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폴로산업 재무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폴로산업 재무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재무비율분석
(1) 건전성
① 자기자본비율
② 부채비율
③ 고정비율
④ 고정장기적합률
(2) 유동성
① 유동비율
② 당좌비율
③ 영업비용방어기간
(3) 수익성
① ROA(Return On Assets)
② ROE(Return On Equity)
③ROS(Return On Sales)
④ 수지비율
(4) 상환력
① 이자보상비율
② 상환계수
③ 금융비용부담률
(5) 성장성
① 총자본증가율
② 자기자본증가율
③ 매출액증가율
④ 순이익증가율
⑤ 차입금증가율
⑥ 금융비용증가율
(6) 활동성
① 총자본회전율
② 자기자본회전율
③ 매출채권회전율
④ 매입채무회전율
⑤ 재고자산회전율

2. 기업체 종합평가표
(1) 재무상태
(2) 사업현황 및 전망

3. 장래경영성과의 추정 (Z-score)
4. 개선
(1) 수익성 개선방안
(2) 성장성 개선방안

본문내용

아 건전성이 낮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② 부채비율
기업에 장기자금을 제공한 채권자들은 부채비율에 관심이 많으며, 기업이 청산되거나 기타 심각한 재무적 곤경에 빠졌을 때 비교적 더 많은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 특히 낮은 부채 비율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부채액은 적어도 자기자본액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가 이상적입니다.
산출값 = 총부채 74,763,676,985/ 자기자본 43,780,186,782
= 170.77%
( 삼성전자 부채비율 = 33.28% )
☞ 100% 이하가 이상적이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렇지 못합니다. 실제로 1997년 IMF 때는 부채비율 200% 만들기 운동을 할 만큼 부채비율이 높았습니다.
(주)아폴로산업의 부채비율이 170.7%라는 것은 기업청산의 가정시 채권자에게 70.7% 만큼상환할 수 없음을 말합니다. 이것은 수치상으로는 100%를 초과하기 때문에 재무구조가 불건전하여 지불능력에 문제가 되어 보이지만, 동종산업평균에 비해서는 높지 않기 때문에 재무구조가 불건전하여 건전성이 낮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주) 아폴로산업의 부채비율을 다르게 해석하면 소유주들이 투자한 1원에 대해서 채권자들의 돈을 1.707원 만큼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동종산업평균 보다는 낮으므로 이 회사에 자금을 제공한 채권자들은 동종산업평균 보다 더 적은 위험을 부담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③ 고정비율
자본의 유동성을 나태내는 것으로, 100% 이하이면 자기자본의 일부가 유동자산을 마련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100% 이상이면 고정자산의 일부를 차입자본으로 조달되고 있음을 뜻합니다.
산출값 = 고정자산 59,057,759,135 / 자기자본 43,780,186,782
= 134.58%
( 삼성전자 고정비율 = 87.44% )
☞ (주)아폴로산업의 고정비율이 134.58%라는 것은 고정자산의 취득시 34.58% 만큼 차입금으로 조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것은 수치상으로는 100%를 초과하기 때문에 재무유동성의 안전성이 낮게 되어 보이지만, 동종산업평균에 비해서는 높지 않기 때문에 재무유동성의 안전성이 낮아 건전성이 낮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④ 고정장기적합률
장기자본금 100에 대해서 고정자산이 몇 %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표시하는 비율이며, 자본배분의 안정성을 측정, 판단하는 보완비율로 이용됩니다.
산출값 = 고정자산 59,057,759,135 / 장기자본(자기자본+고정부채) 62,510,857,546
= 94.25%
( 삼성전자 고정장기적합률 = 85.70 )
☞ 고정장기적합률의 동종산업평균은 104.3% 입니다. 즉, 장기자본금 100에 대해서 고정자산이 104.3% (100%초과)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수치상으로는 기업의 재무유동성에 압박을 가하게 되어, 기업재무상 자본배분의 안전성이 낮게 됩니다.
(주)아폴로산업의 고정장기적합률은 94.25% (100%이하)이므로 재무유동성에 압박을 가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기업재무상 자본배분의 안정성은 비교적 양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주)아폴로산업의 자기자본비율, 부채비율, 고정비율, 고정장기 적합률, 차입금 의존도,단기차입금 비율을 동종산업평균과 비교,분석해 보았을 때 건전성이 비교적 양호한 편입니다.
(2) 유동성
기업의 유동성은, 넓은 뜻으로는 기업이 화폐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좁은 뜻으로는 채무지불이나 변제시기에 맞추어 현금을 비롯한 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합니다. 기업의 유동성이 문제가 되는 것은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으면 결국 자본을 유용하게 활용하지 못함으로써 기업의 수익성을 떨어뜨리고, 유동성이 충분하지 못하면 경영 과정에 큰 장애를 가져와 지급불능이나 파산단계에 이르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업의 유동성은 항상 시장 상황에 맞게 유지해야 합니다.
구분
산출값
순위비교
중간위치값

단위
순위
비율(%)

단위
유동비율
106.16
%
182/434
41.7
92.14
%
당좌비율
95.37
%
182/434
34.1
72.06
%
영업비용방어기간
97

183/434
47
95.75

① 유동비율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유동자산에는 현금, 예금, 그리고 단기투자로 매입한 시장성유가증권, 외상매출금, 재고자산 및 선급금 등과 같이 12개월 이내에 현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자산이 포함됩니다. 유동부채에는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하는 장기차입금, 그리고 여러 가지 미지급비용 등과 같이 12개월 이내에 지급해야 하는 재무적 의무가 포함됩니다.
산출값 = 유동자산 59,486,104,632 / 유동부채 56,033,006,221
= 106.16%
( 삼성전자 유동비율 = 146.68% )
☞ (주)아폴로산업의 유동비율은 1.06으로서, 유동자산의 규모가 유동부채에 비하여 약 1.06배 정도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은 보유하고 있는 유동자산을 가지고 단기채권자들의 청구권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유동자산의 각 1원이 최소한 현금 0.94원(=1.00원/1.06)으로 전환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더욱이 동종산업평균보다 높으므로 이 기업에 단기자금을 제공하고 있는 단기채권자들의 채권이 잘 보호되고 있어 유동성이 비교적 양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기업의 유동비율이 큰 이유중에 하나는 ‘건전성’에서 살펴 본 단기차입금 비율이 낮기 때문입니다. (유동비율이 커질려면 유동자산이 증대되거나, 유동부채가 감소하여야 한다.)
(*해당 기업의 유동성에 과연 문제가 있는가를 확실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보다 심층적인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입니다.)
② 당좌비율
산성시험비율(acid test ratio)이라고도 불리며, 유동비율보다 더 엄격한 유동성 측정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 항목의 유동자산 중에서 재고자산이 가장 유동성이 낮으며, 특히 산업별로 유동성이 현저히 떨지는 경우도 많아 그러한 산업에 속하고 있는 기업의 유동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려면 앞서 논의된 유동비율보다는 당좌비율을 사용해야 합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7.12.0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