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이해 교육 지도안 및 연수계획 및 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이해 교육 지도안 및 연수계획 및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반교사 및 행정가 대상 연수 자료
① 도움반 소개 (우리 학교 도움반에 대한 안내말씀)
② 통합교육의 필요성
③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Ⅱ. 통합학급 담임 교사 대상 연수 자료
① 성공적인 통합촉진 전략(이렇게 도와주세요)
② 장애아동의 장애 특성 및 학습 도움 방법
③ 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수정 전략

Ⅲ. 비장애 학생 대상 장애이해교육
① 장애인의 날 행사 (‘이런 사람도 장애인?)
② 장애인의 유형특성과 바른 호칭
③ 놀이를 통한 장애이해 교육 프로그램(우리친구 돕기)
④ 이야기를 통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우리친구까치)
⑤ 장애이해 수업안
⑥ 장애체험 수업안

Ⅳ. 비장애 학부모 대상 장애이해교육
①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인식
②통합교육이란

본문내용

필요한가?
- 여러분은 친구들이 자신의 나쁜 별명을 불렀을 때 어떤 생각이 들었나요?
기분 나쁘다, 불쾌하다.
- 장애인을 보고 나쁜 호칭으로 부르면 장애인들은 어 떤 생각이 들까요?
우리처럼 기분이 나쁘다.
◇ 활동3 장애인을 부르는 바른 호칭
- 그래서 장애인들을 존중해주는 뜻에서 다 함께 부르기로 정해준 호칭이 있습니다. 여러분같이 나이 어린 사람을 부르는 말에도 꼬마, 애, 아이 등 여러 말이 있지만 존중해 주는 뜻에서 “어린이”라고 부르기로 약속한 것처럼 장애인들을 부르는 말도 약속된 말이 있답니다.
잘못된 호칭을 조사하면서, 오히려 잘못된 호칭에 흥미를 느끼지 않도록 잘 유도한다.
호칭 정해주기에서는 존중하는 마음이 들어가는 아름다운 호칭을 격려한다.
(예 : 보는데 어려움 있는 사람 →
“소리를 보는 사람”
“귀밝은 이”)
불편한 쪽 보다는 세상을 다른 방식으로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에 초점을 맞춘다.
전개
◇ 활동4 다함께 불러요!
- 자료에 나와 있는 바른 호칭을 따라 불러 봅시다.
- 여러분을 무시하거나 업신여기는 마음이 아니라 존중하는 마음을 담은 바른 호칭으로 장애인을 불러 보았습니다. 그러나, 지나가는 사람을 보고 “남자!” “노인!” 하고 부르지는 않듯이 장애인을 가리키며 “장애인!” “청각장애인!” 하는 식으로 부르거나 손가락질하지는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장애친구를 부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친구의 이름을 불러서 “○○야!”하고 불러주는 것입니다.
그림자료 제시.
장애인이라는 용어가 호칭이되, 호명을 위한 용어가 아님을 알려준다.
정리
◎ 바른 호칭의 중요성 알기
-호칭은 그 사람을 존중하는 아름다운 마음이 담긴 것이어야 합니다.
- 다같이 정한 호칭이지만, 그런 사람이 지나갈 때 그렇게 불러서 지목하지는 않습니다.
- 장애 친구를 부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친구의 이름을 불러 주는 것입니다.
※ 우리학교에는 ‘우리 친구 반’이 있습니다.
우리 친구 반 어린이들도 여러분의 친구입니다. 지나갈 때 “장애인 간다!” 이렇게 말하지 말고 “우리친구○○이구나. 안녕?”하고 인사를 나누도록 합시다.
부록 예화집에서 19~24번 예화를 읽어줄 수도 있다.
함께 생각해요
♥ 장애인을 부르는 예쁜 이름 만들기 ♥
( ) 모듬
유 형
우리가 알고 있는 잘못된 호칭
예쁜 이름 정하기
장애인에게 꼭
필요한 물건
보는 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
지어보세요
지어보세요
지어보세요
듣는 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
지어보세요
지어보세요
지어보세요
전체적으로 생각이나 발달이 느린 사람
지어보세요
지어보세요
지어보세요
움직이는 데 어려움이 있는 사람
지어보세요
지어보세요
지어보세요
활동주제
장애인의 유형특성과 바른 호칭
학습목표
장애인의 유형별로 바른 호칭을 알 수 있다.
단계
저학년
학습방법
교 수 - 학 습 활 동
자료 및 유의점
도입
◎ 장애인을 본 경험을 이야기해 보기
- 장애인이라고 해서 몸의 전부가 불편하지는 않아요
- 어디가 불편 하느냐에 따라 각각 다르게 이름을 정하는데 오늘은 여기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학습목표 제시
장애 유형에 따른 바른 호칭을 알 수 있다.
전개
◇ 활동1 주인을 찾아주세요!
- 모듬별로 “불편한 곳”에 따라 선생님이 준 그림 자료 중 에서 필요한 물건을 오려 붙인 후, 그림을 그리고 예쁜 이름도 만들어 보세요.
- 모듬별로 나와서 그림과 함께 몸짓으로 표현해 보겠 습니다.
◇ 활동2 다함께 불러요
- 자료에 나와 있는 바른 호칭을 따라 불러 봅시다.
- 여러분은 무시하거나 업신여기는 마음이 아니라 존중하는 마음을 담은 바른 호칭으로 장애인을 불러 보았습니다.
그러나, 지나가는 사람을 보고 “남자!” “노인!” 하고 부르지는 않듯이 장애인을 가리키며 “장애인!” “청각장애인!” 하는 식으로 부르거나 손가락질하지는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장애친구를 부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친구의 이름을 불러서 “○○야!”하고 불러주는 것입니다.
모듬별 조사표 배부
역할극 유도 → 웃음거리로 삼지
않도록 지도한다.


◎ 바른 호칭의 중요성 알기
- 호칭은 그 사람을 존중하는 아름다운 마음이 담긴 것이어야 합니다.
- 다같이 정한 호칭이지만, 그런 사람이 지나갈 때
그렇게 불러서 지목하지는 않습니다.
- 장애 친구를 부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친구의
이름을 불러 주는 것입니다.
※ 우리학교에는 ‘우리 친구 반’이 있습니다.
우리 친구 반 어린이들도 여러분의 친구입니다.
지나갈 때 “장애인 간다!” 이렇게 말하지 말고
“우리 친구 ○○이구나. 안녕?”하고 인사를
나누도록 합시다.
함께 생각해요
♥ 안 들려요 ! ♥


보청기, 휠체어, 수화책, 목발, 점자책, 흰 지팡이, 색안경,
쉬운 책, 장난감 같은 교구
♥ 느리게 배워요 ! ♥
전개
◇활동2. OX퀴즈 대왕 선발대회
- 지금부터 OX퀴즈를 통해 돕는 방법도 배우고, 퀴즈왕 도 뽑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일어서서 손으 로 OX를 표시하고 틀린 사람은 앉으세요. 최후에 남는 퀴즈대왕은 누구일까?
◇활동3. 행동계약서 작성하기
- 먼저 ○○○가 약속을 잘 지켰을 때 모둠 모두에게 줄 상을 정해 보겠습니다.
상은 ○○○가 좋아하고 모둠원들도 모두 좋아하는 활 동으로 정해 봅시다.
- 한 시간에 몇 번 정도 소리를 낼까요? 한꺼번에 완전히 안 낼 수 는 없으니까 몇 번까지는 봐 주도록 합시다. 몇 번으로 정할까요?
- 자. 이내용을 계약서로 써 봅시다.
◇ 활동4. 역할극하기
- 각 모둠 별로 가짜 ○○○를 정해 보세요
- 가짜 ○○○는 시끄러운 소리를 흉내내보고 다른 친구들은 도와줍시다.
활동 예0
친구1: 쉿! ○○○야, 지금은 ( )시간이지?
□□책 17쪽을 펴 보자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 지킬 일을 배우는 중이 야 여기는 어디지?
친구2: 따라 말하기 해보자. 도서관, 지하철 목욕탕......
친구1: 선생님을 봐야 해. 그래 우리 바르게 앉자. 잘 하네친구2: 지금은 쓰기 시간이야. 나 다 쓸 동안 너는 도서관, 지하철, 목욕탕 글자를 써 줄테니 덮어쓰기 하고 있 어.
친구1: 와! 잘
  • 가격3,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7.11.30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2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