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조사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국 조사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태국의 역사
2. 태국의 정치
1>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2> 국가원수 : 국왕
3> 정 부
4> 국 회 - 상원
5> 국회 - 하원
6> 태국 군부 쿠데타
3. 태국의 경제
4. 태국의 외교·무역
5. 태국의 사회·문화
1> 민족성 및 사회관습
2> 종 교
3> 문화·예술
4> 태국의 음식
5> 태국의 축제

Ⅲ. 결론
*자료출처

본문내용

방법(wai)는 태국에서 거의 국교화 된 불교 의식에서 도입된 것
o 결혼을 위하여 신랑 측은 신부 측 부모에게 `Sin Sod\'라고 하는 일정 금액 지불습관이
아직도 전래
o 불교의 영향으로 20세기 초반까지 성씨제도가 없었음(1913년 처음 도입)
- 현재도 사람을 부를 때 성보다는 이름을 부름
2> 종 교
① 종교정책
o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나 실제적으로는 불교이외 종교의 교세 확장을 바람직하지 않게 보는 정책을 펴고 있음.(기독교 선교사 수의 제한등)
② 태국 불교의 특징
o 태국불교는 소승불교로서 규율이 매우 엄격(대처승이 없고, 정오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금식)
o 남자는 일생에 한번 승적을 보유(원칙적으로는 최소 3개월)하는 것이 사회적 관행
o 태국은 3만 여곳의 사원과 18만명 이상의 승려가 있으며 사원·가정·사무실·상점까지도 불상을 모셔놓을 정도
o 불상은 신성한 존재이며 불상 모독은 금물. 일반 승려들도 경의와 숭앙을 받는 곳이 바 로 태국임.
3> 문화·예술
① 문화예술 행정관청
o 국가문화위원회(Office of the National Culture Commission, 교육부산하)
- 문화발전정책의 개념화, 국가문화정책의 집행, 민족문화특성의 진작
o 교육부 예술국(Fine Arts Department)
- 문화유산의 복원·보존 및 보급
② 문화정책 기조
o 문화유산 보존, 예술창작 진흥, 민족문화에 대한 자긍심 고취
③ 방콕소재 주요 문화관계 국제기구
o UNESCO 아·태지역 본부
o SEAMEO(동남아 교육장관기구)
o SPAFA(동남아 고고미술센터)
④ 태국 문화의 특징
o 태국문화의 기조는 인도·버마·크메르문화가 융합된 것이며 불교문화는 스리랑카로부터 도입됨.
o 태국 종족은 11세기경 중국 서남단에서 현재의 태국땅으로 이민 왔다는 것이 일반정설 이나, 말레이 반도에서 북상을 했다는 설 과 선사시대 이후 주변종족들이 계속 이주해 들어와 구성되었다 는 설들이 대립하고 있어, 장래의 연구 과제가 되어 있음.
o 태국의 각종 건축·사원·미술·무용등은 불교문화에서 비롯된 것임.
o 불력 사용(서기 + 543) : AD 1995 = B.E 2538
4> 태국의 음식
① 식사
- Yam Munsen [전통 태국 샐러드] : 태국의 잡채. 우리나라와는 맛이 다르지만, 돼지
고기, 오징어, 새우, 햄 등 자신이 좋아하는 기호음식을 첨가해서 양념에 버무림. 약간
맵고 신맛이 특징임.
- Pad See Eew [팟씨유] : 브로콜리, 청경채, 계란을 넣어 간장 소스로 볶은 쌀국수. 타 마린드(마캄)가 안 들어가기 때문에 새콤한 맛은 없음.
- Khao Pad [카우팟 : 소고기 또는 닭고기를 선택하여 각종 야채와 함께 만든 볶음밥]
- 카우 팟 무 : 돼지고기 볶음밥은 태국에 오는 한국인들이 즐겨 찾는 음식. 일단 이름이 외우기 쉽고 입맛에 맡기 때문에 배낭여행자들이 많이 찾는 음식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음. 카우 팟은 볶음밥이라는 뜻이고 무는 돼지라는 뜻임.
- 카우 팟 꿍 - 새우 볶음밥
- 카우 팟 뿌 - 게살 볶음밥
- 카우 팟 느아 - 소고기 볶음밥
- 카우 팟 까이 - 닭고기 볶음밥
② 과일
- 태국은 과일의 천국이다. 망고, 망고스틴, 두리안, 파인애플, 수박, 파파야, 람부탄, 롱 안, 리치, 타마린드, 석류열매, 야자수열매, 오렌지, 포맬르, 잭프푸츠 외에도 20여 종류 의 바나나 등 수많은 과일을 연중 즐길 수 있다.
- 1월부터 ~4월까지는 포도, 잭프루츠, 자바사과, 귤, 수박, 석류열매 등이 제철이며 그 다음에는 망고, 리치, 파인애플, 두리안, 망고스틴 등이 나온다.
- 7월에는 롱안, 랑삿, 대추, 패션프루트(시계꽃열매), 포맬로, 사탕사과 외에 귤, 포도, 수 박 등이 다시 나온다. 바나나, 코코넛, 구아바(반석류의 열매), 파파야 등은 연중 계속 해서 맛볼 수 있다. 이중 어떤 과일들은 추수할 때 이를 기념하여 축제를 열기도 한다.
- 4월초에 차초엥사오(Chachoensao)에서는 파엣리우 망고 축제(PaetRiu Mango Festiva
l)가 개최된다. 망고는 태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전형적인 태국과일이다.
5> 태국의 축제
① 송크란 : ‘송크란(Songkran)’이란 산스크리트어로 `새해’란 뜻으로 팔리어의 ‘산카라’ 와 산스크리트어 ‘산크라티’ 에서 왔다. 이것은 태양의 위치가 백양자리에서 황소자리로 이동하는 때로, 불교식 음력으로 한 해가 시작되는 때이다. 타이족은 처음에는 중국 남 부 운남성에 있었는데, 그때는 이 시기에 한 해 농사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그들이 지 금의 동남아시아 중심부로 내려오면서 이 축제도 불교식 음력 5월, 곧 양력 4월로 옮기 게 된 것이다.
송크란은 매년 4월 13일에서 시작해서 3일간 계속된다. 축제는 태국전역에서 열리는 데 기본적으로 새해를 축하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축제일에는 모든 사람들이 길로 나와 서로의 축복을 빌어주는 물을 뿌리는데 이는 이 시기에는 가뭄이 심하기 때문에 지난해 의 악운을 물리치고 새해부터는 좋은 일만 생기고 건강을 기원하는 그들의 축복의 담겨 있다고 한다.
축제일 오후에는 부처상을 깨끗이 닦는 의식이 행해지며, 집안 어른이나 부모님께 존 경을 표하는 물을 붓는다. 또한 윤회사상을 믿는 이들의 믿음에서 연유하는 살아있는 새 나 물고기를 방생하는 의식은 축제의 절정을 이룬다.
송크란(Songkran)은 태국 뿐만 아니라 인도 문화권인 미얀마, 라오스에서도 성행되고 있으며 태국에서도 방콕 뿐 아니라 치앙마이 등의 다른 지역에서도 종교적인 행사와 함 께 만인이 즐길 수 있는 형태로 벌어진다.
② 푸켓 채식주의자 축제(Phuket Vegetarian Festival) : 1825년 시작된 푸켓 채식주의자 축제는 중국에서 이주해 온 중국계 태국인들의 축제로 매년 푸켓에서 개최되어온 주요 행사의 하나이다. 중국계 태국인들은 열흘동안 채식을 하며 사원 등에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 또한 신의 권능을 부여받은 많은 사람들이 불 위를 걸어가고 몸을 자해하는 등 갖가지 진기한 모습을 보여준다.
태국의 대표적 음식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10.25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6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