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수처리수 재이용 가능 요소
2. 대구권역내 하수처리수 재이용 사례
2. 대구권역내 하수처리수 재이용 사례
본문내용
28억 원을 들여 3.9㎞의 관로매설 공사를 내년
말까지 완공해 방류수를 하천 유지수로 활용, 오염된 이계천의 생태계를 복원할 계획도 수립돼 있다. 내년에 가동할 구미 제2하수처리장의 방류수도 구미시 도심지를 흐르는 구미천과 금오천의 유지수로 활용된다. 제2하수처리장∼구미천 봉곡교 사이 4.1㎞에 41억 원을 들여 2008년 말까지 관로를 매설, 하루 3만t의 방류수를 송수해 생태하천으로 조성된 구미천의 유지수로 활용할 계획이다. 제2하수처리
< 동락공원 전경 >
장∼금오산 저수지 사이 금오천 2.5㎞에도 20억 원을 들여 내년 말까지 송수관로를 묻어 하루 2만 톤의 방류수를 보내 하천 유지수로 이용할 계획도 수립돼 있다. 이 공사가 완공되면 구미시에는 위락시설과 휴양시설을 갖춘 생태공원이 조성될 것이다.
말까지 완공해 방류수를 하천 유지수로 활용, 오염된 이계천의 생태계를 복원할 계획도 수립돼 있다. 내년에 가동할 구미 제2하수처리장의 방류수도 구미시 도심지를 흐르는 구미천과 금오천의 유지수로 활용된다. 제2하수처리장∼구미천 봉곡교 사이 4.1㎞에 41억 원을 들여 2008년 말까지 관로를 매설, 하루 3만t의 방류수를 송수해 생태하천으로 조성된 구미천의 유지수로 활용할 계획이다. 제2하수처리
< 동락공원 전경 >
장∼금오산 저수지 사이 금오천 2.5㎞에도 20억 원을 들여 내년 말까지 송수관로를 묻어 하루 2만 톤의 방류수를 보내 하천 유지수로 이용할 계획도 수립돼 있다. 이 공사가 완공되면 구미시에는 위락시설과 휴양시설을 갖춘 생태공원이 조성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