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age code
㉡ content schema
: one\'s store of concepts and expectations
based on prior experience
㉢ formal schema
: understanding of how various kinds or
types of descourse
③ 성인 읽기 훈련 : skill-based = bottom-up, // strategy-based = top-down.
Interactive model(상호작용 모형)
㉠ 읽기는 글의 지각에서 시작되지만, 지각된 글의 해독 단계부터는 독자의 스키마가 강하게 작용
㉡ 읽기의 자료는 글이지만, 의미의 구성은 독자의 배경지식이 맏고 있다.
㉢ 독자는 주어진 글을 읽어가면서 자신의 흥미와 관심과 목적 또는 가설에 따라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
㉣ 글과 독자, 문자 해독과 스키마의 상호작용 과정을 중시
㉤ 독자가 가지고 있는 스키마는 글 측면에서의 문자해독에 영향을 미치고 문자를 해독한 것은 다시 독자의 스키마로 돌아가며 이 두 측면이 계속적으로 상호작용
㉥ physical text reader\'s knowledge and expectation
bottom-up model
의미가 글에서 나온다고 봄. 글 자체가 읽기의 기본.
의미는 단어와 구와 문장의 분석에서 도출
글, 텍스트, 자료, 표면자료가 읽기의 출발점이며 독해는 글을 해독하는 과정
읽기에 언어능력이 중요
적은 양의 글을 분석적으로 읽고 이를 종합하여 전체 의미를 끌어내는 글읽기
정독, 문법번역식 또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수업모형
정확성
행동주의 심리학의 관점
독자는 수용적 해독자
글의 의미는 글이 주므로 일기는 생산물인 글에 대한 수동적, 피동적 의미파악
읽기를 배우는 수준, 초급 과정
top-down model
의미가 독자에게서 나온다고 봄. 독자의 지식, 기대, 추측이 읽기의 기본.
의미는 독자의 인식구조에서 나옴
독자, 독자의 사전지식과 인식의 틀, 독자의 경험, 글의 내용이 읽기의 출발점이며, 독해는 글쓴이가 암호화한 메시지를 재구성하는 예측과 추론의 과정
독해를 위해서는 독자의 세계에 관한 지식, 성숙의 정도, 인식의 틀이 중요
긴 글을 종합적으로 읽고 이를 체계화하여 글쓴이의 의도를 추론해내는 글읽기
속독, 다독, 의사전달 중심 교수법의 수업모형
유창성
형태심리학 또는 인지 심리학의 관점
독자는 의미의 구성자
글의 의미는 독자의 해석에 달려 있으므로 읽기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의미 부여 활동
정보를 얻거나 배우기를 위한 읽기, 상급 과정
2. 문어의 특징
①Permanence : 문어는 구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구
적. 반복해서 읽을 수 있다.
②Processing time : 스스로의 처리시간을 가질 수 있
다.
③Distance : 문어는 메시지와의 사이에 물리적 거리와
시간적 거리가 있다. 독자는 다른 장소, 다른 시간에
있었던 일일 contextual clues를 통해 해석. 탈맥락화된
글은 읽기를 어렵게 하는 이유 중의 하나.
④Orthography : 구어의 음소(phoneme)처럼 문어에도
문자소(grapheme)가 있다. 구어에서는 음소들이 의미파악
을 도와주지만, 문어는 의미파악시 애매함을 많이 가지므
로 행간 읽기(read between the lines)가 중요.
⑤Complexity : 구어는 등위접속사로 연결, 문어는 종
속접속사로 연결되어 있어서 복잡.
⑥ Vocabulary : 글을 쓰는 속도는 말하는 시간보다 처
리시간이 길기 때문에 문어의 어휘가 더 복잡.
⑦ Formality : 다양한 rhetorical / organizational 형식
이 있다.
3. Reading을 위한 전략
① 글의 목적 파악
: 왜 글을 읽는지를 질문. 명시화를 통해 교사가 추구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고 산만한 정보들을 제거할 수 있다.
② bottom-up decoding을 조장하기 위해 graphemic
rules and patterns를 활용(beginning level)
: 학습자들은 구어에는 익숙하지만 영어 철자에는 어려움을 느끼므로 영어 철자의 hint를 주는 방법으로 grapheme-phoneme 대응.
③ 속독 위한 묵독(intermediate & advanced level)
: 효과적인 묵독을 위한 방법
㉠ 모든 단어를 발음할 필요는 없음.
㉡ 동시에 한 단어 이상(구 단위)을 감지.
㉢ 단어가 전체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skip.
㉣ 문맥내에서 추론.
④ Skimming
: 주요 골자를 찾기 위해 전체 텍스트를 빠르게 훑는 것. 글의 목적, 주제, 보충하고 확대될 수 있는 내용을 알 수 있게 해줌.
⑤ Scanning
: 글 속의 특정 정보를 빠르게 찾는 것. academic
reading에서는 scanning이 필수적.
⑥ Semantic-mapping or clustering
: idea를 의미있는 단위로 묶거나 지도를 만들어 질
서를 부여.
⑦ Guessing
: 단어의 의미, 문법관계, 담화관계, 내포된 의미, 문화적 지시어 등은 추측 가능. 단서를 주어서 학습자들이 competence gap을 채울 수 있도록 도와줌.
⑧ Vocabulary analysis
: 학습자들이 모르는 단어가 나왔을 때 guessing할 수 있게끔 그들이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게 하는 것.
⑨ 문자적 의미와 내포된 의미의 구별
: 정교한 top-down processing skill의 적용. 문자적, 표면상으로 해석되지 않는 사실을 독자로 하여금 화용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내용을 통해 찾을 수 있도록 함.
⑩ discourse markers를 중시
4. 교실內 reading performance의 종류.
① oral (소리내어 읽기) : 초급 - 발음점검, 타 학생 참여 // 고급 - 문제발생 ( 주의력↓)
② 묵독(silent reading) : Intensive - 행간 읽기
// Extensive - 전체 이해.
㉠ intensive reading : 글의 linguistic & semantic
한 면에 초점을 둔 교실 학습상황 중심의 활
㉡ content schema
: one\'s store of concepts and expectations
based on prior experience
㉢ formal schema
: understanding of how various kinds or
types of descourse
③ 성인 읽기 훈련 : skill-based = bottom-up, // strategy-based = top-down.
Interactive model(상호작용 모형)
㉠ 읽기는 글의 지각에서 시작되지만, 지각된 글의 해독 단계부터는 독자의 스키마가 강하게 작용
㉡ 읽기의 자료는 글이지만, 의미의 구성은 독자의 배경지식이 맏고 있다.
㉢ 독자는 주어진 글을 읽어가면서 자신의 흥미와 관심과 목적 또는 가설에 따라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
㉣ 글과 독자, 문자 해독과 스키마의 상호작용 과정을 중시
㉤ 독자가 가지고 있는 스키마는 글 측면에서의 문자해독에 영향을 미치고 문자를 해독한 것은 다시 독자의 스키마로 돌아가며 이 두 측면이 계속적으로 상호작용
㉥ physical text reader\'s knowledge and expectation
bottom-up model
의미가 글에서 나온다고 봄. 글 자체가 읽기의 기본.
의미는 단어와 구와 문장의 분석에서 도출
글, 텍스트, 자료, 표면자료가 읽기의 출발점이며 독해는 글을 해독하는 과정
읽기에 언어능력이 중요
적은 양의 글을 분석적으로 읽고 이를 종합하여 전체 의미를 끌어내는 글읽기
정독, 문법번역식 또는 구조주의 언어학의 수업모형
정확성
행동주의 심리학의 관점
독자는 수용적 해독자
글의 의미는 글이 주므로 일기는 생산물인 글에 대한 수동적, 피동적 의미파악
읽기를 배우는 수준, 초급 과정
top-down model
의미가 독자에게서 나온다고 봄. 독자의 지식, 기대, 추측이 읽기의 기본.
의미는 독자의 인식구조에서 나옴
독자, 독자의 사전지식과 인식의 틀, 독자의 경험, 글의 내용이 읽기의 출발점이며, 독해는 글쓴이가 암호화한 메시지를 재구성하는 예측과 추론의 과정
독해를 위해서는 독자의 세계에 관한 지식, 성숙의 정도, 인식의 틀이 중요
긴 글을 종합적으로 읽고 이를 체계화하여 글쓴이의 의도를 추론해내는 글읽기
속독, 다독, 의사전달 중심 교수법의 수업모형
유창성
형태심리학 또는 인지 심리학의 관점
독자는 의미의 구성자
글의 의미는 독자의 해석에 달려 있으므로 읽기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의미 부여 활동
정보를 얻거나 배우기를 위한 읽기, 상급 과정
2. 문어의 특징
①Permanence : 문어는 구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구
적. 반복해서 읽을 수 있다.
②Processing time : 스스로의 처리시간을 가질 수 있
다.
③Distance : 문어는 메시지와의 사이에 물리적 거리와
시간적 거리가 있다. 독자는 다른 장소, 다른 시간에
있었던 일일 contextual clues를 통해 해석. 탈맥락화된
글은 읽기를 어렵게 하는 이유 중의 하나.
④Orthography : 구어의 음소(phoneme)처럼 문어에도
문자소(grapheme)가 있다. 구어에서는 음소들이 의미파악
을 도와주지만, 문어는 의미파악시 애매함을 많이 가지므
로 행간 읽기(read between the lines)가 중요.
⑤Complexity : 구어는 등위접속사로 연결, 문어는 종
속접속사로 연결되어 있어서 복잡.
⑥ Vocabulary : 글을 쓰는 속도는 말하는 시간보다 처
리시간이 길기 때문에 문어의 어휘가 더 복잡.
⑦ Formality : 다양한 rhetorical / organizational 형식
이 있다.
3. Reading을 위한 전략
① 글의 목적 파악
: 왜 글을 읽는지를 질문. 명시화를 통해 교사가 추구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고 산만한 정보들을 제거할 수 있다.
② bottom-up decoding을 조장하기 위해 graphemic
rules and patterns를 활용(beginning level)
: 학습자들은 구어에는 익숙하지만 영어 철자에는 어려움을 느끼므로 영어 철자의 hint를 주는 방법으로 grapheme-phoneme 대응.
③ 속독 위한 묵독(intermediate & advanced level)
: 효과적인 묵독을 위한 방법
㉠ 모든 단어를 발음할 필요는 없음.
㉡ 동시에 한 단어 이상(구 단위)을 감지.
㉢ 단어가 전체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면 skip.
㉣ 문맥내에서 추론.
④ Skimming
: 주요 골자를 찾기 위해 전체 텍스트를 빠르게 훑는 것. 글의 목적, 주제, 보충하고 확대될 수 있는 내용을 알 수 있게 해줌.
⑤ Scanning
: 글 속의 특정 정보를 빠르게 찾는 것. academic
reading에서는 scanning이 필수적.
⑥ Semantic-mapping or clustering
: idea를 의미있는 단위로 묶거나 지도를 만들어 질
서를 부여.
⑦ Guessing
: 단어의 의미, 문법관계, 담화관계, 내포된 의미, 문화적 지시어 등은 추측 가능. 단서를 주어서 학습자들이 competence gap을 채울 수 있도록 도와줌.
⑧ Vocabulary analysis
: 학습자들이 모르는 단어가 나왔을 때 guessing할 수 있게끔 그들이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게 하는 것.
⑨ 문자적 의미와 내포된 의미의 구별
: 정교한 top-down processing skill의 적용. 문자적, 표면상으로 해석되지 않는 사실을 독자로 하여금 화용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내용을 통해 찾을 수 있도록 함.
⑩ discourse markers를 중시
4. 교실內 reading performance의 종류.
① oral (소리내어 읽기) : 초급 - 발음점검, 타 학생 참여 // 고급 - 문제발생 ( 주의력↓)
② 묵독(silent reading) : Intensive - 행간 읽기
// Extensive - 전체 이해.
㉠ intensive reading : 글의 linguistic & semantic
한 면에 초점을 둔 교실 학습상황 중심의 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