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간관
2. 주요개념
2.1 성격구조
2.2 심리 성적 발달 과정
2.3 방어 기제
3. 치료효과와 상담목표
3.1 치료 관점과 치료효과
3.2 상담 목표
4. 상담과정
4.1.분석초기
4.2.분석중기
4.3.분석 종결기
5. 상담기법
5.1 자유연상법
5.2 카우치(couch)의 사용
6. 정신분석학의 공헌과 비판 그리고 그에 대한 반론
6.1.정신분석 이론의 공헌
6.2.정신분석에 대한 비판들
6.3.비판에 대한 반론
Ⅱ. 본론
1. 인간관
2. 주요개념
2.1 성격구조
2.2 심리 성적 발달 과정
2.3 방어 기제
3. 치료효과와 상담목표
3.1 치료 관점과 치료효과
3.2 상담 목표
4. 상담과정
4.1.분석초기
4.2.분석중기
4.3.분석 종결기
5. 상담기법
5.1 자유연상법
5.2 카우치(couch)의 사용
6. 정신분석학의 공헌과 비판 그리고 그에 대한 반론
6.1.정신분석 이론의 공헌
6.2.정신분석에 대한 비판들
6.3.비판에 대한 반론
본문내용
의 실수를 번복해서는 안 된다.
-전이를 통해서 환자에게 인생사의 중요한 부분을 입체적이고 시각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이다. 전이행동은 비의식을 말로 보고하는 대신 행동으로 보여 준다.
(3)프로이트가 말하는 전이의 위험성
-환자가 전이를 과거의 반복으로 믿으려 하지 않고 실제 경험이라고 믿는 것이다. 판단력이 없는 어린아이처럼 맹목적으로 믿어 버린다. 여기서 발생하는 사랑이나 증오의 감정이 좌절당하면 치료를 포기해버릴 수 있다. 때문에 분석가는 환자가 이런 상태에 빠지기 전에 그런 낌새가 보이는 환상에서 벗어나게 해 주어야한다. 실제라고 믿고 있는 전이감정이 과거의 반복이라는 것을 계속 되풀이해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전이 현상의 실제적인 본성을 환자에게 이해시키는 데 성공하면 전이저항이라는 위험이 이득으로 돌아선다. 환자는 전이형태로 경험한 것을 절대로 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전이경험은 다른 어떤 경험보다도 강력한 설득력을 갖는다.
4.2.2.3.전이반응을 증가시키는 요인들
-분석가가 자기 신상에 대한 비밀을 지킬 때 전이반응이 증가한다.
-분석가에 대해서 모르면 모를수록 환자는 분석가에게 자기의 이미지를 쉽게 투사할 수 있다.
-분석가가 환자의 말이나 행동에 일정한 중립성을 지킬 때 전이반응이 증가한다.
-치표빈도를 자주 규칙적으로 갖고 치료기간이 장기간일 때도 전이반응이 증가한다.
-분석가가 전이 현상에 관심을 보일 때도 전이반응이 증가한다.
-환자의 전이반응을 분석가가 불안감 없이 편하게 받아들이고 불안을 갖지 않을 때 전이반응은 증가한다.
4.2.3.역전이
-분석가가 환자를 마치 자신의 내적 대상으로 착가하는 것. 이것은 고전적 의미의 역전이이다. 또 다른 종류의 역전이는 환자가 마음의 대상을 분석가에게 주어 분석가로 하여금 그 역할을 하게 하는 역전이가 있다(역할 반응). 여기에는 투사적 동일화의 방어기제가 작용한다.
4.2.3.1.분석가의 갈등이 만드는 역전이
(1) 정신분석 중에 흔히 부딪치는 문제가 역전이이다. 역전이 때문에 정신분석가가 실수하기도 하고, 분석이 실패로 끝나기도 한다. 그러나 반대로 역전이를 이용해 환자의 마음을 이해하기도 한다. 역전이란 분석가 자신의 비의식적 갈등이 환자를 통해 노출된 것이다.
(2) 환자에 대한 분석가의 반응은 의식 역역반응과 비의식 영역반응이 있다. 역전이가 비의식의 영역이라면 의식 영역의 반응은 역반응이다. 즉, 분석가는 때로 어떤 환자를 만날 때 불안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여러 가지 감저에 휩싸일 수도 있다. 그러나 환자에 대한 감정들이 모두 역전이는 아니다. 분석가의 감정이 환자의 행동과 현실적인 관계가 있고 적절하며 치료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을 때는 역반응이라 부른다.
(3) 역반응을, ‘환자가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런 반응을 불러일으키겠구나.’라고 이해하고 비언어적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분석가는 그의 의식적인 감정의 반응을 관찰해 하나의 지침으로 삼아 환자의 행동 이면에 잠재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4) 역전이는 비의식 영역에 있으므로 일단 역전이에 빠진 다음에야 뒤늦게 깨닫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역전이의 징조들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분석가가 환자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고 싶은 강한 욕구를 느낀다. 환자가 자신에게 의지해 주기를 바라는 강한 욕구를 느낀다. 분석가가 환자의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이기를 바라는 전능의 욕구를 느낀다. 환자를 지배하고 조종하고 싶은 욕구를 느낀다. 특정 성의 환자를 치료할 때만 마음 편하게 치료할 수 있다. 특정 종류의 갈등이나 특정 장애를 가진 환자를 치료 할 수 없을 때.......
(5) 분석가가 환자를 괴롭힐 수도 있다. 분석가의 비의식적 공격충동을 만족시키거나, 반대로 자학욕구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성적 갈등이 많은 분석가는 성문제를 갖고 오는 환자를 볼 때 혐오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분석가가 보고 싶어하지 않는 괴로운 문제를 환자가 갖고 왔을 때는 미처 이 문제를 보지 못하고 놓치기도 한다.
(6) 효과적 정신분석을 위해서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것은 역전이의 발견과 해결이다. 역전이의 극복을 위해서는 개인분석을 받을 필요가 있다. 개인지도도 받아야하면, 비공식적 동료들의 모임에서 치료 경험을 나누는 대화도 필요하다.
4.2.3.2.환자가 만드는 역전이, 역할반응
(1) 프로이트는 역전이를 치료에 방해되는 것으로만 보았지만 후대 학자들은 역전이를 이용해 치료의 효율성을 높였다. 환자가 분석가에게 역전이를 일으키게 하고, 분석가는 자신의 공상과 행동 속에서 이 역전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역전이를 통해서 환자의 비의식적 갈등을 차자낼 수도 있다. 역전이가 하나의 역할반응인 것이다. 즉, 환자가 자신에게 주고자 했던 역할을 통해서 환자의 비의식적 갈등을 알아내는 것이다.
(2) 역전이는 분석가의 갈등에서 나오기도 하고 환자가 준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오기도 한다. 이 역할을 분석하면 환자의 내적 갈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4.2.4.통찰(insight)
(1) 정신분석의 궁극적 목적은 성숙하고 만족스러운 심리적 적응을 위해 환자의 능력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환자는 먼저 그 자신의 비의식에 숨어 있는 갈등에 대한 통찰을 얻고 안정되고 성숙한 적응을 위해 이 통찰을 이용할 수 있어야한다.
(2) 통찰이란, 이전에는 전의식이나 비의식에 있어서 보지 못했던 개인의 정신적, 감정적 갈등을 자각해 알게 된 것을 말한다. 통찰은 지적인 이해로부터 충분한 자각에 이르기까지 그 깊이가 다양하다. 지적통찰과 정서적 통찰이 있다.
(3) 지적통찰은 단지 희미하게 알고 있었던 생각을 지식수준에서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하게 된 것을 말한다. 지적 통찰이 의미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만으로 비의식의 갈등이 풀리기는 어렵다. 머리로 아는 지식만으로 인격이 변하기는 힘들다. 경험적 지식, 마음의 깨달음이 사람을 변화시킨다.
(4) 정서적 통찰은 환자가 개인적인 체험을 통해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게 된 것을 말한다. 정서적 통찰이 생기면 그것을 확실히 믿을 수 있고 감정반응이 따라온다. 언어에 감정이 따라
-전이를 통해서 환자에게 인생사의 중요한 부분을 입체적이고 시각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이다. 전이행동은 비의식을 말로 보고하는 대신 행동으로 보여 준다.
(3)프로이트가 말하는 전이의 위험성
-환자가 전이를 과거의 반복으로 믿으려 하지 않고 실제 경험이라고 믿는 것이다. 판단력이 없는 어린아이처럼 맹목적으로 믿어 버린다. 여기서 발생하는 사랑이나 증오의 감정이 좌절당하면 치료를 포기해버릴 수 있다. 때문에 분석가는 환자가 이런 상태에 빠지기 전에 그런 낌새가 보이는 환상에서 벗어나게 해 주어야한다. 실제라고 믿고 있는 전이감정이 과거의 반복이라는 것을 계속 되풀이해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전이 현상의 실제적인 본성을 환자에게 이해시키는 데 성공하면 전이저항이라는 위험이 이득으로 돌아선다. 환자는 전이형태로 경험한 것을 절대로 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전이경험은 다른 어떤 경험보다도 강력한 설득력을 갖는다.
4.2.2.3.전이반응을 증가시키는 요인들
-분석가가 자기 신상에 대한 비밀을 지킬 때 전이반응이 증가한다.
-분석가에 대해서 모르면 모를수록 환자는 분석가에게 자기의 이미지를 쉽게 투사할 수 있다.
-분석가가 환자의 말이나 행동에 일정한 중립성을 지킬 때 전이반응이 증가한다.
-치표빈도를 자주 규칙적으로 갖고 치료기간이 장기간일 때도 전이반응이 증가한다.
-분석가가 전이 현상에 관심을 보일 때도 전이반응이 증가한다.
-환자의 전이반응을 분석가가 불안감 없이 편하게 받아들이고 불안을 갖지 않을 때 전이반응은 증가한다.
4.2.3.역전이
-분석가가 환자를 마치 자신의 내적 대상으로 착가하는 것. 이것은 고전적 의미의 역전이이다. 또 다른 종류의 역전이는 환자가 마음의 대상을 분석가에게 주어 분석가로 하여금 그 역할을 하게 하는 역전이가 있다(역할 반응). 여기에는 투사적 동일화의 방어기제가 작용한다.
4.2.3.1.분석가의 갈등이 만드는 역전이
(1) 정신분석 중에 흔히 부딪치는 문제가 역전이이다. 역전이 때문에 정신분석가가 실수하기도 하고, 분석이 실패로 끝나기도 한다. 그러나 반대로 역전이를 이용해 환자의 마음을 이해하기도 한다. 역전이란 분석가 자신의 비의식적 갈등이 환자를 통해 노출된 것이다.
(2) 환자에 대한 분석가의 반응은 의식 역역반응과 비의식 영역반응이 있다. 역전이가 비의식의 영역이라면 의식 영역의 반응은 역반응이다. 즉, 분석가는 때로 어떤 환자를 만날 때 불안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여러 가지 감저에 휩싸일 수도 있다. 그러나 환자에 대한 감정들이 모두 역전이는 아니다. 분석가의 감정이 환자의 행동과 현실적인 관계가 있고 적절하며 치료관계에 영향을 주지 않을 때는 역반응이라 부른다.
(3) 역반응을, ‘환자가 다른 사람들에게도 이런 반응을 불러일으키겠구나.’라고 이해하고 비언어적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분석가는 그의 의식적인 감정의 반응을 관찰해 하나의 지침으로 삼아 환자의 행동 이면에 잠재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4) 역전이는 비의식 영역에 있으므로 일단 역전이에 빠진 다음에야 뒤늦게 깨닫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역전이의 징조들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분석가가 환자에게 필요한 사람이 되고 싶은 강한 욕구를 느낀다. 환자가 자신에게 의지해 주기를 바라는 강한 욕구를 느낀다. 분석가가 환자의 모든 문제를 다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있는 사람이기를 바라는 전능의 욕구를 느낀다. 환자를 지배하고 조종하고 싶은 욕구를 느낀다. 특정 성의 환자를 치료할 때만 마음 편하게 치료할 수 있다. 특정 종류의 갈등이나 특정 장애를 가진 환자를 치료 할 수 없을 때.......
(5) 분석가가 환자를 괴롭힐 수도 있다. 분석가의 비의식적 공격충동을 만족시키거나, 반대로 자학욕구를 만족시킬 수도 있다. 성적 갈등이 많은 분석가는 성문제를 갖고 오는 환자를 볼 때 혐오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분석가가 보고 싶어하지 않는 괴로운 문제를 환자가 갖고 왔을 때는 미처 이 문제를 보지 못하고 놓치기도 한다.
(6) 효과적 정신분석을 위해서 가장 중요하고도 어려운 것은 역전이의 발견과 해결이다. 역전이의 극복을 위해서는 개인분석을 받을 필요가 있다. 개인지도도 받아야하면, 비공식적 동료들의 모임에서 치료 경험을 나누는 대화도 필요하다.
4.2.3.2.환자가 만드는 역전이, 역할반응
(1) 프로이트는 역전이를 치료에 방해되는 것으로만 보았지만 후대 학자들은 역전이를 이용해 치료의 효율성을 높였다. 환자가 분석가에게 역전이를 일으키게 하고, 분석가는 자신의 공상과 행동 속에서 이 역전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역전이를 통해서 환자의 비의식적 갈등을 차자낼 수도 있다. 역전이가 하나의 역할반응인 것이다. 즉, 환자가 자신에게 주고자 했던 역할을 통해서 환자의 비의식적 갈등을 알아내는 것이다.
(2) 역전이는 분석가의 갈등에서 나오기도 하고 환자가 준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오기도 한다. 이 역할을 분석하면 환자의 내적 갈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4.2.4.통찰(insight)
(1) 정신분석의 궁극적 목적은 성숙하고 만족스러운 심리적 적응을 위해 환자의 능력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환자는 먼저 그 자신의 비의식에 숨어 있는 갈등에 대한 통찰을 얻고 안정되고 성숙한 적응을 위해 이 통찰을 이용할 수 있어야한다.
(2) 통찰이란, 이전에는 전의식이나 비의식에 있어서 보지 못했던 개인의 정신적, 감정적 갈등을 자각해 알게 된 것을 말한다. 통찰은 지적인 이해로부터 충분한 자각에 이르기까지 그 깊이가 다양하다. 지적통찰과 정서적 통찰이 있다.
(3) 지적통찰은 단지 희미하게 알고 있었던 생각을 지식수준에서 좀 더 분명하게 이해하게 된 것을 말한다. 지적 통찰이 의미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만으로 비의식의 갈등이 풀리기는 어렵다. 머리로 아는 지식만으로 인격이 변하기는 힘들다. 경험적 지식, 마음의 깨달음이 사람을 변화시킨다.
(4) 정서적 통찰은 환자가 개인적인 체험을 통해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이해하게 된 것을 말한다. 정서적 통찰이 생기면 그것을 확실히 믿을 수 있고 감정반응이 따라온다. 언어에 감정이 따라
추천자료
정신분석치료 - 이론의 주요개념, 발달이론, 치료목표와 상담관계
[프로이드][프로이트][프로이드이론][프로이트이론][자아][본능][초자아][성격발달이론][정신...
2010년 2학기 인간과심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2010년 2학기 정신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방어기제)
2011년 2학기 인간과심리 중간시험과제물 A형(프로이트의정신분석이론)
2011년 2학기 정신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프로이드의정신분석이론과방어기제)
2012년 2학기 정신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프로이드의정신분석이론과방어기제)
2013년 2학기 정신건강 중간시험과제물 공통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
[상담이론] 분석 심리학 -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