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비율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무비율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재무비율분석
(1) 건전성
(2) 유동성
(3) 수익성
(4) 상환력
(5) 성장성

본문내용

1. 재무비율분석
재무비율분석이란 재무비율 중 명확한 경제적 의미를 갖는 비율을 몇 가지 범주로 그룹핑 하여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1) 건전성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기업의 안전성도 추구해야 될 때가 왔습니다. 다음과 같은 지표들은 기업의 건전성을 알아보는 대표적인 지표이므로 이를 참조하면 기업신뢰도 및 자산건전성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구분
산출값
순위비교
중간위치값

단위
순위
비율(%)

단위
자기자본비율
36.93
%
182/434
41.9
33.05
%
부채비율
107.77
%
182/434
41.9
202.53
%
고정비율
134.58
%
181/434
41.7
160.75
%
고정장기적합률
94.25
%
183/434
42.2
104.3
%
차입금의존도
1.09
%
59/434
13.6
28.75
%
단기차입금비율
23.29
%
88/434
20.3
28.75
%
① 자기자본비율
국내에서는 보통 BIS 자기자본비율을 줄여서 말하기도 하는데, 기업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일반적인 기준은 50% 내외이며, 그 이상이 되거나 100%를 넘어가면 우량 기업으로 간주합니다.
산출값 = 자기자본 43,780,186,782 / 총자산 118,543,863,767
= 36.93%
② 부채비율
기업에 장기자금을 제공한 채권자들은 부채비율에 관심이 많으며, 기업이 청산되거나 기타 심각한 재무적 곤경에 빠졌을 때 비교적 더 많은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 특히 낮은 부채 비율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부채액은 적어도 자기자본액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가 이상적입니다.
산출값 = 총부채 74,763,676,985/ 자기자본 43,780,186,782
= 170.77%
③ 고정비율
자본의 유동성을 나태내는 것으로, 100% 이하이면 자기자본의 일부가 유동자산을 마련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100% 이상이면 고정자산의 일부를 차입자본으로 조달되고 있음을 뜻합니다.
산출값 = 고정자산 59,057,759,135 / 자기자본 43,780,186,782
= 134.58%
④ 고정장기적합률
장기자본금 100에 대해서 고정자산이 몇 %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표시하는 비율이며, 자본배분의 안정성을 측정, 판단하는 보완비율로 이용됩니다.
산출값 = 고정자산 59,057,759,135 / 장기자본(자기자본+고정부채) 62,510,857,546
= 94.25%
(2) 유동성
기업의 유동성은, 넓은 뜻으로는 기업이 화폐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좁은 뜻으로는 채무지불이나 변제시기에 맞추어 현금을 비롯한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기업의 유동성이 문제가 되는 것은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결국 자본을 유용하게 활용하지 못함으로써 기업의 수익성을 떨어뜨리고, 유동성이 충분하지 못하면 경영 과정에 큰 장애를 가져와 지급불능이나 파산단계에 이르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유동성은 항상 시장 상황에 맞게 유지해야 합니다.
구분
산출값
순위비교
중간위치값

단위
순위
비율(%)

단위
유동비율
106.16
%
182/434
41.7
92.14
%
당좌비율
95.37
%
182/434
34.1
72.06
%
영업비용방어기간
97

183/434
47
95.75

① 유동비율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유동자산에는 현금, 예금, 그리고 단기투자로 매입한 시장성유가증권, 외상매출금, 재고자산 및 선급금 등과 같이 12개월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자산이 포함됩니다. 유동부채에는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장기차입금, 그리고 여러 가지 미지급비용 등과 같이 12개월 이내에 지급해야 하는 재무적 의무가 포함됩니다.
산출값 = 유동자산 59,486,104,632 / 유동부채 56,033,006,221
= 106.16%
② 당좌비율
산성시험비율(acid test ratio)이라고도 불리며, 유동비율보다 더 엄격한 유동성 측정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 항목의 유동자산 중에서 재고자산이 가장 유동성이 낮으며, 특히 산업별로 유동성이 현저히 떨지는 경우도 많아 그러한 산업에 속하고 있는 기업의 유동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앞서 논의된 유동비율보다는 당좌비율을 사용해야 합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2.0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