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깨달음의 세계에 이르는 깊고 심오한 선종의 사상을 담고 있다. 그 열 단계의 과정을 다시 정리해보면 '심우'는 불도의 깨달음을 얻으려는 마음을 일으키는 발보리심(發菩提心)을 나타내고, '견적'에서 '기우귀가'까지는 수행의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반본환원'은 열반의 경지에 진입하는 모습을, '입전수수'는 깨달음을 얻은 뒤에 중생을 제도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3. 결론
종교를 널리 보급하는데 있어서 그림이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기독교에서는 성화가 널리 그려지고, 불교에서는 여러 가지 탱화가 발전하게 된 것이다. 특히 위의 '심우도' 같은 경우는 불교의 교리를 말하고 있는 일정한 줄거리를 가진 그림으로서 경전의 내용을 그리는 변상도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변상도로 인해서 글자를 모르는 서민들에게 까지 깨달음을 얻는 방법을 전파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건물의 외벽에 그려진 이러한 그림들은 사찰을 방문하는 신도들에게 수행 방법을 알기 쉽게 설명함으로서 불심을 일깨우게 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이 과제는 나로 하여금 그 내막을 잘 알지 못하고 지나치던 그림들을 바로 보는 계기가 되게 하였으며, 이로써 불교의 진리 공부에 대해 한걸음 더 나아가게 하였다.
※참고문헌
[설악불교 창간호 1997년.1,2월호]
권영한,『재미있는 우리 사찰의 벽화 이야기』, 전원문화사, 1998.
허균, 『사찰 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돌베개, 2000.
※참고자료
네이버 백과사전 http://www.naver.com
불교신문 http://www.buddhistnews.net
3. 결론
종교를 널리 보급하는데 있어서 그림이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기독교에서는 성화가 널리 그려지고, 불교에서는 여러 가지 탱화가 발전하게 된 것이다. 특히 위의 '심우도' 같은 경우는 불교의 교리를 말하고 있는 일정한 줄거리를 가진 그림으로서 경전의 내용을 그리는 변상도라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변상도로 인해서 글자를 모르는 서민들에게 까지 깨달음을 얻는 방법을 전파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특히 건물의 외벽에 그려진 이러한 그림들은 사찰을 방문하는 신도들에게 수행 방법을 알기 쉽게 설명함으로서 불심을 일깨우게 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이 과제는 나로 하여금 그 내막을 잘 알지 못하고 지나치던 그림들을 바로 보는 계기가 되게 하였으며, 이로써 불교의 진리 공부에 대해 한걸음 더 나아가게 하였다.
※참고문헌
[설악불교 창간호 1997년.1,2월호]
권영한,『재미있는 우리 사찰의 벽화 이야기』, 전원문화사, 1998.
허균, 『사찰 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돌베개, 2000.
※참고자료
네이버 백과사전 http://www.naver.com
불교신문 http://www.buddhist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