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업의 현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택배업의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제 1장. 택배업의개요
1. 택배업의 개념
2. 탄생배경
3. 택배회사의 특징

본 론
제 2장. 택배회사들의 특징
1. 현대택배
2. 한진택배
3. 대한통운
4. CJ 택배
5. 종합 현황
제 3장. 택배업의 현황
1. 매출실적
2. 물동량 점유율
3. 성장율
4. 화물비율
5. 물류실태조사

결 론
제 4장. 택배업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
1. 택배업의 문제점
2. 택배업의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아 부어야 했다”며 “트럭 1대에 박스 하나를 싣고 원주에서 강릉까지 배송 간 적도 있다”고 말했다.
올해 한진은 5000만~6000만 박스의 택배물량을 예상하고 있다. 14년 전과 비교해 60배나 규모가 늘었다. 서비스 질도 보다 세밀해졌다.
“고객만족 100%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가 추가. 보완되고 있다.
익일. 정확한 배송을 위해 한진은 GIS(지리정보체계), GPS(지리정보.위성항법 시스템), 라우팅 시스템 적용, 실시간 데이터 입력과 조회가 가능한 PDA운영.구축 등으로 편리성을 높였다.
지난해 9월부터는 “실시간 물류 정보 전달 시스템”을 구축.가동해 상품이 배달되는 위치.도착시간을 이용자에게 바로 알려주고 한명에게 배달되는 상품이 여러 개인 경우 배달 경로를 최적화해 한번에 배달 배달 사원은 최단배송 거리 경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서울. 수도권 배달 사원이 1000여명에게는 통신과 GPS기능을 갖춘 개인휴대단말기(PDA)를 지급했다.
지난해 11월에는 KTX(한국고속철도)와 제휴해 서울.대전.동대구.부산 등 5개 지역을 대상으로 “당일택배”서비스를 실시, 올해 7월 1일부터는 국제택배 수입화물의 “서울지역 당일배송”을 시작했다.
국제택배의 당일 배송을 위해 한진은 서울 구로.서초.답십리.김포 4개 터미널에 국제택배 전담 인원과 TU틀 차량을 배치, 25개 전 지역구에 당일배송 체제를 구축했다.
또한 고객들이 인터넷으로 국제택배 배송 조회를 할 수 있도록 배송조회시스템인 “이한엑스”를 보완. 개선해 올해 말까지 일산. 분당 등 수도권 일부지역까지 국제 택배 당일 배송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한진은 업계최초로 “현금영수증”을 발급, 인터넷 접수로 발생한 택배 매출 수익 중 1%는 사회복지 시설에 기부하고 있다.
3.대한통운
- 원스톱 서비스로 해외시장 공략
- 기업들에게 물류컨설팅과 통합물류서비스 제공
대한통운은 물류사업 전반에 걸쳐 깊은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하역. 운송. 보관의 전 물류 과정을 자체 인프라와 전문 인력으로 처리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실시, 기업의 물류비용과 리드타임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1만1000여대의 화물차량, 중장비 등을 보유한 국내 최대 직영장비 업체로 “돌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합물류기업 인증 기업으로 선정된 후, 대한통운은 기업들로부터의 제3자 물류관련 문의가 크게 늘었다. 하역. 운송. 보관. 택배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TPL(제3자물류)사업본부“가 기업의 물류컨설팅과 통합물류서비스를 전담한다.
이와 관련해 대한통운은 최근 GM대우의 자동차 수출기지인 “NEW KD(반제품)센터”에서의 포장. 선적 운영업무를 맡았다. KD센터의 운영이 본궤도에 오르는 2007년 이후에는 120억원의 수입이 예상된다. 또한 한국암웨이와도 포장. 보관. 전국배송. 매장관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130억원 상당의 계약을 맺었다.
대한통운은 페덱스,일본통운 등의 글로벌 물류기업들은 물류과정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원스톱“체계가 잘 갖춰져 있고, 해외 네트워크가 탄탄하다며 대한통운도 글로벌 물류기업을 목표로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4. CJ 택배
- 고객입맞 딱딱 맞춘 세심한 서비스
- HTH 인수로 국내 최대 영업망 확보
CJ택배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최근 삼성물산 계열 택배회사인 HTH를 인수해 택배물류업체 1위 기업 규모를 갖췄다. 본격적으로 택배사업을 시작한 것은 2000년, 차별화된 틈새 전략이 급성장을 이뤄냈다.
진출 초기부터 개인 고객보다는 기업고객을 개척, 인터넷 쇼핑몰과 무점포 유통점 유치에 성공하며 빠르게 시장을 장악했다.
운도 따랐다. 2000년 CJ그룹의 CJ홈쇼핑 인수로 계열사의 택배를 대행하며 매출 성장을 이뤘고, IT붐으로 인터넷 쇼핑몰 택배 물량이 급증했다.
CJ는 기존 3자 물류의 전국 네트워크를 활용해 배달망 구축 초기 비요을 줄였고, 대신 2000년부터 매년 100억원이상을 IT부분에 투자해 IT역량과 서비스개발, 인력 육성에 집중했다. 그 결과 2001년 자체 택배시스템인 “통합택배시스템”을 구축, 2003년에는 택배물류사 최초로 “넬스 시리즈“라는 택배솔루션을 개발. 판매 했다.
넬스 시리즈는 CJ가 고객사의 물류를 대행하면서 축적 한 운영노하우와 고객사들의 요구사항을 접목시켜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해결한 제품이다. 배차 시스템을 자동화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넬스 TMS 시스템과 창고관리용 시스템인 넬스 WMS를 상품화 했다. 판매 첫해에 10억 이상의 판매효과과 고객사 유치에 성공하며 택배 노하우와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고객만족 서비스도 다양해 졌다.
택배 방문 예정시간을 휴대폰 문자메시지로 알려주는 SMS서비스를 2003년부터 실시. 반품시에도 문자메시지로 알려준다. 고객의 불편사항이나 불만을 홈페이지에 접수하면 해당 지역 영업사원 휴대폰에 바로 전송돼, 30분 내로 불만을 해결하는 “바로바로 서비스”도 인기다. 이외에도 엔젤서비스, 홈쇼핑 전담영업소, “365일 택배서비스”등을 실시하며 다양한 고객의 입맛을 맞추고 있다.
5. 종합현황
올해 택배시장 규모는 5조원대. 전문가들은 택배산업의 고성장세는 향후 몇 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동시에 화려한 잔치에서 웃을 수 있는 기업은 2~3개 불과하다고 경고한다.
현 대
한 진
대한통운
우 체 국
CJ+HTH
매 출
1347억
1147억
1039억
867억
1262억
물 량
4453만 박스
4053만 박스
3636만 박스
2833만 건수
7175만 박스
영 업 망
550여개
400여개
450여개
3800여개
700여개
터미널수
-
50여개
-
-
70여개
3장. 택배업의 현황
1. 매출실적
현대택배가 택배업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각 사가 공개한 상반기 택배사들의 영업실적에서 현대택배는 매출액 1347억억원, 으로 1위를 달렸다. 한때 경쟁사들의 거센 도전에 주춤하는 모습을 보인 바 있는 현대택배로는 한숨을 돌린 셈. 특히 2위 한진과의 격차도 10%선을 유지, 1위 수성에 당분간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택배를 맹렬히 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12.20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5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