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의 중국시장 진출전략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통업의 중국시장 진출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Ⅱ. 시장규모와 소득수준
1. 중국인의 특징
2. 국민생활 정황
3. 시장규모
4. 주요 도시별 구매력

Ⅲ. 소비구조와 시장특성
1. 소비자 지출 구조
2. 소비시장 특성
3. 구매패턴의 특징

Ⅳ. 상품 유통업 구조와 현황
1. 중국유통체제의 이해
2. 중국 상품유통구조
3. 중국의 유통시장의 변화
4. 중국시장거래 관행의 변화
5. 통계 자료로 본 중국 유통 산업
6. 중국의 외자 유통업계 현황과 전망
7. 중국의 주요 도시의 유통업 현황과 주요업체 분석

Ⅴ. 중국 유통시장
1.중국 유통시장의 現況
1) 중국의 유통산업은 세계화의 기점
2) 로컬 신유통의 성장
2.일본 소매기업의 중국진출 현황
1) 중국유통산업시장의 외국자본 도입정책
2) 상해시를 통해본 중국 유통
3) 중국에 있어서의 일본계 유통기업의 경영행동과 MKTG
3.중국의 백화점 현황
4.기업의 중국 소매유통업 진출동향
1)진출 현황
2)진출동향

Ⅵ. 중국 유통업 시장 진출전략
1. 유통시장의 WTO이후 주요 개방일정 및 내용
2. 중국 유통산업의 발전추세 및 개방전망
3.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진출 전략
4. 이마트의 중국 진출 방안

Ⅶ.결론

본문내용

자본 도입정책
2)상해시를 통해본 중국 유통
3)중국에 있어서의 일본계 유통기업의 경영행동과 MKTG
3.중국의 백화점 현황
4.기업의 중국 소매유통업 진출동향
1)진출 현황
2)진출동향
Ⅵ. 중국 유통업 시장 진출전략
1. 유통시장의 WTO이후 주요 개방일정 및 내용
2. 중국 유통산업의 발전추세 및 개방전망
3. 우리나라 기업의 중국 진출 전략
4. 이마트의 중국 진출 방안
Ⅶ.결론
참고문헌
I. 서 론
최근 중국의 거시경제 동향을 살펴보면, 중국이 마치 세계경제의 구심점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을 갖게 한다.
미ㆍ일등 선진국 경기침체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WTO가입이후 견실한 경제성장률,수출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경제성장율은 01년 7.3%였던 것이 02년 상반기까지 7.8%로 증가하였으며, 수출증가율의 경우 01년 6.8%였던 것이 02년 상반기까지 14.1%로 급신장하였다.
매년 200~400억불대의 무역흑자속에 외환보유고가 2,428억불을 기록(`02.상반기누계), 일본에 이어 세계 제 2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세계 경기침체에도 해외직접투자(FDI)는 매년 400억불을 초과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2001년 FDI유치실적인 118.7억불(중국의 17%선)과 비교해볼 때, 크나큰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으며, 그 격차는 날로 더해갈 전망이 지배적이다.
IMF, ADB등 주요 국제기관들은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7%대로 예측하고 있으며, WTO가입과 올림픽 개최결정등에 따른 기대감 상승으로 8%선까지의 근접도 가능하다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고 있다.
교역부문에 있어서는 세계적 경기위축 속에서도 수출증가율이 재확대되는 추세에 있으며, 당초 WTO가입에 따른 관세인하효과로 수입증가율이 수출증가율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02년 상반기中 수출증가율은 14.1%로 수입증가율 10.4%를 상회한 예상밖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내수진작의 일환으로 추진된 정부의 근로자 임금인상조치와 사회보장제도 개선등이 소비부문에도 다소 활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생산부문에 있어서는 최근 10~11%선의 증가율속에 공급>수요구조 심화로 디플레이션 구조가 심화될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끝으로 향후 4~5년간 중국정부는 경제성장과 구조조정을 동시 추구하며, 특히 공공부문 투자확대 및 민간소비 촉진책을 적극 추진할 전망을보이고 있다
중국은 WTO가입을 계기로 유통업을 전면적으로 개방하고 있는데, 02年 12月이전에, 외국인투자 제조업체나 유통업체가 거의 모든 상품의 유통활동에 종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2004年 12月 11日이전까지 외국기업의 유통업 진출상의 지역, 업체수, 소유지분 제한을 철회활 방침을 내비추었다.
고도로 보호되어온 중국의 유통업이 크게 개방됨에 따라, 외국기업의 對中 무역ㆍ투자, 현지생산ㆍ유통등 비즈니스 전반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 제조업제는 그동안 기업의 가치산출 활동중 간접적으로 영위하던 유통부문을 직접 통제할 수 있게 되며, 종래 자체로 유통에 종사할수 없었기 때문에 중국 제조업체에 뒤졌던 경쟁력 부분을 만회할 수 있는 호기가 될 것이다.
또한, 무역ㆍ유통장벽의 완화 내지 취소로 인해, 외국기업은 \"무역진출\"과 \"투자진출\"사이에서 전략적인 선택과 결합을 모색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내 유통업계의 경쟁추세는 종래 가격경쟁 위주에서 규모, 상품, 서비스 경쟁으로 확산되고 있는데, 다국적 유통업체는 금융, 경영기법, 브랜드 등에서 비교우위를 지녀 경쟁력 확보에 유리하나, 기타 외국업체나 중국업체들은 나름대로의 비교우위를 찾아 경쟁력을 확보하는 일이 중대한 과제가 될 것이다.
또한, 중국이 세계적 \'저비용 생산기지\'로 부상한 가운데, 외국 유통업체들의 중국내 구매센터 운용도 활발해지고 있어, 2001년에 외국 유통업체들은 중국 수출액의 12%(약 320억달러)에 상당하는 저가 상품을 구매해 세계시장에 판매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가운데, 중국의 WTO가입과 관련해서 선진국이 가장 주목하고 있는 분야 中 하나는 역시 중국 유통 시장의 개방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은 가전등 2차 산업 부문은 어느 정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지만, 개혁 개방의 역사가 길지 않은 까닭에 유통, 서비스 등의 3차 산업은 아직까지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낙후한 수준에 있다. 이 때문에 중국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은 막대한 자원을 투자해 우수한제품을 생산하고서도,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춘 유통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내수시장 공략에 적잖은 어려움을 겪어왔다. 유통망을 개척하기 위해 지역의 대리상을 직접 찾아야 했으며, 전국의 대리상들을 관리하기 위해 분공사(分公司)나 영업소 조직을 운영해야 했다. 또한, 기존 유통업태의 이해하기 어려운 관행을 감수해야 했으며, 판매 부진에 대한 리스크는 온전히 제조업체의 몫이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유통산업의 변화추이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진출 해외기업에게는 반가운 뉴스이다. 기존의 보수적이고 지역 폐쇄적인 성향을 띤 유통업태의 체계가 조금씩 무너지고 있으며, 그 틈새로 대형할인점, 연쇄점등의 신유통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유통업체들은 일반적으로 중국의 기존 유통질서를 파괴하는 데에서 시장 개척의 실마리를 찾고 있기 때문에, 제조업체에 대해서 보수 유통업체보다 유리한 조건을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 유통시장의 변화와 신유통의 성장은 한국기업의 대중국전략에도 큰 의미를 가질 것이다. 이는 중국 초기진출시 기반 조성을 위해 특정 지역에만 국한된 영업 활동을 했던 과거의 추세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뜻하며, 만들어낸 제품을 유통에 얹는 것이 실질적인 마케팅활동으로 간주될 만큼 난해한 영업활동에서 조금은 벗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이와 같은 중국 신유통의 성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Ⅱ. 시장규모와 소득수준
1. 중국인의 특징
중국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그들의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있어야만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중국인은 예로부터 많은 특징을 가진 국민이었다.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자긍심이 매우 강하고, 제도보다는 인관 관계(
  • 가격3,2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07.11.30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9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