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제목 : 닭의 해부
Ⅱ. 목적 : 닭의 해부를 통해 닭의 외부형태 및 내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Ⅲ. 서론
1. 외부형태의 관찰
2. 내부구조의 관찰
1) 소화기관계
①위
②소장
③대장
2)호흡기관계
①비강과 후두
②닭의 기관과 기관지
③닭의 폐와 기낭
3)순환기관계
①심장
4)배설기관계
①신장
②요관
③방광과 요도
5)생식기관계
①닭의 수컷생식기관
②닭의 암컷 생식기관
Ⅱ. 목적 : 닭의 해부를 통해 닭의 외부형태 및 내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Ⅲ. 서론
1. 외부형태의 관찰
2. 내부구조의 관찰
1) 소화기관계
①위
②소장
③대장
2)호흡기관계
①비강과 후두
②닭의 기관과 기관지
③닭의 폐와 기낭
3)순환기관계
①심장
4)배설기관계
①신장
②요관
③방광과 요도
5)생식기관계
①닭의 수컷생식기관
②닭의 암컷 생식기관
본문내용
대단히 짧고 한 쌍의 맹장과 결장, 직장으로 구분된다.
맹장은 소장과 대장의 경계부 바로 아래에 양쪽에 한 쌍의 맹장이 붙고 끝은 소장의 방향을 향하고 이것과 아주 짧은 장간막으로 매여져 있다. 길이는 12~25cm이고 끝이 굵고 경부는 약간 가늘고 이 부위에 장벽의 환주근이 불완전한 맹장괄약근이 된다.
결정과 직장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고 짧으며 약 12cm정도의 짧은 장간막에 매여져 척추의 배쪽 위를 따라 직선적으로 뒤쪽으로 달리고 끝은 융상으로 융기한 점막추벽을 만들어 넓은 배설강에 연결된다. 근층의 일부가 괄약근처럼 들어가 있다.
배설강은 세 부분으로 구별된다.
분동 : 대장의 직장과 연결된 부분
요동 : 분동의 등쪽에 있고 요관 외에 수컷에서는 한 쌍의 정관이 개구하고 암컷에서는 한 개의 난관이 개구되어 있다.
항문동 : 요동의 뒤 위쪽에 있으며 배벽에 한 개의 화부리씨낭이 연결되어 있다. 화부리씨낭은 조류의 특유한 기관이며 배 모양의 맹낭을 이루고 병아리 때에 잘 발달하고 성장함에 따라 점차 퇴화 위축된다. 이 주머니의 점막은 추벽과 융기가 많고 융모가 없으며 선(샘)이 있다. 고유층은 현저하게 림프조직이 발달되었고 림프소절을 만들어 적혈구도 들어 있고 주머니 전체가 림프기관과 비슷한 겉모양을 하고 있다.
간은 큰 샘조직의 하나이며 무게는 약 35g정도이고 체강의 중위에서 복측과 체벽에 접하여 있다. 깊은 절흔에 의해 좌우양옆으로 나누어져 있고 엽간에 심장이 들어있다. 융기한 체벽면으로 배쪽의 흉골에 접촉되어 있고 오목한 내장면으로 뒤쪽의 사낭과 장관에 접촉한다.
양엽사이에서 얇은 막 모양의 겸상인대가 나와 심막선단과 흉골내면을 연결하고 등쪽에서도 복위간막에서 생기는 복막추벽이 나와 사낭과 전위와 연결된다. 후대정맥은 양엽을 매는 좁은 선협의 배위에 접하여 통과하며 우심방으로 돌아오기 직전에 좌우양엽에서 온 짧은 한 쌍의 간정맥과 합친다.
간의 좌엽은 우엽보다 조금 작고 그 복연에는 깊은 절흔이 있다. 내장면에 간문이 있어 문맥과 간동맥 등의 혈관과 신경 담관이 출입한다.
간의 구조를 보면 갈색활택하고 소엽간결합조직이 적어서 연하며 잘 부스러진다. 성세포는 포유류와 같이 보이나 특유한 중심정맥이 보이지 않는다.
담낭은 간문 가까이 우엽의 내촉면에 있고 비교적 큰 깔때기 모양의 주머니로서 우엽에서 나온 간관은 우선 담낭관으로서 담낭에 담즙을 보내고 다시 총담관이 되어 십이지장에 연결된다. 그러나 좌엽에서 나온 간관은 담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십이지장과 연결되는 간장관이 된다.
췌장은 황색 또는 황적색의 넓적하고 긴 샘조직으로 십이지장이 굽은 부분에 끼여서 장간막 속에 위치한다. 보통 4엽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중 제2엽은 잘 발달되어 십이지장계제를 메꾼다. 그 중의 복엽의 일단이 계제의 저부에 있고 배엽은 사낭의 유문 근처에 있고 양엽은 실질의 일부가 서로 결합하고 또 이따금 완전 융합한다. 제3엽은 매우 작고 이것이 복측췌장의 좌엽이라 생각된다.
취관은 총담관 간관의 개구부에 접하여 배엽 복엽 제3엽의 세 개 췌관이 밀집되어
맹장은 소장과 대장의 경계부 바로 아래에 양쪽에 한 쌍의 맹장이 붙고 끝은 소장의 방향을 향하고 이것과 아주 짧은 장간막으로 매여져 있다. 길이는 12~25cm이고 끝이 굵고 경부는 약간 가늘고 이 부위에 장벽의 환주근이 불완전한 맹장괄약근이 된다.
결정과 직장의 경계는 뚜렷하지 않고 짧으며 약 12cm정도의 짧은 장간막에 매여져 척추의 배쪽 위를 따라 직선적으로 뒤쪽으로 달리고 끝은 융상으로 융기한 점막추벽을 만들어 넓은 배설강에 연결된다. 근층의 일부가 괄약근처럼 들어가 있다.
배설강은 세 부분으로 구별된다.
분동 : 대장의 직장과 연결된 부분
요동 : 분동의 등쪽에 있고 요관 외에 수컷에서는 한 쌍의 정관이 개구하고 암컷에서는 한 개의 난관이 개구되어 있다.
항문동 : 요동의 뒤 위쪽에 있으며 배벽에 한 개의 화부리씨낭이 연결되어 있다. 화부리씨낭은 조류의 특유한 기관이며 배 모양의 맹낭을 이루고 병아리 때에 잘 발달하고 성장함에 따라 점차 퇴화 위축된다. 이 주머니의 점막은 추벽과 융기가 많고 융모가 없으며 선(샘)이 있다. 고유층은 현저하게 림프조직이 발달되었고 림프소절을 만들어 적혈구도 들어 있고 주머니 전체가 림프기관과 비슷한 겉모양을 하고 있다.
간은 큰 샘조직의 하나이며 무게는 약 35g정도이고 체강의 중위에서 복측과 체벽에 접하여 있다. 깊은 절흔에 의해 좌우양옆으로 나누어져 있고 엽간에 심장이 들어있다. 융기한 체벽면으로 배쪽의 흉골에 접촉되어 있고 오목한 내장면으로 뒤쪽의 사낭과 장관에 접촉한다.
양엽사이에서 얇은 막 모양의 겸상인대가 나와 심막선단과 흉골내면을 연결하고 등쪽에서도 복위간막에서 생기는 복막추벽이 나와 사낭과 전위와 연결된다. 후대정맥은 양엽을 매는 좁은 선협의 배위에 접하여 통과하며 우심방으로 돌아오기 직전에 좌우양엽에서 온 짧은 한 쌍의 간정맥과 합친다.
간의 좌엽은 우엽보다 조금 작고 그 복연에는 깊은 절흔이 있다. 내장면에 간문이 있어 문맥과 간동맥 등의 혈관과 신경 담관이 출입한다.
간의 구조를 보면 갈색활택하고 소엽간결합조직이 적어서 연하며 잘 부스러진다. 성세포는 포유류와 같이 보이나 특유한 중심정맥이 보이지 않는다.
담낭은 간문 가까이 우엽의 내촉면에 있고 비교적 큰 깔때기 모양의 주머니로서 우엽에서 나온 간관은 우선 담낭관으로서 담낭에 담즙을 보내고 다시 총담관이 되어 십이지장에 연결된다. 그러나 좌엽에서 나온 간관은 담낭을 거치지 않고 직접 십이지장과 연결되는 간장관이 된다.
췌장은 황색 또는 황적색의 넓적하고 긴 샘조직으로 십이지장이 굽은 부분에 끼여서 장간막 속에 위치한다. 보통 4엽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중 제2엽은 잘 발달되어 십이지장계제를 메꾼다. 그 중의 복엽의 일단이 계제의 저부에 있고 배엽은 사낭의 유문 근처에 있고 양엽은 실질의 일부가 서로 결합하고 또 이따금 완전 융합한다. 제3엽은 매우 작고 이것이 복측췌장의 좌엽이라 생각된다.
취관은 총담관 간관의 개구부에 접하여 배엽 복엽 제3엽의 세 개 췌관이 밀집되어
추천자료
(일반물리실험2) 콘덴서의 충전과 방전 예비레포트
타이머 카운터 인터럽트 프로그램 [마컴 예비레포트]
7세그먼트 LED 응용 프로그램 [마컴 예비레포트]
borda 진자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예비레포트
CNC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예비레포트
포도주의 알코올 함량 분석 (예비레포트)
용량기 검정 및 액체의 밀도 예비레포트
정밀화학제조실험 - 초산에틸의 합성 예비레포트(최종)
정밀화학제조실험 - 아스피린의 제조 예비레포트 (최종)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UV흡착 예비레포트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기체상수결정 예비레포트
화공기초 이론 및 실험 평형상수결정 예비레포트
중앙대 진동계측실험 TMD,TLD 예비레포트
중앙대 진동계측실험 pid 설계(예비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