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야시대의 고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가야시대의 고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령지역의 고분입지와 내부구조
1) 고분의 입지
2) 내부구조

2. 대가야 시대의 고분군
① 고령읍 지산리 고분군

② 고령읍 본관리 고분
③운수면 월산리 고분군
④우곡면 도진리 고분군
⑤성산면 박곡리 고분군
3.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들
1) 장경호
2) 기대
3) 고배

4. 대가야의 순장묘

5. 대가야의 성립 과정

6. 대가야의 지배체제와 성격

① 대왕호 와 금관

② 지배조직과 2부

7. 대가야의 멸망

본문내용

조한 순장곽은 소형석곽으로 봉토에는 석실을 만들기 위해 파낸 니암편을 섞어 쌓았음. 석실에는 철모, 겸형철기, 착형철기, 꺽쇠 등이 출토. 순장곽에서는 개배, 광구소호 등 토기 출토
35호분 - 34호분과 같이 능선의 양측은 급경사를 이룸. 석실은 돌출한 지반을 평평히 고른 후 그 중심부에 할석으로 4벽을 쌓은 석실과 순장곽을 나란히 설치. 토기류, 철기류 출토.
36호분 - 본관리 고분군 중에서는 대형분. 묘역 중앙에 주석실과 순장석곽 1기를 나란히 설치한 다곽식. 토기류와 철기류 출토.
③운수면 월산리 고분군 - 운라산성이 있는 봉우리 정상에서 급경사로 내려 오다 완만해 지면서 긴 구릉 상으로 내려오는 돌출부와 등줄기에 중형 봉토분 15기 정도 분포. 수혈식 석실분의 구조. 다곽식 구조. 그 주위에 소형 석곽묘들이 밀집 분포하는 중군집 고분군. 지산리, 본관리 고분출토에서 나온것과 같은 양식의 토기들 출토.
④우곡면 도진리 고분군 - 도진산성의 남북 능선 정상 돌출부에 10여기 정도가 분포하며 작은 규모의 중형분. 수혈식 석실이며 부곽을 가지고 있는것도 1기 있다. 여기서 출토된 토기들도 지산리 고분군의 토기와 같은 형태.
⑤성산면 박곡리 고분군 - 중형봉토분 20여기와 소형 석곽묘 300~400여기 정도 분포하는 중군집분. 출토유물도 매우 다양하며 지산리 고분군과 같은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 지역은 대가야의 동북 한계선을 말해주며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성주나 대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에 지산리 고분군과 같은 양상의 묘제나 토기가 발견된 것은 대가야시대의 영역권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⑥ 쾌빈리 고분군, 고령읍 중화리 고분군 ,고령읍 장기리 고분군, 덕곡면 백리 고분군, 덕곡면 예리 고분군, 개진면 개포리 고분군, 개진면 양전리 고분군, 다산면 노곡리 고분군, 성산면 기산리 고분군, 쌍림면 안림리 고분군 등이 있다.
3.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들
1) 장경호
①유개장경호 - 고령적인 특징이 강한 토기 목이 길며 중간부분이 부드럽게 잘록한 형태. 뚜껑이 단추형 꼭지모양.
②무개장경호 - 유개식과 대체로 비슷하나 토기의 입부분이 나팔처럼 벌어져 있음 목에서 입부분으로 이어지는 선과 동체부로 이어지는 곡선이 유연하고 안정적.
2) 기대
① 발형기대 - 고배형기대 라고도 함. 유개장경호와 세트로 고령양식 토기의 대표적. 그릇을 올려놓는 발부가 깊숙하고 위로 넓게 벌어지며 구연단이

키워드

대가야,   고분,   순장묘,   고령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1.11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