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육아휴직, 왜 필요한가.
⑴ 산모와 영아의 정서적 유대감
⑵ 산모의 건강회복의 기회
⑶ 직무재교육의 기회
⑷ 여성고급인력 손실방지
⑸ 출산율 증가의 제도적 기반역할
2. 육아휴직, 왜 기피하나.
⑴ 복직 시 불이익요소로 작용
⑵ 소득의 감소
⑶ 능력저하우려
⑷ 직장 내 분위기
3. 육아휴직,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⑴ 재 채용 보장
⑵ 육아휴직급여 증대
⑶ 휴직여성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마련
⑷ 직장 내 분위기 및 문화 환경 조성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1. 육아휴직, 왜 필요한가.
⑴ 산모와 영아의 정서적 유대감
⑵ 산모의 건강회복의 기회
⑶ 직무재교육의 기회
⑷ 여성고급인력 손실방지
⑸ 출산율 증가의 제도적 기반역할
2. 육아휴직, 왜 기피하나.
⑴ 복직 시 불이익요소로 작용
⑵ 소득의 감소
⑶ 능력저하우려
⑷ 직장 내 분위기
3. 육아휴직,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⑴ 재 채용 보장
⑵ 육아휴직급여 증대
⑶ 휴직여성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마련
⑷ 직장 내 분위기 및 문화 환경 조성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2, 최대 월 1,800유로(한화로 약 2백16만원)을 최장 12개월까지 국가가 보조하는 새 육아수당 제도를 실시한다. 이는 여성이 전업주부일 경우에도 월 300유로(36만원)를 지급하도록 되어있다. 우리나라도 육아휴직급여를 최소한 60만 원 선으로 인상하여 육아휴직을 더욱 장려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육아휴직기간동안 휴직여성들의 능력 향상 자기계발을 통해 재충전의 기회로 삼고 업무에 쉽게 복귀하기 위해서 휴직여성들을 위한 직무재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한다. 예를 들어 KT의 경우 육아휴직자가 휴직기간 중 집에서 직무 재교육을 온라인으로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한 직장동료들과 커뮤니케이션하며 회사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도록 사내종합문서시스템도 개방한다. KT에서 2004년 육아휴직자 70명 중 24명, 2005년 육아휴직자 80명 중 19명이 휴직 중 온라인 재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KT의 육아휴직 중 재교육효과는 육아휴직 후 복직률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KT의 경우 복직률은 99%에 달한다. 다른 기업들도 KT의 육아휴직제도 및 직무재교육 프로그램을 받아들여 여성근로자의 능력 향상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건 개인의 인식 변화와 직장 내 분위기 및 문화 환경 변화이다. 아무리 제도적으로 완벽하다고 해도 그것을 받아들이고 이용하는 사람이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우리 모두가 육아휴직을 여성의 특권 혹은 역차별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여성에게 반드시 주어져야 할 기본적인 권리라고 생각을 한다면 육아휴직이용률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유급육아휴직제도의 정의와 필요성, 현황, 대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육아휴직제도는 여성 개인들만을 위한 것이 아닌, 사회전체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아주 기본적인 제도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현재 시행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제도적 접근성을 높여서 더욱 많은 여성근로자가 유급육아휴직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육아휴직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이규용, 한국노동연구원, 2004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1999.02.08 법률 제5933호)
두산세계대백과
2006.11.13일자 경향신문 [회사 눈총에 ‘짓눌리는 母性’···아직은 먼 권리 육아휴직]
2006.10.25일자 서울경제 [인권위 "육아휴직 여성 승진제외는 성차별"]
노동부 홈페이지 (http://www.molab.go.kr)
또한 육아휴직기간동안 휴직여성들의 능력 향상 자기계발을 통해 재충전의 기회로 삼고 업무에 쉽게 복귀하기 위해서 휴직여성들을 위한 직무재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한다. 예를 들어 KT의 경우 육아휴직자가 휴직기간 중 집에서 직무 재교육을 온라인으로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한 직장동료들과 커뮤니케이션하며 회사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도록 사내종합문서시스템도 개방한다. KT에서 2004년 육아휴직자 70명 중 24명, 2005년 육아휴직자 80명 중 19명이 휴직 중 온라인 재교육을 받았다고 한다. KT의 육아휴직 중 재교육효과는 육아휴직 후 복직률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KT의 경우 복직률은 99%에 달한다. 다른 기업들도 KT의 육아휴직제도 및 직무재교육 프로그램을 받아들여 여성근로자의 능력 향상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건 개인의 인식 변화와 직장 내 분위기 및 문화 환경 변화이다. 아무리 제도적으로 완벽하다고 해도 그것을 받아들이고 이용하는 사람이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우리 모두가 육아휴직을 여성의 특권 혹은 역차별이라는 생각을 버리고 여성에게 반드시 주어져야 할 기본적인 권리라고 생각을 한다면 육아휴직이용률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유급육아휴직제도의 정의와 필요성, 현황, 대책에 대해 알아보았다. 육아휴직제도는 여성 개인들만을 위한 것이 아닌, 사회전체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아주 기본적인 제도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현재 시행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제도적 접근성을 높여서 더욱 많은 여성근로자가 유급육아휴직제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자료
육아휴직 활용실태와 정책과제, 이규용, 한국노동연구원, 2004
남녀고용평등법 (개정 1999.02.08 법률 제5933호)
두산세계대백과
2006.11.13일자 경향신문 [회사 눈총에 ‘짓눌리는 母性’···아직은 먼 권리 육아휴직]
2006.10.25일자 서울경제 [인권위 "육아휴직 여성 승진제외는 성차별"]
노동부 홈페이지 (http://www.molab.go.kr)
추천자료
맞벌이가족의 문제와 이에 따른 지원서비스
저출산의 원인 분석과 출산장려 활성화 방안
여성 노동자에 대해서...
육아건강정보의 이해(우리아이 튼튼하게 키우는법)
[맞벌이][맞벌이가족][맞벌이부부][맞벌이가정][가족복지]맞벌이가족(맞벌이부부)의 형성, 맞...
직장육아제도
여성과 육아(육아의 역사, 현대사회의 육아, 직업여성의 육아, 모성이데올로기, 육아 공적영...
교육학_개론_공동육아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육아지원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보다 현실적인 방안을 위한...
[공동육아] 공동육아의 개념, 형태 및 역할
여성인력관리, SC제일은행의 사례, 인적자원관리,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
다음의 가족정책 내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례조사를 하시오 - 육아 및 보육지원정책 [가족...
[영유아 발달 및 감정코칭] 쌍둥이의 연령별 육아법과 감정코칭 {월령별 육아, 애착형성과 감...
전통 육아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전통 육아법이 현대 사회에서 영아를 양육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