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심의 상실과 상동적반복적인 운동을 하는 이상한 버릇, 사회적인 교류 및 의사소통에서 자폐증과 비슷한 장애를 동반한다는 점이다.
5) 정신지체 및 상동적 운동과 관련된 과다활동장애
이 질환은 집단분류학상 타당도가 입증되지는 못한 진단이다. 진단은 부적절한 심한 행동과다, 운동성 상동증, 심한 정신지체 이 세 증상이 모두 포함될 때에 내린다. 이러한 아동들은 정상 지능을 가지고 있는 아동들과는 달리, 중추신경흥분제에 의하여 과다행동 또는 주의력이 결핍증이 호전되지 않으며, 오히려 이 약물에 의하여 심함 불쾌반응을 보인다. 또한 이러한 과다행동이 청소년기가 되면 행동저하로 그 양상이 바뀔 수도 있다. 이러한 행동들이 낮은 지능 때문인지 또는 기질적인 뇌손상의 결과 때문인지에 대하여는 명확하지 않다.
6) 에스퍼거 증후군
언어 및 인지발달상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전체적인 지연은 없으면서 사회적 상호교류에 있어서는 자폐증과 유사한 질적인 장애가 있으며 행동양식, 흥미, 활동이 제약적반복적상동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언어발달의 지연이 있는 경우에는 이 진단을 사용할 수 없다. 현재로서는 진단적인 타당도가 만족할 정도는 아니며, 일부 증상이 자폐증의 경미한 상태와 유사한 점으로 자폐증과의 뚜렷한 구별에 대하여도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질환이다. 과거에 자폐적 정신병질 또는 소아기 분열형 장애라고 불렸던 진단명들이 이에 속한다.
7) 전반적 발달장애, 특정 불능
이 진단은 전반적 발달장애의 일반적인 기술에는 맞지만, 장애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거나, 또는 서로 상반되는 임상적인 소견을 보여서 어떤 다른 진단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는 장애에 적용하는 잔류성의 진단기준이다.
4. DSM-Ⅳ에 따른 지침 및 분류
- 자폐성 장애의 지단 기준 -
A. 1,2,3에서 총 6개(또는 그 이상) 항목, 적어도 1에서 2개 항목, 2와 3에서 각각 1개 항목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질적인 장해가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개 항목으로 표 현된다.
a. 사회적 상호 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마주치기, 얼굴 표정, 몸 자세, 몸짓과 같은 다 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해
b. 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c.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 관심, 성공을 나누지 못한다.
d. 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 받는 상호 교류의 결여
2. 질적인 의사소통 장해는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구두 언어 발달의 지연 또는 완전한 발달 결여
b. 적절하게 말을 하는 경우,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능력의 현저한 장해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언어나 괴상한 언어의 사용
d. 발달 수준에 적합한, 자발적이고 다양한 가상적 놀이나 사회적 모방 놀이의 결여
3. 제한적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이나 관심, 활동이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한 가지 이상의 상동증적이고 제한적인 관심에 집 착
b. 특이하고 비효율적인, 틀에 박힌 일이나 의식에 고집스럽게 매달림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성 매너리즘
d. 대상의 부분에 지속적으로 몰두
B. 다음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영역에서 기능이 지연되거나 비정상적이며, 3세 이 전에 시작된다 : 1. 사회적 상호 작용, 2. 사회적인 의사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
3. 상징적 또는 상상적 놀이.
C. 장해가 레트 장애 또는 소아기 붕괴성 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1) 진단별 특징
①진단적 특징
자폐성 장애의 필수 증상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현저하게 비정상적이거나 발달이 장해되어 있고, 활동과 관심의 종류가 현저하게 제한되어 있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장애의 표현은 개인의 발달 수준과 생활 연령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자폐성 장애는 때로 초기 유아 자폐증, 소아 자폐증, 칸너 자폐증이라고 불리어지기도 한다.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장해는 광범위하고 지속적이다. 사회적 상호 작용과 의사사통을 조절하기 위해 여러 가지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해가 있다. 나이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해야 하는, 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이 실패된다.(진단기준 Alb). 보다 어린 소아들은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 데 거의 관심이 없거나 전혀 관심이 없다. 보다 나이 든 소아들은 친구 관계는 관심이 있지만, 사회적 상호 작용의 관습을 이해하지 못한다.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 관심, 성공을 나누지 못한다(예:재미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보여주거나, 가져오거나, 지적하지 않는다)(진단 기준 Alc). 사회적, 감정적 상호 교류가 결여되어 있다(예: 단순한 사회적 놀이나 게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혼자 놀기를 좋아하며, 단순한 도구나 “기계적인” 수단으로 다른 사람을 놀이에 참여시킨다)(진단기준 Ald). 흔히 다른 사람에 대한 인식이 현저하게 손상되어 있다. 이런 장애가 있는 개인은 다른 소아들을 잘 망각하고, 다른 사람의 욕구에 대한 개념이 없거나, 다른 사람의 고통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또한 의사소통의 장해도 현저하고 지속적이며, 이러한 장해는 언어적 기술과 비언어적인 기술 모두에 영향을 준다. 구두 언어의 발달이 지연되거나, 완전히 결여되어 있다(진단 기준 A2a). 말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능력에 현저한 장해가 있고(진단 기준 A2b),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언어나 괴상한 언어를 사용한다(진단 기준 A2c). 발달 수준에 적합한, 자발적이고 다양한 가상적 놀이나 사회적 모방 놀이가 결여되어 있다(진단 기준 A2d). 언어가 발달할 때, 음성의 고저, 억양, 속도, 리듬 및 강도가 비정상적일 수 있다(예:음성의 억양이 단조롭거나 의문문처럼 문장의 끝을 올려 말한다). 문법구조는 흔히 미숙하고,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언어가 사용되거나 은유적인 언어(예:친근한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가 흔히 사용된다. 상상적인 놀이는 거의 하지 않거나 전혀 하지 못한다. 이러한 개인들은 단
5) 정신지체 및 상동적 운동과 관련된 과다활동장애
이 질환은 집단분류학상 타당도가 입증되지는 못한 진단이다. 진단은 부적절한 심한 행동과다, 운동성 상동증, 심한 정신지체 이 세 증상이 모두 포함될 때에 내린다. 이러한 아동들은 정상 지능을 가지고 있는 아동들과는 달리, 중추신경흥분제에 의하여 과다행동 또는 주의력이 결핍증이 호전되지 않으며, 오히려 이 약물에 의하여 심함 불쾌반응을 보인다. 또한 이러한 과다행동이 청소년기가 되면 행동저하로 그 양상이 바뀔 수도 있다. 이러한 행동들이 낮은 지능 때문인지 또는 기질적인 뇌손상의 결과 때문인지에 대하여는 명확하지 않다.
6) 에스퍼거 증후군
언어 및 인지발달상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전체적인 지연은 없으면서 사회적 상호교류에 있어서는 자폐증과 유사한 질적인 장애가 있으며 행동양식, 흥미, 활동이 제약적반복적상동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언어발달의 지연이 있는 경우에는 이 진단을 사용할 수 없다. 현재로서는 진단적인 타당도가 만족할 정도는 아니며, 일부 증상이 자폐증의 경미한 상태와 유사한 점으로 자폐증과의 뚜렷한 구별에 대하여도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질환이다. 과거에 자폐적 정신병질 또는 소아기 분열형 장애라고 불렸던 진단명들이 이에 속한다.
7) 전반적 발달장애, 특정 불능
이 진단은 전반적 발달장애의 일반적인 기술에는 맞지만, 장애에 대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거나, 또는 서로 상반되는 임상적인 소견을 보여서 어떤 다른 진단 기준을 충족시킬 수 없는 장애에 적용하는 잔류성의 진단기준이다.
4. DSM-Ⅳ에 따른 지침 및 분류
- 자폐성 장애의 지단 기준 -
A. 1,2,3에서 총 6개(또는 그 이상) 항목, 적어도 1에서 2개 항목, 2와 3에서 각각 1개 항목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질적인 장해가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개 항목으로 표 현된다.
a. 사회적 상호 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마주치기, 얼굴 표정, 몸 자세, 몸짓과 같은 다 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해
b. 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c.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 관심, 성공을 나누지 못한다.
d. 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 받는 상호 교류의 결여
2. 질적인 의사소통 장해는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구두 언어 발달의 지연 또는 완전한 발달 결여
b. 적절하게 말을 하는 경우,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능력의 현저한 장해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언어나 괴상한 언어의 사용
d. 발달 수준에 적합한, 자발적이고 다양한 가상적 놀이나 사회적 모방 놀이의 결여
3. 제한적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이나 관심, 활동이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한 가지 이상의 상동증적이고 제한적인 관심에 집 착
b. 특이하고 비효율적인, 틀에 박힌 일이나 의식에 고집스럽게 매달림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성 매너리즘
d. 대상의 부분에 지속적으로 몰두
B. 다음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영역에서 기능이 지연되거나 비정상적이며, 3세 이 전에 시작된다 : 1. 사회적 상호 작용, 2. 사회적인 의사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
3. 상징적 또는 상상적 놀이.
C. 장해가 레트 장애 또는 소아기 붕괴성 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1) 진단별 특징
①진단적 특징
자폐성 장애의 필수 증상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현저하게 비정상적이거나 발달이 장해되어 있고, 활동과 관심의 종류가 현저하게 제한되어 있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장애의 표현은 개인의 발달 수준과 생활 연령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자폐성 장애는 때로 초기 유아 자폐증, 소아 자폐증, 칸너 자폐증이라고 불리어지기도 한다.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장해는 광범위하고 지속적이다. 사회적 상호 작용과 의사사통을 조절하기 위해 여러 가지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해가 있다. 나이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해야 하는, 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이 실패된다.(진단기준 Alb). 보다 어린 소아들은 친구 관계를 형성하는 데 거의 관심이 없거나 전혀 관심이 없다. 보다 나이 든 소아들은 친구 관계는 관심이 있지만, 사회적 상호 작용의 관습을 이해하지 못한다.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 관심, 성공을 나누지 못한다(예:재미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보여주거나, 가져오거나, 지적하지 않는다)(진단 기준 Alc). 사회적, 감정적 상호 교류가 결여되어 있다(예: 단순한 사회적 놀이나 게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고, 혼자 놀기를 좋아하며, 단순한 도구나 “기계적인” 수단으로 다른 사람을 놀이에 참여시킨다)(진단기준 Ald). 흔히 다른 사람에 대한 인식이 현저하게 손상되어 있다. 이런 장애가 있는 개인은 다른 소아들을 잘 망각하고, 다른 사람의 욕구에 대한 개념이 없거나, 다른 사람의 고통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
또한 의사소통의 장해도 현저하고 지속적이며, 이러한 장해는 언어적 기술과 비언어적인 기술 모두에 영향을 준다. 구두 언어의 발달이 지연되거나, 완전히 결여되어 있다(진단 기준 A2a). 말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능력에 현저한 장해가 있고(진단 기준 A2b),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언어나 괴상한 언어를 사용한다(진단 기준 A2c). 발달 수준에 적합한, 자발적이고 다양한 가상적 놀이나 사회적 모방 놀이가 결여되어 있다(진단 기준 A2d). 언어가 발달할 때, 음성의 고저, 억양, 속도, 리듬 및 강도가 비정상적일 수 있다(예:음성의 억양이 단조롭거나 의문문처럼 문장의 끝을 올려 말한다). 문법구조는 흔히 미숙하고,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언어가 사용되거나 은유적인 언어(예:친근한 사람만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가 흔히 사용된다. 상상적인 놀이는 거의 하지 않거나 전혀 하지 못한다. 이러한 개인들은 단
추천자료
발달장애, 정신지체, 지체장애
[장애인복지] 발달장애아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사례
발달장애유아의 언어행동발달을 위한 컴퓨터보조학습(CAI) 프로그램 분석
발달 장애의 모든 것 - 뇌성마비, 정신지체, 언어발달장애, ADHD 등
아동의 언어발달의 이론, 발달단계, 영향요인, 언어발달장애 및 기능에 관한 보고서
(아동행동연구) 아동의 언어발달 이론과 연령별 언어발달, 환경과 언어발달장애 보고서
[아동발달]발달장애아동관련학술논문요약
[가족복지론] 발달장애인 및 발달장애 아동 가족
[장애인복지론] 발달장애인의 부적응행동의 이해 _ 문제행동의 원인, 행동수정과 학습이론, ...
[발달장애] 섭식장애, 정신분열증, 자폐와 아스퍼거 장애, 사회적 이야기 시행 기법, 사회적 ...
아동기 발달장애의 기질적 요인(학습장애,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실행증)
[장애인인권] karel vasak의 관점에 근거하여 장애인 관련 법률을 중심으로 한 장애인인권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