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표와 그림 포함되어있어요~
<연구방법>
Ⅰ. 향기요법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설계
4. 실험 절차
Ⅱ. 아로마 마사지 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실험방법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연구결과>
Ⅰ. 향기요법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1, 통계적 분석
2. 효과 질적 분석
Ⅱ. 아로마 마사지 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독립성 검정
3. 분만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
4. 분만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20대)
5. 분만 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30대)
<결론>
<연구방법>
Ⅰ. 향기요법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설계
4. 실험 절차
Ⅱ. 아로마 마사지 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실험방법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연구결과>
Ⅰ. 향기요법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1, 통계적 분석
2. 효과 질적 분석
Ⅱ. 아로마 마사지 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독립성 검정
3. 분만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
4. 분만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20대)
5. 분만 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30대)
<결론>
본문내용
: 복부 → 대퇴 전면 → 무릎 → 등(배부) → 둔부 → 대퇴후면의 순서로 실시
-적용시 대상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서 편안하고 기분좋을 정도의 압력으로 시행
1) 복부
양 손바닥 전체를 교대로 이용하여 배꼽에 겹쳐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면서 가볍게 문지르는 경찰법으로 실시
2) 다리
①대퇴부
- 경찰법 : 전면과 후면에 마사지 처음과 마지막 단계에 적용
양 손바닥을 수평으로 놓고 무릎에서 대퇴부까지 쓸고 올라가 두 손이 갈라지 면서 다리를 감싸 안고 다리 후면 근육을 콸으면서 내려오는 동작
- 유연법 : 양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다리 전체 근육을 집어 올리듯이 비틀면서 주 무르는 방법
②슬개골
- 양쪽 엄지로 슬개골 주위를 서로 교차하면서 원을 그리듯이 회전하며 문지르는 방법적용
3) 둥(배부)
-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도포하고 양 손바닥을 나란히 붙여 경찰법으로 허리선에서부터 어깨선 까지 위로 밀고 올라간 다음 어깨선을 따라 옆구리를 감고 내려오는 방법 사용
① 옆구리
-유연법 : 양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옆구리 근육을 집어 올리듯이 비틀면서 주물러 주는 동작
② 척추
-강찰법 : 양 엄지의 첫 마디 부분을 이용하여 허리부분에서부터 척추기립근을 따라 원을 그리듯이 문지르면서 조금씩 이동하는 동장으로 흉추까지 따라 올라 감.
③몸통 중앙
- 진동법 : 양 손가락(8지)을 이용해서 척추 중앙에서 몸통 바깥쪽으로 누르면서 밀어 냄
- 유연법 : 양 손바닥을 교대로 사용하여 몸통 바깥에서 안쪽으로 끌어당기는 동작
4) 둔부
-경찰법 : 양손바닥을 천골에서 장골능까지 몸통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듯이 가볍게 문지르고 나서 양쪽 엄지손가락 첫마디 부분을 이용하여 천골의 가장자리를 누르면서 원을 그리듯 밀어 올린다음 한손으로 맞은편 둔부를 잡고 다른 반대편 손으로는 주먹을 쥐어 한쪽 둔부를 가볍게 누르면서 오른쪽으로 돌리는 동작을 양쪽 모두 3회씩 실기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자료수집 기간 : 200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
- 대상 : 한개의 산부인과의 입원할 초산모
-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의 산모를 20명으로 무작위 선정
<연구결과>
Ⅰ. 향기요법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1, 통계적 분석
1) 연구집단 간의 동질성 검사
향기요법이 산모의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 여부를 t-test로 비교한 결과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은 동질 집단임을 알 수 있다
2) 산후 우울의 변화
<산후 우울에 대한 평균과 표준 편차>
실험 집단의 산후 우울에 관한 사전검사 평균은 11.10, 사후 검사 평균은 11.30으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 우울 감소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산후 우울의 집단과 검사에 따른 변량 분석표>
산후 우울검사 점수 분석 결과 실험 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산전 산후검사간의 차이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다. 또한 집단 X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도 유의하게 나타남
⇒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기요법이 산모의 산후 우울증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
<집단 X 시기간의 상호작용 도식화>
→ 실험 실시 전 사전검사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산후 우울 검사 점수 차이가 없음
→ 향기요법 적용후 통제집단은 산후 우울점수가 약간 상승, 실험 집단은 뚜렷히 감소
⇒ 향기요법이 산후 우울 감소에 효과적 이다.
2. 효과 질적 분석
Ⅱ. 아로마 마사지 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연령범위 : 최저 25세 - 최고 34세
- 대상자의 임신주수 : 40-41주가 19명, 39-40주인 산모는 15명으로 나타남
- 태아체중 : 3.000~3.500g가 22명, 3.500~4.000g 11명으로 나타남
- 산모체중 : 70~75Kg이 12명 65~70Kg미만이 11명, 65Kg미만이 10명 으로 나타남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독립성 검정
임신주수, 연령, 태아체중, 산모체중, 산모의 키, 양수파막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없어 두 집단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남
3. 분만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
실험군에서는 정상분만 건수가 높았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제왕절개 건수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했다.
4. 분만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20대)
<분만 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
실험군에서는 정상분만 건수가 높았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제왕절개 건수가 더 높았다 ->아로마 마사지가 분만 유형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했다.
5. 분만 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30대)
<분만 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
실험군에서는 정상분만 건수가 높았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제왕절개 건수가 더 높다 -> 아로마 마사지가 분만유형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다
<결론>
아로마 요법은 분만중이나 출산 후 산모의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있다. 두 실험에서 모두 산모들은 아로마 요법에 반응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출산시에 부위별로 산모에게 아로마 마사지를 적용한 결과 정상 분만을 한 산모가 유의하게 많았는데 제왕절게술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적용한다면 효과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 같다. 양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는 본래 병원에서 실시하던대로 간호를 제공하였고 한 집단에는 분만 1기에 분만실 간호사가 거의 전신에 걸친 아로마 마사지를 시행하였는데 마사지를 적용한 집단에 제왕절게술이 적게 나타났으며 특히 20대인 산부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초산부인 경우 분만 시 불안정도가 심한데 아로마 마사지를 적용하므로써 향기와 마사지로 자극이 될 뿐만 아니라 통증 감소를 위해 요법을 실시하고 있다는 자체가 정서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산후에도 산모들에게 나타나는 우울감을 줄이는데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에 여러 요인들로 인해 우울감에 빠지기 쉬운 산모들에게 15회에 걸쳐 다양한 활동으로 아로마 향기요법을 시행한 후에 시행하지
-적용시 대상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으면서 편안하고 기분좋을 정도의 압력으로 시행
1) 복부
양 손바닥 전체를 교대로 이용하여 배꼽에 겹쳐 시계방향으로 원을 그리면서 가볍게 문지르는 경찰법으로 실시
2) 다리
①대퇴부
- 경찰법 : 전면과 후면에 마사지 처음과 마지막 단계에 적용
양 손바닥을 수평으로 놓고 무릎에서 대퇴부까지 쓸고 올라가 두 손이 갈라지 면서 다리를 감싸 안고 다리 후면 근육을 콸으면서 내려오는 동작
- 유연법 : 양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다리 전체 근육을 집어 올리듯이 비틀면서 주 무르는 방법
②슬개골
- 양쪽 엄지로 슬개골 주위를 서로 교차하면서 원을 그리듯이 회전하며 문지르는 방법적용
3) 둥(배부)
-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도포하고 양 손바닥을 나란히 붙여 경찰법으로 허리선에서부터 어깨선 까지 위로 밀고 올라간 다음 어깨선을 따라 옆구리를 감고 내려오는 방법 사용
① 옆구리
-유연법 : 양 손가락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옆구리 근육을 집어 올리듯이 비틀면서 주물러 주는 동작
② 척추
-강찰법 : 양 엄지의 첫 마디 부분을 이용하여 허리부분에서부터 척추기립근을 따라 원을 그리듯이 문지르면서 조금씩 이동하는 동장으로 흉추까지 따라 올라 감.
③몸통 중앙
- 진동법 : 양 손가락(8지)을 이용해서 척추 중앙에서 몸통 바깥쪽으로 누르면서 밀어 냄
- 유연법 : 양 손바닥을 교대로 사용하여 몸통 바깥에서 안쪽으로 끌어당기는 동작
4) 둔부
-경찰법 : 양손바닥을 천골에서 장골능까지 몸통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듯이 가볍게 문지르고 나서 양쪽 엄지손가락 첫마디 부분을 이용하여 천골의 가장자리를 누르면서 원을 그리듯 밀어 올린다음 한손으로 맞은편 둔부를 잡고 다른 반대편 손으로는 주먹을 쥐어 한쪽 둔부를 가볍게 누르면서 오른쪽으로 돌리는 동작을 양쪽 모두 3회씩 실기
4. 자료수집 방법 및 절차
- 자료수집 기간 : 200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
- 대상 : 한개의 산부인과의 입원할 초산모
-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의 산모를 20명으로 무작위 선정
<연구결과>
Ⅰ. 향기요법이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
1, 통계적 분석
1) 연구집단 간의 동질성 검사
향기요법이 산모의 산후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우선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 여부를 t-test로 비교한 결과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은 동질 집단임을 알 수 있다
2) 산후 우울의 변화
<산후 우울에 대한 평균과 표준 편차>
실험 집단의 산후 우울에 관한 사전검사 평균은 11.10, 사후 검사 평균은 11.30으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 우울 감소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산후 우울의 집단과 검사에 따른 변량 분석표>
산후 우울검사 점수 분석 결과 실험 통제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산전 산후검사간의 차이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다. 또한 집단 X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도 유의하게 나타남
⇒ 본 연구에서 실시한 향기요법이 산모의 산후 우울증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
<집단 X 시기간의 상호작용 도식화>
→ 실험 실시 전 사전검사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산후 우울 검사 점수 차이가 없음
→ 향기요법 적용후 통제집단은 산후 우울점수가 약간 상승, 실험 집단은 뚜렷히 감소
⇒ 향기요법이 산후 우울 감소에 효과적 이다.
2. 효과 질적 분석
Ⅱ. 아로마 마사지 요법이 초산모의 정상분만에 미치는 영향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연령범위 : 최저 25세 - 최고 34세
- 대상자의 임신주수 : 40-41주가 19명, 39-40주인 산모는 15명으로 나타남
- 태아체중 : 3.000~3.500g가 22명, 3.500~4.000g 11명으로 나타남
- 산모체중 : 70~75Kg이 12명 65~70Kg미만이 11명, 65Kg미만이 10명 으로 나타남
2, 실험군과 대조군의 독립성 검정
임신주수, 연령, 태아체중, 산모체중, 산모의 키, 양수파막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없어 두 집단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남
3. 분만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
실험군에서는 정상분만 건수가 높았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제왕절개 건수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했다.
4. 분만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20대)
<분만 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
실험군에서는 정상분만 건수가 높았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제왕절개 건수가 더 높았다 ->아로마 마사지가 분만 유형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했다.
5. 분만 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30대)
<분만 유형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
실험군에서는 정상분만 건수가 높았던 반면 대조군에서는 제왕절개 건수가 더 높다 -> 아로마 마사지가 분만유형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다
<결론>
아로마 요법은 분만중이나 출산 후 산모의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있다. 두 실험에서 모두 산모들은 아로마 요법에 반응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출산시에 부위별로 산모에게 아로마 마사지를 적용한 결과 정상 분만을 한 산모가 유의하게 많았는데 제왕절게술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적용한다면 효과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 같다. 양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는 본래 병원에서 실시하던대로 간호를 제공하였고 한 집단에는 분만 1기에 분만실 간호사가 거의 전신에 걸친 아로마 마사지를 시행하였는데 마사지를 적용한 집단에 제왕절게술이 적게 나타났으며 특히 20대인 산부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초산부인 경우 분만 시 불안정도가 심한데 아로마 마사지를 적용하므로써 향기와 마사지로 자극이 될 뿐만 아니라 통증 감소를 위해 요법을 실시하고 있다는 자체가 정서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산후에도 산모들에게 나타나는 우울감을 줄이는데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에 여러 요인들로 인해 우울감에 빠지기 쉬운 산모들에게 15회에 걸쳐 다양한 활동으로 아로마 향기요법을 시행한 후에 시행하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