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옛 그림 감상의 두 원칙
2. 옛 그림에 담긴 선인들의 마음
3. 옛 그림으로 살펴본 조선의 역사와 문화
4. 감상
2. 옛 그림에 담긴 선인들의 마음
3. 옛 그림으로 살펴본 조선의 역사와 문화
4. 감상
본문내용
개 있어 신하들이 통행하는데 동쪽 문은 봄에 해당되고 그래서 덕으로는 어질 인仁 자에 해당되기 때문에 문신들이 이리로 드나들었고, 서쪽 문으로는 무신들이 드나들었다. 동쪽 문은 ‘일화문’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해의 정화’, 그러니까 햇빛문 이라는 뜻이다. 서쪽 문은 ‘월화문’, 즉 ‘달의 정화’, ‘달빛문’이다. 조선 궁궐의 현판은 모양이 다 온화하고 점잖은 형태로 쓰여 져있다. 겉멋 위주로 쓰지 않고 듬직하게 착실하게 쓰여 져 조선 문화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 안에 들어서면 ‘정사에 부지런히 힘쓰는’ 근정전이 있다. 근정전을 보면 단청 장식을 했으나 알프스 기슭의 서양 봉건 영주들의 성들과 비교해 보면 일개 귀족의 응접실만큼도 화려하지 않다. 다만 군주로서 최소한의 위엄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이다. 아래는 단을 돋우고 위에서는 닫집을 내렸는데 가운데 용상이 있다. 그리고 뒤에는 병풍이 있는데 이 병풍이 바로 <일월오봉병>이다.
조선의 왕은 반드시 이 병풍 앞에 앉는다. 대궐 안에서는 물론이고, 멀리 능행차를 할 때도 따로 조그만 병풍을 휴대했다가 멈추면 이 병풍을 친다. 심지어는 사후에도 관 뒤에 이 병풍을 칠 정도이다. 임금의 초상화를 건 뒤에도 반드시 이 병풍을 친다. 한 마디로 <일월오봉병>은 조선 국왕의 상징이다. 궁중의 행사 내용을 그리 의궤그림에서 국왕이 위치한 자리에는 사람을 직접 그리는 대신, 바로 이 병풍만을 그려 넣는다. 이 병풍에는 푸른 하늘에 해와 달이 동시에 떠 있다. 그러니 현상이 아닌 원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해와 달은 음양의 상징이다. 다섯 개의 봉우리는 오행을 상징한다. 이는 도덕으로 말하면 인의예지신이 되고, 우리 전통 문화의 모든 체계를 상징한다.
<일월오봉병>에는 하늘에 해와 달, 땅에는 뭍과 물, 그리고 좌우에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붉은 소나무 두 그루와 두 갈래로 쏟아져 내려오는 폭포가 있다. 중간에 다섯 봉우리가 층을 이루며 대칭으로 우뚝 서 있다. 해는 양, 달은 음이다. 해는 아버지처럼 굳세고 일관되게 나아가는 덕이요, 달은 어머니처럼 자애롭고 덕스러워 모든 것을 포용하는 상이다. 아래에 다섯 봉우리는 인간에게 고유한, 저 산처럼 두텁게 쌓아올린 다섯 가지 덕을 상징한다. 오른편에서부터 인仁, 예禮, 신信, 지智, 의義를 상징한다. 여기서 만물을 이롭게 하려는 듯이 두 갈래 폭포가 힘차게 떨어진다. 아래 못에서는 물보라가 탕탕 퉁기면서 생기 넘치게 일어나고 있다. 좌우에 하늘을 향해 우뚝 솟은 상서로운 소나무가 붉은빛 푸른빛으로 찬란히 빛난다. 조선을 건국하면서 가졌던 우리 선인들의 장엄한 이상이 이 병풍 그림에 극명하게 나타나 있다. 우리 옛 문화는 이렇듯 모든 것이 심오하고도 빼어난 상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4. 감상
지난 학기‘창의성과 시스템사고’수업시간에 김도훈 교수님께서는 용맹한 호랑이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인상적인 책 한권을 소개 시켜 주셨다. 바로 이 책 오주석 교수님의 ‘한국의 미’특강이었다. 미술, 특히 한국의 미술에 대해 좀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망설임 없이 책을 들었다. 대부분의 미술 감상서 들은 미술 사조나 역사적인 배경에 치우쳐 그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하거나 피상적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독특하게 강연 형식을 빌려, 예상외로 재미있고 이해하기 쉬웠으며 그림 속에 숨어있는 이야기들의 감칠맛 나는 해석을 통해서, 그림을 그 그림 자체로 보는 독특한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것은 어떤 미술작품을 보든지 그 작품을 만들었던 옛사람의 눈으로, 옛사람의 마음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서양의 고미술품들은 그 당시의 사람들의 눈과 마음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적 미술품들은 옛 선인의 눈과 마음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전통 미술작품들은 그 시선의 구도가 서양의 것과는 다르다. 서양은 좌측 상단부터 우측 하단으로 시선이 이동하지만,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시선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문화는 그 어떤 나라보다도 빠르게 서구화 되어가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서적, 신문 등의 거의 대부분은 서양의 시선이동에 맞추어 편집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쓰기가 되어있는 고서적들은 읽기가 어렵다 하여 외면당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런 서구화는 식생활과 의생활 등 모든 생활습관에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생활모습을 거의 통째로 바꾸어 놓았다. 그래서 오히려 우리는 진짜 우리의 것을 낯설게 여기기까지 한다. 하지만, 우리가 우리의 것을 낯설고 어렵게 여기는 이유는 그것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옛사람의 눈과 마음이 어떤 것이었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것을 안다면 우리는 더 이상 엉뚱한 서구 기준의 잣대가 아닌 진정한 우리의 구도와 기준으로 작품을 바라볼 수 있게 되고, 우리나라 전통 미술작품의 진가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것을 감상하는 방법은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다. 이 책에서 작가가 제시하는 옛 그림의 감상법은 그림을 우상에서 좌하로 보는 것, 그림의 크기에 따라 거리를 두는 것, 시간을 가지고 여유롭게 감상할 것 등의 아주 기초적인 사항들이다. 이런 것들은 어렵거나 난감한 것들이 전혀 아니다. 기초적이지만 우리가 몰랐거나 소홀히 했던 부분인 것이다. 옛 그림을 꼼꼼하게 읽어내고 독창적이면서 깊이 있게 해석해내는 저자의 안목은 탁월하다. 그 탁월한 안목은 우리 전통 문화를 즐겁고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 옛 초상화가 렘브란트의 작품 못지않은 세계적 수준이라는 설명도 각별하게 다가온다. 얼굴에 핀 검버섯, 수염 한 올까지 놓치지 않고 묘사하는 우리 옛 초상화는 비록 모습이 추하더라도 참된 나를 보여줘야 한다는 정신을 반영한다. 모든 것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형식은 조선의 지배 이념인 성리학의 정신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얻게 되는 가장 값진 것은 예술 작품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깨달음이다. 특별한 지식이 없이도 ‘마음을 기울여 찬찬히 대하는 사람에게는 누구에게는 그 속내를 내보이는’ 예술 작품과 새롭게 만날 수 있게 된다는 사실에 감격스러웠다.
그 안에 들어서면 ‘정사에 부지런히 힘쓰는’ 근정전이 있다. 근정전을 보면 단청 장식을 했으나 알프스 기슭의 서양 봉건 영주들의 성들과 비교해 보면 일개 귀족의 응접실만큼도 화려하지 않다. 다만 군주로서 최소한의 위엄을 보여주기 위한 장치이다. 아래는 단을 돋우고 위에서는 닫집을 내렸는데 가운데 용상이 있다. 그리고 뒤에는 병풍이 있는데 이 병풍이 바로 <일월오봉병>이다.
조선의 왕은 반드시 이 병풍 앞에 앉는다. 대궐 안에서는 물론이고, 멀리 능행차를 할 때도 따로 조그만 병풍을 휴대했다가 멈추면 이 병풍을 친다. 심지어는 사후에도 관 뒤에 이 병풍을 칠 정도이다. 임금의 초상화를 건 뒤에도 반드시 이 병풍을 친다. 한 마디로 <일월오봉병>은 조선 국왕의 상징이다. 궁중의 행사 내용을 그리 의궤그림에서 국왕이 위치한 자리에는 사람을 직접 그리는 대신, 바로 이 병풍만을 그려 넣는다. 이 병풍에는 푸른 하늘에 해와 달이 동시에 떠 있다. 그러니 현상이 아닌 원리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해와 달은 음양의 상징이다. 다섯 개의 봉우리는 오행을 상징한다. 이는 도덕으로 말하면 인의예지신이 되고, 우리 전통 문화의 모든 체계를 상징한다.
<일월오봉병>에는 하늘에 해와 달, 땅에는 뭍과 물, 그리고 좌우에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붉은 소나무 두 그루와 두 갈래로 쏟아져 내려오는 폭포가 있다. 중간에 다섯 봉우리가 층을 이루며 대칭으로 우뚝 서 있다. 해는 양, 달은 음이다. 해는 아버지처럼 굳세고 일관되게 나아가는 덕이요, 달은 어머니처럼 자애롭고 덕스러워 모든 것을 포용하는 상이다. 아래에 다섯 봉우리는 인간에게 고유한, 저 산처럼 두텁게 쌓아올린 다섯 가지 덕을 상징한다. 오른편에서부터 인仁, 예禮, 신信, 지智, 의義를 상징한다. 여기서 만물을 이롭게 하려는 듯이 두 갈래 폭포가 힘차게 떨어진다. 아래 못에서는 물보라가 탕탕 퉁기면서 생기 넘치게 일어나고 있다. 좌우에 하늘을 향해 우뚝 솟은 상서로운 소나무가 붉은빛 푸른빛으로 찬란히 빛난다. 조선을 건국하면서 가졌던 우리 선인들의 장엄한 이상이 이 병풍 그림에 극명하게 나타나 있다. 우리 옛 문화는 이렇듯 모든 것이 심오하고도 빼어난 상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4. 감상
지난 학기‘창의성과 시스템사고’수업시간에 김도훈 교수님께서는 용맹한 호랑이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인상적인 책 한권을 소개 시켜 주셨다. 바로 이 책 오주석 교수님의 ‘한국의 미’특강이었다. 미술, 특히 한국의 미술에 대해 좀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망설임 없이 책을 들었다. 대부분의 미술 감상서 들은 미술 사조나 역사적인 배경에 치우쳐 그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부족하거나 피상적이었다. 하지만, 이 책은 독특하게 강연 형식을 빌려, 예상외로 재미있고 이해하기 쉬웠으며 그림 속에 숨어있는 이야기들의 감칠맛 나는 해석을 통해서, 그림을 그 그림 자체로 보는 독특한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것은 어떤 미술작품을 보든지 그 작품을 만들었던 옛사람의 눈으로, 옛사람의 마음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서양의 고미술품들은 그 당시의 사람들의 눈과 마음으로, 우리나라의 전통적 미술품들은 옛 선인의 눈과 마음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전통 미술작품들은 그 시선의 구도가 서양의 것과는 다르다. 서양은 좌측 상단부터 우측 하단으로 시선이 이동하지만,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으로 시선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문화는 그 어떤 나라보다도 빠르게 서구화 되어가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서적, 신문 등의 거의 대부분은 서양의 시선이동에 맞추어 편집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쓰기가 되어있는 고서적들은 읽기가 어렵다 하여 외면당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런 서구화는 식생활과 의생활 등 모든 생활습관에도 마찬가지로, 우리의 생활모습을 거의 통째로 바꾸어 놓았다. 그래서 오히려 우리는 진짜 우리의 것을 낯설게 여기기까지 한다. 하지만, 우리가 우리의 것을 낯설고 어렵게 여기는 이유는 그것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옛사람의 눈과 마음이 어떤 것이었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것을 안다면 우리는 더 이상 엉뚱한 서구 기준의 잣대가 아닌 진정한 우리의 구도와 기준으로 작품을 바라볼 수 있게 되고, 우리나라 전통 미술작품의 진가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 것을 감상하는 방법은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다. 이 책에서 작가가 제시하는 옛 그림의 감상법은 그림을 우상에서 좌하로 보는 것, 그림의 크기에 따라 거리를 두는 것, 시간을 가지고 여유롭게 감상할 것 등의 아주 기초적인 사항들이다. 이런 것들은 어렵거나 난감한 것들이 전혀 아니다. 기초적이지만 우리가 몰랐거나 소홀히 했던 부분인 것이다. 옛 그림을 꼼꼼하게 읽어내고 독창적이면서 깊이 있게 해석해내는 저자의 안목은 탁월하다. 그 탁월한 안목은 우리 전통 문화를 즐겁고 새롭게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우리 옛 초상화가 렘브란트의 작품 못지않은 세계적 수준이라는 설명도 각별하게 다가온다. 얼굴에 핀 검버섯, 수염 한 올까지 놓치지 않고 묘사하는 우리 옛 초상화는 비록 모습이 추하더라도 참된 나를 보여줘야 한다는 정신을 반영한다. 모든 것을 세밀하게 묘사하는 형식은 조선의 지배 이념인 성리학의 정신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얻게 되는 가장 값진 것은 예술 작품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는 깨달음이다. 특별한 지식이 없이도 ‘마음을 기울여 찬찬히 대하는 사람에게는 누구에게는 그 속내를 내보이는’ 예술 작품과 새롭게 만날 수 있게 된다는 사실에 감격스러웠다.
추천자료
미학특강
한국백화점의 역사
탐방 계획서 (한 중 FTA 체결을 통한 한국무역 경쟁력 강화와 선진화 전략)
해방 이후 장면정권 까지의 정치과정 (요약)
한국의 로봇
오세영시인론요약
[ICANN]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의 정의와 성립배경,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의...
영국과 미국의사회복지발전 및 우리나라에 미친 영향(미리보기 및 본문요약 확인요^^)
[독후감, 감상문, 서평, 요약] 무조건 성공하는 작은 식당 _ 백종원 저
[정신건강과간호]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적용대상자와 프로그램 내용 요약, 간호사...
창업과 사업분석사례( 인터넷비지니스 ), ERP,JIT,MRP 벤처기업 비교(한.미)
[요약정리]13억의 중국, 20억의 기회
2015년 2학기 취미와예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취미와예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