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자연적, 사회적 종교적, 문화적 환경이 우리나라 복식에 미친 영향

2. 한복의 시대별, 용도별, 종류별 분류

본문내용

였다. 사모는 복두제도에서 처음 출발한 것으로 처음에는 연각이었으나 차차 경각로 변천했는데, 조선왕조 초기의 사모는 연각도 아니고 좌우에 각이 없으며, 뒤에 흑영을 드러웠는데 조선왕조 중엽 명조대부터 각이 달리고 또한 경각으로 되었다. 이 사모는 국말까지 가장 많이 쓰인 관모였던 것이며, 고종대 복장개조시에도 그 대례복,소례복에 사모를 착용케 하였다.
(2)복(服)
- 포:공복의 포와 같은 것인데, 영조대에 와서 당상 삼품 이상은 담홍포를 하고 대소조의 때 상복에는 현녹색의 사·단을 사용하고 당하 삼품 이하는 현녹색이되 사, 견을 사용하였다. 그러다가 국말 고종 때 흑단령으로 되었고 다시 주의(周衣)로 바뀌었다.
- 대:대는 조복의 대와 같은 것이었다.
- 백
- 화:협금화였는데, 이것은 흑피화의 바닥에 징을 박은 것으로 추측되는데 국말에 와서 조복,공복,상복은 목화로 통일된다.
- 흉배:흉배는 조선왕조시대에 있어서 왕,왕세자복 및 백관의 상복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상복의 단령포에는 네모진 흉배를 가슴, 등에 붙였다.
흉배의 제정은 단종 2년에 문관 일품은 공작, 이품은 운학,삼품은 백한,무관일품은 호표,삼품은 웅비로 정했는데, 연산군대에 와서 일품에서 구품까지 모두 흉배를 달게 되었으며, 고종대에 와서는 문관 당상관은 쌍학, 당하관은 단학,무관 당상관은 쌍호,당하관은 단호로 하여 국말까지 사용하였다. 조선시대 유물흉배를 통해서 보면 시대가 올라갈수록 흉배의 크기가 크고 문양의 수도 적은데 후기로 내려올수록 흉배는 작아지고 문양은 복잡해졌다.
1.면복
조선시대 왕복의 종류를 보면 대례, 제복에는 면류관, 곤복이고, 조복에는 원유관, 강사포가 있고,상복에는 익선관, 곤룡포가 속하며, 연거시에는 편복을 입었다.
<면복 구장복> 면복은 군왕의 표신으로 삼았던 것이며, 왕이 종묘, 사직등에 참예할 때나 제사 때 착용하는 제복 및 대례복이다. 면복의 구성은 면류관에 곤복을 말하는데, 곤복의 구성은 의, 상, 폐슬,혁대, 대대, 패옥, 수, 말, 석으로 여기에 규로 이루어졌다.
(1)면류관
면류관은 한민족(漢民族)의 전형적인 관모(冠帽)였는데,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서례「제복도설(祭服圖說)」에서 보면, 평천판은 앞이 둥글고 뒤는 네모났으며,겉은 현색증으로 덮고, 안은 훈색증으로 쌌다. 그리고 앞이 뒤보다 이촌(二寸) 숙었으며, 평안복(平天板)과 관신(冠身)을 옥형으로 연결시키고 금잠도를 꽂았다.
면류는 구류로서 매류마다 오채옥으로 꿰었으며, 류의 길이는 구촌이었다..평천판 옆에서는 현색(玄色) 담이 있었고, 또 굉은 자조 두 줄을 한 줄은 턱 밑에서 맺어 늘어뜨렸으며, 또 한 주조 줄은 양쪽 계에 턱밑을 돌려 연결시키고 늘어뜨렸다
(2)곤복
면류관에 곤복을 면복이라 하는데, 면복은 군왕의 표신으로 삼았던 것으로, 중국 황제는
이류면 십이장복, 우리 국왕은 중국의 친왕례에 따라 구류면 구장복을 착용하다가 국말 고종이 황제위에 오르면서 십이류면 십이장복을 착용하게 되었다.
곤복에는 장문이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산, 용, 화충, 화, 종이,조,분미,보,불의 구장에 황제를 표시하는 일, 월, 성신을 더하여 십이장이 된다. 곤복의 구성은 의, 상, 중단, 폐슬, 혁대, 대대, 패옥, 수, 말, 석, 규로 되어 있는데, 이를「국조오례의」서례「제복도설」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는 현색으로 되어 있으며 오장문이 있는데, 용은 양 어깨, 산은 등뒤, 화, 화충, 종이는 양 소매에 각각 3개씩 그리고, 현령에, 도련,수구에는 현색 선을 하였다.
상은 훈색증으로 만들고 전 삼폭, 후 사폭이었는데, 앞폭에는 조,분미,보,불의 사장문을 수놓았다. 중단은 백색증으로 하였으며, 청색 선으로 깃, 도련, 수구를 둘렀으며, 깃에도 불문 11개를 그리고있다. 폐슬은 상색과 같은 훈색증으로 하였으며, 위에는 비, 아래에는 순이라고 하는 선이 있었고, 양쪽에 조, 분미, 보, 불의 사장문을 수놓았다.
패옥은 위에 형이 있어 그 위에 금구가 다렸고, 가운데에는 거와 우가 있고, 아래에는 쌍황이있으며,그 사이에는 충아가 있고, 또 충아와 쌍황 사이에 쌍적이 있었는데 모두 민옥으로 하였다. 대대는 비색과 백색을 합쳐 꿰맨 것이었으며, 홍화금수였고, 규는 길이 구촌인 청옥규였다. 말은 겉을 비색단으로 하고, 안을 비색 초로 하였으며,석은 겉을 비색 단, 안을 백색 증으로 하였는데 모양은 같은 것이었다.
2.조복
왕의 조복은 원유관, 강사포였는데, 국미 고종이 황제위에 오르면서 원유관은 중국천자가 착용하던 통천관을 바뀌었다.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서례「관복도설(冠服圖設)」에서 원유관(遠遊冠)을 보면, 현색 나로 만들고 구양이었는데, 각 양마다 오채옥으로 구옥씩 전후 십팔옥을 장식하였다. 양쪽에 2줄의 실조가 있어 턱밑에서 매고 나머지는 늘어뜨렸으며, 금잠을 꽂았다. 포(袍)는 강라로 만들었다. 상(裳)과 폐슬(蔽膝)도 강라로 만들었으며, 모양은 구장복에서와 같다. 중단은 백라로 만들었는데, 적령에 불문11개를 그렸고, 도련,수구에 적선을 하였다. 패옥,수,말,석은 구장복과 같으나 장문이 없고 백나로 만든 방심곡령을 달았다.
3.상복
<왕복> 왕상복은 익선관에 곤룡포로, 익선관은 복두에서 연유한 것인데, 양대각 위에 양소각을 첨부하여 향상시킨 것이다. 곤룡포는 대홍색의 단(여름에는 사(紗))으로 지었으며, 포의 전후와 좌우 어깨에 금색오조원룡보를 첨부하였다. 옥대를 띠고 흑궤자피, 여름에는 흑칠피를 신었다. 곤룡포 밑에는 답호와 첩리를 받쳐 입었는데, 이것은 융복도 된다.
답호는 첩리 위에 입던 것으로 소매, 무, 앞섶이 없으며,뒷솔기가 허리 아래로 터져 있다. 첩리는 저고리와 치마가 붙은 상의하상식으로 허리에서 주름을 잡아 연결하였다. 소매는 두리소매인데, 한쪽에는 단추를 달아서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었다. 국난시(國亂時)에는 전립에 첩리로 된 융복(戎服)을 착용하였는데, 융복에는 보를 가식(加飾)하였다.
4. 편복
조선시대 왕의 편복은 우리 고유의 저고리, 바지 위에 상복의 밑받침옷인 답호, 철릭 등을착용하였으며, 일반 사대부들이 입던 편복을 왕도 같이 입었다.

키워드

한복,   대삼,   적계,   복식,   대홍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1.2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9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