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건축(김수근 건축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물관 건축(김수근 건축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개요
1.박물관의 정의
2. 박물관의 기원과 역사
3. 박물관의 기능
4. 박물관의 분류(종류)
1) 박물관ㆍ미술관의 분류
2) 자료를 중심으로 하는 분류
5.박물관의 조직구성
6. 우리나라 박물관 현황
1) 우리나라 박물관의 연혁
2)우리나라의 박물관의 현황
7. 현대적 개념의 박물관과 그 의의

(2)배치계획
1. 미술관의 기능과 소요실
1) 박물관의 기능별 소요실
2) 소요면적
3)대지선정
2. 배치계획
1) 단일형식
2) 분동형식
3) 중정형식

(3) 평면계획
1. 관객공간의 요구사항
2. 관리 공간의 요구사항
3. 배실계획
1) 출입구
2) 주전시공간
3) 2층
4) 2층 이상의 층
5) 옥상
6) 지하층
4.전시공간의 구성
1) 계획의 기법
2) 전시공간의 개념과 공간분
5. 전시공간의 순회형식
1) 실 연속 순회형
2) 갤러리 및 코리더형
3) 중앙 홀형
6. 전시공간의 동선계획
1) 관람자 동선
2) 관리자 동선
3) 자료의 동선
4) 동선계획
7. 전시공간의 규모산정
1) 천장높이
2) 폭과 길이
8. 채광 및 조명계획
1) 조명 및 채광의 상관성
2) 광원의 위치
9. 기타제실
1) 강의실
2) 도서실
3) 식당, 다방, 휴게실
4) 보관격납실

(3) 전시계획
1. 전시계획의 기본조건
2. 전시의 구성 방법
3. 전시의 구성요소
4. 전시방법

(4)박물관 건축 사례 답사 및 분석
[국내 기존건축물의 답사 및 분석]
1. 국립부여박물관 구관(1965-1968)
1) 배치도
2) 평면계획
3) 단면계획
4) 부여박물관의 외형이 일본의 이미지와 가깝다는 것에 대한 비교분석
5) 성격 및 역사성
6) 주변성
7) 배치 및 건축 특성
8) 공간구성
9) 전시특성
10) 조형성
11) 근대적 자아와 전통문제
2. 국립청주박물관(1979-81)
1) 청주박물관 스켓치
2) 배치도
3) 정면도
4) 성격 및 역사성
5) 주변성
6) 배치 및 건축 특성
7) 공간구성
8) 전시특성
9) 조형성
10) 특별활동
[국외 건축물의 분석]
3. 루브르 박물관
1) 전경
2) 평면도
3) 루브르 박물관에 대한 설명
4) 루브르 박물관의 의의
5) 루브르 박물관의 연혁

(5)결론

본문내용

서관 및 문서관에 의해 경영되는 상설전시관,
② 일반 민중에게 공개되고 있는 사원˙궁전˙분묘 등의 보물류, 사적(史蹟)˙
유적˙자연경관 등과같은 역사적 기념물과 그 부속물,
③ 살아 있는 자료를 전시하고 있는 식물원˙동물원˙수족관(水族館)˙생태사육관
(生態飼育館) 및 그와 유사한 기관,
④ 자연보호 지구 등이 포함된다.
2. 박물관의 기원과 역사
박물관은 일상 생활 또는 종교에 기원을 두는 도구나 물건의 수집으로부터 생겨났다. 석기시대부터 원시인들은 이미 어떤 법칙에 따라 제작하거나 재구성한 물건을 자신의 주변에 모아 놓았는데, 이는 인간의 소유 본능의 형태를 바꾸어 놓은 것이다.
수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동굴에서 발견된 물건에 이어 고대 신전의 보물을 들 수 있다. 기도 드리기 위해 세워진 많은 건물들이 관광지가 되었고, 서로 그 부를 경쟁하게 되었 다.
고대 뮤제(muse)라는 신에게 바쳐진 신전(최초의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는 무제이온은 아테네의 헬리콘 언덕에 세워졌다)에는 기증물이나 상납물 또는 예술가에게 영감을 줄 만한 신에게 바치는 물건(델피에 잇는 아테네인들의 보물 등)들이 모아졌다. 그것들은 마치 재봉틀과 우산이 한 테이블 위에 우연히 놓은 경우처럼 방패, 성스런 유물, 비명(碑銘), 항아리, 조각, 보석, 왕관 등 미술적 기준이나 통일성은 없지만 박물관 수집품의 기원이 되고 있다.
또 기원전 3세기에 알렉산드리아에 세워진 뮤제온(museon)은 각 전문 분야의 혁신적인 철학자들의 전당으로서 박물관과 대학, 유명한 도서관, 동물원, 식물원 등이 있으며, 성직자에 의해 관리되었다.
로마의 박물관은 철학적인 토론을 위해 마련된 별장의 한 부분은 지칭하는 것이지만, 얼마 후 그리스를 정복한 로마 군대가 약탈품을 가지고 온 후 오늘알의 의미인 박물관이 등장한다.
무차별하게 또는 어떤 특정한 물건을 한도 없이 모아 들이는 수집가의 취미는 마치 까치나 까마귀, 매 같은 동물에서나 볼 수 있는 현상들이다. 이는 어린이의 대부분이 사춘기에 이르면 외부세계를 동경한다든지, 애정결핍으로 인한 불안감을 없애기 위해 수집에 몰두하는 것과도 같다.
문화재감정위원인 모리스 렝스에 따르면, \"수집이란 많은 경우 수집가의 콤플렉스 - 예를 들어 키가 작다든지 스위스처럼 작은 나라든지 유태인같이 소수파 종교에 속한다든지 - 를 메우는 것으로서, 이는 수집가를 크게 보이게 하고 가치를 부여하며, 또한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동시에 사회로부터 인정 받는 수단도 된다.
이러한 수집욕, 즉 진귀한 물건을 모으려는 열기로 인해 사람들은 값비싼 걸작품뿐만 아니라 단순한 물건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1973년 파리의 장식미술관에서 열린 \'컬렉션\'이란 제목의 전람회에는 구두나 성냥값, 조각한 호도와 같은 물건과 심지어 해안의 모래까지도 출품되었다.
최초의 고대 갤러리는 1471년에 한 로마 교황이 세운 카피톨 박물관이다. 그리하여 군주나 교회는 예술의 가장 큰 후원자가 되었다. 그들의 권위나 위신을 위해서 반드시 고명한 예술가에게 그들의 영광을 과시하는 것이다. 프랑수아 1세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퐁텐블로 궁에 초청했고, 루이 14세는 르 브룅과 같이 베르사유 궁의 건립을 구상했다.
이런 것들이 미술관 또는 자연사박물관의 효시가 되었다. 루이 13세의 식물원은 다른 범주에 속하지만, 역사박물관은 당시 성안의 저명인들의 초상화를 수집, 전시하는 갤러리와 함께 등장한다.
교육을 목적으로 한 최초의 박물관이 1683년 옥스퍼드에 등장한다. 이것이 앗슈몰리언(Ashmolean) 미술관으로서 전시공간과 함께 도서관과 연구소가 부설되었다. 당시 이러한 목적으로 만든 미술관의 규칙이나 카탈로그가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18세기말에 일어나 프랑스 혁명의 결과 내셔널리즘이 대두되어 이들의 값진 물물은 특정 권력자의 소유물이라기보다 국민 전체의 소유물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후로부터 수장품은 문화유산, 문화재라는 개념으로 바뀌게 된다.
그런데 명품의 대부분은 진영을 옮겨 다닌 전리품들이다. 대부분의 프랑스 미술관에는 나폴레옹이 개선할 때 가지고 온 이탈리아 또는 스페인의 수집품이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는데, 당시의 예술작품은 병사들이 파리를 개선 행진할 때 전리품으로 자랑하고 다녔던 물건이 아니었을까? 대영박물관은 의회의 입법으로 1753년부터 일반에게 공개되었다. 프랑스에서는 국민의회에 의해 1793년 루브르 미술관과 프랑스 기념물박물관이, 1794년에는 미술공예학교와 자연사박물관이 설립되었다.
이미 19세기 초에 유럽 대도시에는 대형 종합박물관이 건립되었다. 파리에는 루브르 박물관, 상트페테르부르크에는 19세기 최후의 대미술관인 누벨 에르미타주(1859)와 함께 런던의 대영박물관, 베를린에는 일 데 뮤제박물관(1828), 뮌휀에 피나코테크 미술관이 설립되었다. 프랑스에서는 나폴레옹이 1807년 브뤼셀 왕립미술관, 1808년 암스테르담 왕립미술관을 세운 다음, 1815년 칙령에 의해 국고 귀속 문화재를 지방의 30개 미술관에 배치했다.
이때부터 수집품은 단지 개인의 위신을 세우기 위한 도구나 오락의 수단이 아니라는 거이 실증되었다. 수집품들은 연구와 감정을 거쳐 국민의 요망에 따라 교육이나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중요한 자료로 기여하게 되었다.
스칸디나비아 제국에서는 1870년 이후 자연을 즐기는 취향에서 야외박물관이 발달하였다. 최초이자 가장 유명한 것은 스톡홀롬의 스칸센 공원이다. 1891년에 조성된 이 공원은 노르딕 박물관을 개편한 것인데, 동물원, 식물원, 연못, 가옥 및 전통가옥을 옮겨 만든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스웨덴이나 그 주변의 나라에는 자연 그대로를 보여주는 야외박물관이 400군데 이상이나 된다. 프랑스에서는 자신들의 문화적 동일성의 선양을 위하여 1896년 미스트랄에 최초의 향토박물관이 만들어졌다. 이는 \'아를르인들을 위한, 그리고 살아 있는 생활사박물관\'으로서 노벨상을 수상한 시인의 상금을 재원으로 하여 세워졌다. 또, 1922년에는 바이욘에 바스크 박물관이 설립되었다.
다른 분야에는 이론과학이나 기술이 있는데 그 중 가장 관심을 끄는 곳이
  • 가격3,500
  • 페이지수54페이지
  • 등록일2007.12.04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3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