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역사 6장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여호와 신앙은 더 이상 유지되지 않았다. 지방의 성소들은 이교적이었고 풍산 제의와 타락한 의식들이 도처에서 행해졌다(호 1-3장, 4:11-14). 사마리아의 수기용 토기편들에 적혀 있는 이름을 보면 여호와란 말이 들어가는 이름과 바알이란 말이 들어가는 이름의 수가 거의 같아졌다.
c.선지자들의 항의: 아모스와 호세아
아모스와 호세아는 같은 성향의 인물이 아니었고 그들의 설교도 다르지만 둘 다 당시의 악폐들을 공격하는데, 그 후 이것은 고전적인 모범이 되었다.
아모스는 대략 주전 8세기 중반에 말씀을 전하기 시작한다. 그는 유다 광야의 변두리에 드고아 출신이었고 양을 치던 목자였다!
호세아는 아모스보다는 약간 늦었지만 여로보암의 치세때에 말씀을 전하기 시작했다. 북 이스라엘의 주민이었던 호세아는 자신의 비극적인 가정 파탄의 경험을 통해 부르심을 받았다(1-3장). 그는 언약의 유대를 결혼 생활로 묘사하면서 이스라엘의 남편인 여호와는 한 남편이 자기 아내에게 기대하는 그런 성실성을 이스라엘에게 바라고 있는데 이스라엘은 다른 신들을 숭배함으로 간음을 저질렀고 따라서 이혼, 즉 국가적 파멸을 당할 것이라고 말한다(2:2-13).
d.이스라엘 종교사에서 선지자들의 위치
정통적인 선지자들은 직업적 선지자들이 돈에 매수 되는 것을 혐오하여 그들의 낙관주의적인 신탁은 여호와의 말씀을 대변한 것이 아니라고 믿고 선지자 집단과 단호히 관계를 끊고 그들을 거부하고 신랄히 규탄하였다(암 7:14; 미 3:5,11; 렘 23:9-32). 어떤 선지자들은 제자들의 무리를 끌어 모았지만 그들은 무리를 지어 예언 한 것이 아니라 혼자서 예언했다. 그들은 성소에서 자신의 메시지를 전했고, 자주 제의 용어들을 사용했고, 그들 가운데 몇몇은 성직자 출신이었지만 그들은 제의 종사자가 아니었다.
그들은 동일한 호칭인 나비(nabi)로 불렸고 여호와를 선포하는 동일한 임무를 수행했으며 그들의 신탁을 동일한 호칭법으로 말하였다. 선지자들은 여호와의 천상궁정의 사자로서, 이 세상에서 여호와의 절대적 통치권의 대리자로 지명 받아 설교 했고 이스라엘이 실제적인 통치는 여호와라는 것을 왕들과 각국 관리들에게 상기시키고 이미 선포된 여호와의 뜻에 비추어 국가를 비판하고 바로 잡는 것이 그들의 임무였다.
그들의 설교 전체는 여호와의 언약과 그 요구들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 나온 것이었다. 그러나 그들에게는 이스라엘이 그 언약의 조건들을 터무니없이 어겼기 때문에 그들이 천상궁정에서 들을 수 있는 메시지는 바로 심판의 메시지였다. 고발자인 동시에 재판관인 여호와는 자신에게 반역하는 봉신들을 재판에 붙이고 그들에게 선고를 내릴 것이다. 그 분은 진노하여 백성을 외면하고 그들에게 언약에 규정된 저주를 내려 멸망시킬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이지만 선지자들이 하나님의 선고를 알리면서 이스라엘 신앙에 내재해 있던 약속이라는 요소, 그들이 포기 할 수도 없었고 통속적인 형태로 받아들일 수도 없었던 약속이라는 요소는 기존의 국가로부터 끊어지기 시작해서 미래로 옮겨져 새로운 차원을 갖게 되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0.2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2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