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와 전자매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와 전자매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A. 유아와 텔레비전
1. 텔레비전 시청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a. 긍정적 입장
b. 부정적 입장
2. 유아의 텔레비전 시청 형태
3. 유아의 텔레비전 시청 지도
B. 유아와 컴퓨터
1. 컴퓨터 활동이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a. 긍정적 입장
b. 부정적 입장
2. 유아의 컴퓨터 활동 지도
a. 모범적인 컴퓨터 사용
b. 유해 정보로부터 유아 보호
c. 좋은 컴퓨터 활동 안내


Ⅲ. 결 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한 낯선 사람과는 이야기하지 않기, 필요 없는 곳을 계속해서 옮겨 다니지 않기, 인터넷에 있는 거짓 정보의 존재가능성 인식, 개인정보 보호, 보호자에게 항상 문의하기 등이 있다.
정보들 가운데는 거짓이거나 엽기적인 정보들이 있는데, 이러한 정보는 유아들에게 오개념을 형성하거나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게 하므로 정보통신윤리위원회(http://www.icec.or.kr), 학부모정보감시단(http://www.cyberparents.or.kr), 맑은인터넷만들기(http://www.webclean21.org),인터넷내용등급서비tm(http://www.safene
t.ne.kr), 클린웹(http://www.cleanweb.co.kr) 등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차단프로그램 등을 통해 차단하거나 관심을 돌리도록 유도한다. 한동안은 유아의 메일 계정을 부모가 미리 로그인하여 관리해주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파일을 함부로 다운받지 않도록 유의시키고, 바이러스 점검을 정기적으로 하여 컴퓨터를 보호한다.
c. 좋은 컴퓨터 활동 안내
유해정보를 피하는 수준의 소극적인 대응과 아울러 유아교육 사이트의 링크를 통해 유아들이 쉽게 온라인 교재에 접근하도록 도와주어(황해익 외, 2001) 유해정보에 노출을 피할 수 있다. 검색엔진도 쥬니어네이버(http://jr.naver.com), 야후꾸러기(http://kr.kids.yahoo.com) 등 어린이 학습용 검색엔진을 권장하여 안전한 곳에서의 웹서핑을 제시하는 방법이 있다.
부모는 유아들이 접속하는 사이트들에 대한 평가자로서의 역할도 감당해야 한다. 인터넷 사이트 평가는 전문가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실질적 정보의 수요자인 교사나 부모 등 유아와 직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활동을 지도하는 성인들이 사이트를 평가하여야 한다. 그 결과로 좋은 사이트로 평가된 사이트들을 유아에게 소개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강신영(2000)은 유아교육과 관련된 사이트를 평가할 준거를 제안하면서 좋은 사이트의 특징을 네 가지로 요약하였다. 첫째, 사이트에는 활용 가능한 최신의 정보가 풍부해야 한다. 사이트 내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기가 쉬워야 하며, 관련된 정보가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어야 좋은 사이트이다. 둘째, 정보는 사용자로 이전이 쉬워야 한다.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종이에 출력해서 사용하기 쉽도록 구성한 사이트가 좋은 사이트이다. 셋째, 사용자는 일반적인 정보나 책에서 접할 수 있는 정보보다는 전문가가 답하는 최신의 정보를 얻기 위해 사이트를 방문하므로 상호작용성을 확보하여 사용자가 전문가와 직접적으로 의사소통할 통로가 제공되는 사이트가 좋은 사이트이다. 넷째, 정보의 전달에 가장 효율적인 색상과 배치를 사용하여 구성된 사이트가 좋은 사이트이다.
끝으로, 유아들의 신체적 발달에 주는 지장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아에게 맞는 컴퓨터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성인의 크기에 맞게 제작된 가구에서 오랜 시간 컴퓨터 활동을 하는 유아는 신체적으로 무리를 받게 되고, 반복성 스트레스 손상 증후군(RSI), VDT 증후군, 척추 굽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주영주, 이광희, 2001; 황해익 외, 2001). 컴퓨터 책상의 높이는 키보드가 복부와 같은 높이가 되는 것이 적당하며, 의자는 발바닥이 바닥에, 등은 등받이에 닿도록 조절한다. 팔꿈치를 옆구리에 붙이고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거리를 두며, 특정부위에 피로가 누적되지 않도록 해 준다. 조명은 컴퓨터의 화면과 비슷한 밝기를 유지하며, 바탕화면의 색은 피로감이 덜한 색상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여성조선, 2003. 2).
Ⅲ. 결 론
지금까지 텔레비전과 컴퓨터가 유아와 어떤 관련성을 가지며 유아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긍정적인 입장과 부정적인 입장으로 나누어서 알아보았다. 또 이러한 전자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보았다.
아마 지금 이순간에도 텔레비전과 비디오, 컴퓨터와 같은 전자매체들이 과연 유아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을 것이며, 긍정적 효과 또는 부정적 효과라는 논란도 계속되고 있을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 이들은 결국 유아에게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므로, 부모나 교사의 적절하고 지속적인 지도아래 긍정적인 부분은 확대시키고 부정적인 부분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 같다.
내가 어렸을 적에는 컴퓨터가 없었다. 그래서 텔레비전을 정말 오랜시간 자주 봤던 기억이 난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는 얼마나 텔레비전에 빠져 살았던지 몇시에 어디에서 무슨 프로그램이 하는지 외우고 다닐 정도였다. 이러한 어릴 적 내 경험들이 성장하면서 나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긍정적으로든 부정적으로든 그 영향을 받았음에는 틀림없다. 이렇게 텔레비전이나 컴퓨터가 유아에게 어떤 수단이 되고 목적이 되는지 알고 나니, 내가 교사 또는 부모가 되었을 때 적어도 나처럼 하루종일 텔레비전 앞에 앉아있는 아이가 되지 않도록 지도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적절한 매체환경을 구성하여 아이들이 긍정적인 요소를 많이 체득할 수 있도록 해야되겠다는 다짐도 하게 되었다.
참 고 문 헌
강신영(2003). 유아 정보화 역기능 극복방안에 관한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김경철(2002). 유아와 컴퓨터, 서울 : 교육과학사, 187-204
김영란(2003). 전자매체를 활용한 문해활동이 유아의 문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 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남명자(1995). 유아와 텔레비전 환경, 서울: 나남출판, 15-17
양윤정(2004). TV 유아교육프로그램 시청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기숙(1998). 유아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교육연구, 342, 96-99
이기숙장영희정미라엄정애(2002). 유아교육개론, 서울 : 양서원, 360-371
한승희(2004). TV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의 현실감 지각 연구 : 만 4,5세 유아를 중 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12.2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