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관련 질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서로 면역조절 작용을 나타낸다 (immunoregulatory influences).
직접적인 결합 (수용체와 수용체간의 결합)
시토키닌(cytokine)에 의한 결합 ( cytokien 수용체와 cytokine의 결합)
2) cytokine의 작용
activating or attracting specific types of leukocytes,
(백혈구의 활동 또는 유도하는 특별한 형태)
regulating cell division,
(규칙적인 세포 분화)
modulating the production or actions of other cytokines,
(생산물 조정 혹은 다른 시토키닌의 활동)
directing certain cells to switch the types of proteins that they produce,
influencing the production of cellular or humoral immunity.
(세포 생산물의 영향력 혹은 사람 면역력)
1.8) 보체계 (The Complement System)
1) inactive circulating glycoproteins
(불활성화된 순환하는 당단백질)
activated by antigen-antibody (IgG or IgM) complexes or bacterial products
(항원-항체 복합체에 의한 활동 혹은 박테리아 생산물)
enhance inflammation or to attack cellular membranes.
(세포의 원형질막 공격이나 염증의 강화)
2) 보체의 기능
세균의 살해
식균작용증가
항원의 청소
염증반응의 유도
(2) 각종 면역 반응과 그와 관련된 질환
2.1) 조직이식에 대한 면역반응 (Immunity to Tissue Transplant)
이식된 조직의 거부는 수용부의 면역계가 이식조직(graft)에 나타나는 (외부의 조적적합성 항체)foreign histocompatibility antigen을 인식하고 반응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Histocompatibility antigen은 아주 중요한 것으로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에 의해 암호화된 것들이다. T lymphocyte는 foreign MHC 분자에 대해 직접적으로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다. 활성화된 T-helper 세포는 graft를 파괴하는 여러 다양한 effector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lymphokine(림포카인)을 만든다.
Lymphokine 또한 graft에 작용하여 MHC 분자와 결합 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graft를 거부반응에 더 민감하게 만든다. 조직 거부반응은 공여부와 수용부의 MHC 분자, 특히 2급 MHC 분자를 matching 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비특이성 면역억제제는 이식 거부반응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감염에 대한 저항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앞으로는 특이성 면역억제제가 이식 거부를 일으키는 lymphocyte clone만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2.2) 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
2.2.1) 과민반응의 정의
- 특이적 면역반응 (specific immunity)은 특정한 미생물이나 외부 항원만을 인식하여 제거한다
: specific lymphocytes receptor(특이적인 림프구 수용체)
- 항원 인식 결과 유도된 면역반응의 작용기 (effector mechanism)는 항원을 제거한다
: 보체(complements), 식세포(phagocytes), 염증을 일으키는 세포(inflammatory cells),
시토키인(cytokines)
- 일반적으로 이들 면역작용기들은 항원 비특이적이여서, 그 반응이 적절하게 나타나지 않으면 국소적인 또는 전신적인 정상조직의 손상을 유발
2.2.2) 과민반응의 원인
1) 제 1형 과민반응 (급성과민반응 또는 allergy 반응)
- 비만세포나 basophil에 결합되어 잇는 IgE 급의 항체에 의하여 유도되는 반응
: IgE 항체에 항원이 결합하게 되면, 여러 가지의 생리활성 물질이 분비되어, 혈관확장, 혈관의 침투성의 증가, 평활근 수축, 염증반응 등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화는 항원 (allergen, Table 16.1)이 들어온 지 한 시간 이내에 나타난다.
따라서, 즉각적 과민반응 (immediate hypersensitivity)
- immediate hypersensitivity(즉시성 과민증)이 강하게 전신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 anaphylaxis(아나필락시스)
: 질식과 순환계 이상으로 사망
- immediate hypersensitivity가 항원에 노출된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지 않고, 특정한 사람에게만 잘 나타나는 경우
: 알레르기 (알러지,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반응의 결과 소화기 근육과 호흡기 근육의 수축이 유도되어, 침투한 기생충이나 미생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고자 하는 과정이다.
2) 제 2형 과민반응 (IgG과 IgM에 의한 세포독성 과민반응)
- IgG와 IgM 급의 항체에 의한 세포 독성결과 발생
: complement mediated lysis (보체 매개적인 용해)
: inflammatory cell의 모집과 활성화
: antibody coated cell의 식균작용에 의한 파괴 (opsonization)
: NK cell에 의한 antibody-coated cell의 파괴 (ADCC)
3) 제 3형 과민반응 (면역복합체에 의한 과민반응)
a) C. von Pirquet
- 말에서 얻은 diphtheria antitoxin(디프테리아 항독소)으로 디프테리아 환자를 주사한 결과
: 관절염(arthritis), skin rash, 열등이 발생
- 같은 증상이 non-immune horse serum을 주사하였을 때도 발생하였으며
- 반복된 주사결과 증세가 악화
: 혈청병 (serum disease 또는 serum sickness)
b) arthus reaction
국소적인 혈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12.1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2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