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수치해석
2. 1층 라멘구조시스템
3. 3층 라멘구조시스템
결론
본론
1. 수치해석
2. 1층 라멘구조시스템
3. 3층 라멘구조시스템
결론
본문내용
때의 지점부와 3층라멘모서리에서의 응력-변형률관계도는 그림 15와 그림 16에 나타났으며 1층과 2층의 라멘모서리에서의 응력-변형률관계도 그림 16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소성화가 더욱 심함을 관찰할 수 있다.
3.결론
특정한 고유진동주기를 가진 1층 및 3층구조시스템에 진동파하중을 입력시키고 시간력해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층라멘구조시스템에서 탄성범위내에서의 구조물의 거동은 구조물의 고유진동주기와 진동파의 주기가 일치할때인 1.1초에서 공명과 유사한 현상을 나타내고 최대변위가 발생하지만, 탄소성해석결과로부터는 실질적으로 지점부와 라멘모서리 모두에 항복응력을 발생시키는 진동파의 주기인 0.7초일때부터 구조물자체의 강성의 감소로 구조물 본래의 기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즉 구조물의 실제 거동은 탄성해석결과에서 나타난 공명진동주기인 1.1초이전에 붕괴시스템에 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3층라멘구조시스템에서 탄성해석결과로부터의 구조물의 거동은 1층구조와 마찬가지로 구조물의 고유진동주기 T=2.4초와 일치하는 진동파의 주기인 2.4초일때 3층에서 최대변위를 나타내었다. 탄소성해석결과도 1층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진동파주기의 증가에 따라 전반적으로 각 층의 최대변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점부 및 1층, 2층, 3층에서 전체적으로 항복응력을 발생시키는 진동파의 주기는 3초이후부터이고 3.3초의 진동파주기에서 구조물의 강성이 현저하게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결과는 1층구조에서의 탄소성결과와는 달리 구조물의 고유진동주기이후 붕괴시스템에 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3.결론
특정한 고유진동주기를 가진 1층 및 3층구조시스템에 진동파하중을 입력시키고 시간력해석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층라멘구조시스템에서 탄성범위내에서의 구조물의 거동은 구조물의 고유진동주기와 진동파의 주기가 일치할때인 1.1초에서 공명과 유사한 현상을 나타내고 최대변위가 발생하지만, 탄소성해석결과로부터는 실질적으로 지점부와 라멘모서리 모두에 항복응력을 발생시키는 진동파의 주기인 0.7초일때부터 구조물자체의 강성의 감소로 구조물 본래의 기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즉 구조물의 실제 거동은 탄성해석결과에서 나타난 공명진동주기인 1.1초이전에 붕괴시스템에 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 3층라멘구조시스템에서 탄성해석결과로부터의 구조물의 거동은 1층구조와 마찬가지로 구조물의 고유진동주기 T=2.4초와 일치하는 진동파의 주기인 2.4초일때 3층에서 최대변위를 나타내었다. 탄소성해석결과도 1층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진동파주기의 증가에 따라 전반적으로 각 층의 최대변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점부 및 1층, 2층, 3층에서 전체적으로 항복응력을 발생시키는 진동파의 주기는 3초이후부터이고 3.3초의 진동파주기에서 구조물의 강성이 현저하게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결과는 1층구조에서의 탄소성결과와는 달리 구조물의 고유진동주기이후 붕괴시스템에 도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