키요에 화가들은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구분하여 제공하였던 것이다.
서민문화의 정수로서 우키요에가 반무가 문화의 자세와 범속한 주제를 지향하기는 했지만 우키요에 제작자나 지지자들이 조닌층에만 한정되었던 것은 아니었고, 하타모토旗本 쇼군직속으로 일만석이하의 녹봉을 받던 무사
이면서도 우키요에 화가가 된 초분사이 에이시鳥文齋英之처럼 무사들이 참가한 사례도 적지 않았다.
한편, 그림의 표현수준에 있어서 니시키에의 창시자 스즈키 하루노부는 그림책과 니시키에 고객을 구분하기도 하였다. 미타테에見立 고사나 고전문학에서 유래하는 주제를 일상적인 현실 생활의 수준으로 끌어내려 번안해 그린 우키요에 판화 특유의 용어. 주로 고전적인 주제에서 소재나 발상을 택하지만 그것을 회화화하면서 그 무렵의 인물과 배경, 소도구를 통해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을 가리킨다.
를 그릴 때에 그림책에서는 가나かな 묘사를 덧붙여 세련된 분위기를 저하하고, 니시키에에서는 암시적인 단계에서 멈춤으로써 교양 높은 계층에게 수수께끼를 푸는 즐거움의 여지를 남겼던 것이다.
2. 우키요에의 특징적 기법과 시대별 화풍
1) 특징적 기법 -미타테(패러디), 상징화, 기호화, 과장화
2) 시대별 화풍
-호방한 겐로쿠문화의 영향
모로노부 이후 겐로쿠 시대의 호방한 기운을 이어받은 가이게츠도 안도懷月堂安度와 도리이 기요노부鳥居淸信는 인물 중심의 그림으로 우키요에의 주요 레퍼토리를 구성했다. 안도는 체구가 큰 풍만한 자태의 유곽 기녀들이 <자 형태로 몸을 한껏 뒤로 젖히고 있는 육필화를 그리면서 미인도를 정착시켰다. 그리고 대량 복제수단인 목판화에 대항해 육필화 감상의 즐거움을 널리 보급하고자 공방을 통해 전형적인 미인도를 양산해내었다.
기요노부는 표주박 다리 지렁이 소묘법이라는 기법을 통해 가부키 배우의 생생한 풍모를 목판화에 묘사하면서 야쿠샤에를 정착시켰다.
-교호개혁
그러나 교호 연간에는 교호 개혁으로 마쿠라에의 출판이 금지되고, 우아하고 섬세한 서정적인 느낌을 요구하는 시대적 분위기에 따라 목판화에서는 오쿠무라 마사노부, 육필화에서는 미야가와 조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0.19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5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